• 제목/요약/키워드: 염기서열

검색결과 2,646건 처리시간 0.029초

미생물 다양성 분석을 위한 웹 기반의 생물정보도구 개발 (Web-based Research Assistant Tools for Analysis of Microbial Diversity)

  • 강병철;김현진;박준형;박희경;김철민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4권 제1호
    • /
    • pp.93-96
    • /
    • 2004
  • 생태학, 환경공학, 임상진단 둥 여러 생물학 분야에서 미생물의 다양성 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그 연구가 점증하고 있다. 특히 16S rRNA를 분자지표로한 DNA 염기서열 분석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16S rRNA의 염기서열 분석과정을 각 단계별로 자동화하고, 생물학자들의 결과 판단이나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웹기반의 미생물 다양성 분석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개발을 위하여 단계별 자동화 및 인터페이스 개발에 적합한 폴더 프로세스-필터 모델을 고안하고 적용하였다. 제공되는 생물정보분석도구는 서열입력, 서열방향교정, 다중서열정렬 및 가시화, 서열동정 등의 분석등이 있으며, 각 결과는 계통분류도구와 호환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신생아의 장내 세균총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개발된 도구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웹 에플리케이션은 리눅스 시스템 상에서 Perl 과 CGI를 이용하였으며, http: //home.pusan.ac.kr/~genome/tools/rat.htm으로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 PDF

소나무속 잎 변이와 그의 ITS DNA 염기서열 (Leaf variants of Pinus and their ITS DNA sequences)

  • 구자춘;황성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3-68
    • /
    • 2013
  • 소나무속내 속생 잎의 수가 1개인 종류와 한 개체에서 2~3개의 속생 잎 수를 갖는 종류의 기원을 밝히고자 ITS DNA 지역의 염기서열을 조사하였다. 또한 속생 잎 수 변이가 출현하는 지역에서 생육하는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그리고 잣나무 등의 동일지역 염기서열을 비교 조사하였다. 확인된 ITS1, 5.8S 그리고 ITS2 DNA 등 3지역의 총 길이는 종류에 따라서 580~584 염기이었으며, ITS1 지역에서 가장 변이가 크게 나타났다. 5.8S 지역은 잣나무의 2개 염기 치환을 제외하면 조사된 모든 종류에서 일치하였다. 조사된 일부 ITS1 지역은 5.8S 위쪽으로 종에 따라 181~185 염기이며, 1개 또는 2~3개의 속생 잎 수를 갖는 변이들은 소나무와 동일한 염기서열로 확인되었다. ITS2 지역은 모두 237 염기이며, 소나무와 잎 변이들의 염기서열은 일치하였다. 확인된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유집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소나무와 속생 잎 수 변이들이 유사도 100%로 유집되었다. 따라서 조사된 속생 잎 수 변이들은 소나무의 속생 잎 수 변이로 최종 판별되었다.

Staphylococcus aureus에서 분리된 유발성 ${\beta}$-Lactamase 유전자의 유전적 구성 (Genetic Organization of an Inducible ${\beta}$-Lactamase Gene Isolated from Chromosomal DNA of Staphylococcus aureus)

  • 김영선;민경일;변우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0-27
    • /
    • 1994
  • 항생물질에 대한 다중 저항성을 갖는 Staphylococcus aureus 균주의 chromosomal DNA로부터 유발성 발현을 하는 ${\beta}$-lactamase(bla) 유전자를 확인, 분리하였다. Cloning에 이어 결정된 염기서열을, S. aureus 에서는 지금까지는 plasmid상에서만 분리, 보고되어 있는 bla 유전자들의 염기서열과 비교하였다. 본 bla 유전자의 구조유전자 부분인 843base의 염기서열은 기 발표된 pPC1, pl258, pS1, pI1071, pUB101, pl3796 및 pI3804 유래의 bla 유전자들 중 pPC1, pI258 및 pS1상에 존재하는 bla 구조유전자의 염기서열과 완전히 일치하였고 나머지 것들과도 매우 높은 상동성(99%)을 유지하고 있었다. Bla구조 유전자의 상류 370base 및 하류 220base까지 결정된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다른 모든 bla구조유전자의 상류 150base에 위치하는 HindIII 인식부위가 약 230base 이상 더 윗쪽으로 옮겨가 있었고 이 HindIII 인식부위를 포함하는 염기서열에서 ORF의 C말단이 발견되었다. 하류 서열에서는 pI1071 유래 bla가 갖는 두개의 직접반복 염기서열 중 하나가 결손된 형태를 보이고 있다. 구조 유전자 상류에 존재하는, 80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ORF의 상동성 검색 결과 Tn4001 의 transposase 의 C 말단과 일치함이 발견되었다.

