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직배수재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4초

연직천연섬유배수재를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 (Soil Improvement using Vertical Natural Fiber Drains)

  • 김주형;조삼덕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37-45
    • /
    • 2008
  • 친환경배수재에 대한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연직배수재와 수평배수재 설치 조합으로 현장시험시공을 수행하였다. 본 시험시공에서는 기존의 천연섬유배수재(FDB)와 새로 개발한 볏짚배수재(SDB) 그리고 플라스틱배수재(PDB)를 연직배수재로 설치하였으며, 화이버매트와 샌드매트를 수평배수재로 사용하였다. 볏짚배수재(SDB) 설치지역을 제외하고는 플라스틱배수재(PDB)와 천연섬유배수재(FDB) 설치 지역에서 측정한 지표침하발생속도와 과잉간극수압 발생/소산 양상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차 압밀방치기간동안 측정된 상부 연약층의 콘관입저항력도 설치된 연직배수재 종류와 상관없이 일정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천연섬유배수재가 기존의 플라스틱이나 모래재료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토목섬유 수평배수재의 투수성 평가 및 해석

  • 전한용;장용채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07-310
    • /
    • 1998
  • 연약지반상에 고속도로 노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반개량공법이 적용되며 그 중 가장 보편적인 개량공법이 연직배수를 통한 압밀촉진 공법이다. 이와 같은 압밀촉진공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연약층 내부에 타입하는 연직배수재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연직배수재를 통해서 상승하는 압밀수를 신속히 제체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수평배수기능도 매우 중요하다. (중략)

  • PDF

생분해성 플라스틱 연직배수재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iodegradable Plastic Drain Board)

  • 김주형;조삼덕;채종길;사토 히데유키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67-7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연직배수재에 대해 다양한 성능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생분해성 플라스틱배수재의 공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제작한 연직배수재는 기존 합성수지 연직배수재에 비해 낮은 인장변형률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낮은 인장강도를 갖지만, 연직배수재로서 가져야 할 최소한의 인장강도는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제작한 필터는 투수성이 좋고 유효구멍크기가 작아 필터의 성능으로 매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분해성플라스틱 배수재의 통수능은 필터의 강성을 개선하는 경우 국내 시방기준에도 만족할 수 있는 성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다양한 연직배수재의 시험시공 및 초기현장 계측 (A Pilot Test of Various Vertical Drains and its Initial Monitoring Results)

  • 김주형;조삼덕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45-50
    • /
    • 2006
  • 천연섬유배수재의 통수능은 플라스틱드레인보드(PDB)의 통수능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모형시험 결과를 분석한 결과 기존 천연섬유배수재는 물론 새로 개발된 볏짚배수재도 플라스틱드레인보드 대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섬유배수재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천연섬유배수재를 이용한 현장시험시공을 수행하여 이들의 현장유효통수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시험시공은 다수의 연직배수재와 수평배수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총 5지역으로 구성하였다. 현재까지 측정된 초기 계측자료를 이용한 각 배수재의 특성은 성토지연 등의 이유로 인해 정확히 파악할 수는 없었으나, 추후 성토완료 후의 결과를 분석한다면 여러가지 연직배수재 및 수평배수재 설치 지반의 압밀거동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동수경사