  • PDF

의존성 반영 분해모델에 의한 유전자의 핵심 프로모터 영역 예측 (Prediction of Core Promoter Region with Dependency - Reflecting Decomposition Model)

  • 김기봉;박기정;공은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3_4호
    • /
    • pp.379-387
    • /
    • 2003
  • 다수의 미생물 유전체 프로젝트들이 완료되면서 엄청난 양의 유전체 핵산 염기서열 데이터들이 양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산 기법을 이용하여 유전체 DNA 염기서열 상에서 유전자의 프로모터 영역을 규명하는 문제는 최근에 상당한 연구의 관심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사조절의 핵심 역할을 하는 -10 영역과 전사개시 부위를 포함한 원핵생물의 핵심 프로모터 영역에 대한 의존성 반영 분해모델 (Dependency-Reflecting Decomposition Model)을 제안한다. 이 모델은 인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핵산 염기들 사이의 의존성뿐만 아니라 인접하지 않은 위치의 핵산 염기들간의 의존성까지 고려함으로써 핵산 염기서열 상에 내포되어있는 중요한 생물학적 의존성들을 함축하고 있다. DRDM 모델은 우수한 성능평가 결과를 보였으며. 미생물 유전체 Contig들 상에서 임의의 유전자 프로모터를 예측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국재래산양 β-lactoglobulin 유전자 5'flanking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 (Nucleotide Sequences of β-lactoglobulin Gene 5'Flanking Region in Korean Native Goat)

  • 류승희;한성욱;서길웅;상병찬
    • 농업과학연구
    • /
    • 제28권2호
    • /
    • pp.78-84
    • /
    • 2001
  • 본 연구는 한국 재래산양의 ${\beta}$-lactoglobulin(${\beta}$-LG) 유전자 발현조절부위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PCR기법으로 specific primer를 이용하여 ${\beta}$-LG 발현조절부위를 증폭한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Sheep종의 ${\beta}$-LG유전자 발현조절부위의 염기서열상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한국 재래산양의 genomic DNA로부터 PCR기법을 이용하여 ${\beta}$-LG 유전자 발현조절부위를 증폭한 결과 Sheep종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1,077bp의 단편크기로 증폭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heep종에서 보고된 ${\beta}$-LG 발현조절 부위의 염기서열과 한국재래산양에서 분석된 염기서열간의 차이는 총 897개의 염기중 46개의 nucleotide에서 차이를 나타내어 94.9%의 상동성을 보였다. 특히 한국재래산양과 Sheep종간 염기서열상의 차이는 Sheep종의 T염기가 재래산양의 C염기로 치환되었거나 반대로 Sheep종의 C염기가 재래산양에서 T염기로 치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beta}$-LG유전자 발현조절부위의 염기서열은 재래산양과 Sheep 종간에 높은 상동성을 보였으나 이들 종간의 발현조절부위의 염기서열상의 차이에 대한 유전자 발현조절 관계와 전사요소는 앞으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육각강에서 보고된 미토콘드리아 COI 염기서열과 이들을 이용한 분자 연구 논문 분석, 파트 I: 2000년~2009년 (Assaying Mitochondrial COI Sequences and Their Molecular Studies in Hexapoda, PART I: From 2000 to 2009)

  • 이원훈;박종선;;김소라;김양수;이예림;김광호;이시혁;이용환;이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95-402
    • /
    • 2013
  • 2000년도 이후로 많은 분자 연구 논문들이 육각강에서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 방대한 양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염기서열이 생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도부터 2009년까지 육각강에 보고된 COI 염기서열과 이들을 활용한 분자 연구 논문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58,323개의 COI 염기서열들을 바탕으로 보고된 488개의 분자 연구 논문들을 26개 목들과 사용된 COI 염기서열들의 5', 3', 중간 위치에 따라 재분류하였다. 세 지역의 COI 염기서열을 이용한 연구 논문의 수는 26개 목들에 따라 매우 다양하였다. 하지만, 7개 목들은 특정 지역의 COI 염기서열들이 선호되었음을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파리목과 메뚜기목에서는 5' 지역의 COI 염기서열을 사용하는 논문의 수가 가장 높았으며, 이에 반해 딱정벌레, 이목, 잠자리목, 더듬이벌레목, 대벌레목에서는 3' 지역의 COI 염기서열을 사용하는 논문의 수가 가장 높았다. 2000년 이전에 보고된 84개의 분자 연구 논문들과의 비교를 통해, 2000년부터 2009년까지 딱정벌레목, 파리목, 이목, 대벌레목에서는 1999년 이전에 각 목들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COI 염기서열의 특정 지역과 같은 지역을 사용하는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육각강에서 2000년에서 2009년까지 보고되었던 분자 연구 논문 뿐만 아니라 이들 논문에서 사용된 COI 염기서열에 대한 전체적인 경향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Fragment Assembly를 위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genome-level fragment assembly system, Mater)

  • 김명선;정철희;박현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A)
    • /
    • pp.751-753
    • /
    • 2001
  • 지금까지 인간이나 다른 생물체의 전체 유전체 염기서열을 밝혀내는 작업은 크게 세가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Clone-by-clone approach, sequence tagged connector approach, random shotgun approach[1]가 그것인데 마지막의 random shotgun approach는 fragment assembly problem을 비롯한 여러 가지 전산학적인 문제들을 수반한다. 미생물체의 전체 염기서열을 random shotgun approach를 이용하여 밝혀낼 때 몇 가지 전산학적인 문제가 테크닉이 필요하며 그 중에서도 서열간의 forward, reverse의 mating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mating 작업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페키지 “Mater”에 대해 소개하고자 하며 그 의미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PDF

시금치 nitrate reductase cDNA 클로닝 및 염기서열 분석 (Cloning and Sequence Analysis of Spinach (Spinacia oleracea L. cv Ace) Nitrate Reductase cDNA)

  • 박누리;정종배;박상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3호
    • /
    • pp.129-133
    • /
    • 2002
  • 키토산 분해물을 시금치와 상추에 살포하였을 때, nitrate 함량이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감소는 nitrate reductase 활성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채소 중 질산염을 가장 많이 축적하는 채소 중 하나인 시금치의 nitrate reductase를 식물체내에 과량 발현시켜 질산염 축적을 줄이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단계로 시금치 mRNA로부터 RT-PCR을 이용하여 cDNA를 분리, 증폭하고 벡터에 클로닝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시금치 nitrate reductase cDNA의 염기서열은 다른 식물체에서 분리된 nitrate reductase 유전자들과 상당히 높은 상동성($71{\sim}82%$)을 보였고, 이미 발표된 시금치 nitrate reductase cDNA의 염기서열과 비교하였을 때 단지 두 염기만이 달랐다.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s among Barred Plymouth rock, Korean Ogol Chicken and White Leghorn

  • Choi, Jin-Won;Lee, Eun-Young;Lee, Jae-Hee;Kim, Duk-Kyung;Kim, Hee-Bal;Han, Jae-Yong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5년도 제22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68-69
    • /
    • 2005
  • Dominant white와 Extended black 은 닭의 깃털 색깔에 관여하는 유전자위로서 각각 PMEL l7과 MC1R 유전자를 암호화하며 이들의 염기서열 다형은 닭의 깃털 색깔 양상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본 실험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PMEL17과 MC1R 유전자의 염기서열에서 Barred Plymouth rock, Korean Ogol Chicken and White Leghorn의 품종 특이적인 염기서열 다형을 확인하였다. PMEL17 유전자에서 8개, MC1R 유전자에서 4개씩 모두 12개의 다형이 확인되었다. White Leghorn은 모든 염기서열 다형 위치에서 다른 두 종의 닭들과 다른 염기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Barred Plymouth Rock과 Korean Ogol Chicken은 모든 염기서열 다형 위치에서 같은 염기를 가지고 있었다.

  • PDF

마늘유래 Cytochrome P450 유전자의 변이 분석 (Genetic Variation of Cytochrome P450 Genes in Garlic Cultivars)

  • 권순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84-590
    • /
    • 2011
  • 의성종 마늘의 유묘로부터 상처(wound)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cytochrome P450 유전자군의 하나인 P450-Esg cDNA를 탐색하였다. P450-Esg는 1,419 bp의 open reading frame(ORF)을 가지고 473개의 아미노산을 가진 polypeptide를 코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와 몽골로부터 수집한 12개의 재배종으로 부터 P450-Esg 유사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시작코돈(ATG)에서 472~510 bp 및 1,210~1,240 bp 부위의 염기에서 재배종간에 차이를 보이는 염기서열을 다수 확인하였다. cDNA 1,210~1,240 bp의 부위는 P450 유전자에서 공통적으로 알려진 heme binding domain으로, 각 지역에서 수집된 재배종은 염기서열뿐만 아니라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도 특이적인 변이를 보였다. cDNA 472~510 bp 부위에서 코딩하는 13개 아미노산의 서열은 12개 재배종에서 모두 동일하였으나, 13개 아미노산 중 7개에서 재배종 마다 각각 다른 DNA 염기로 코딩하는 단일 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을 보이는 서열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다양하게 존재하는 국내외 마늘 재배종을 구분하는 marker로 사용될 것이며, 외국산 마늘에 대한 유전적 우선권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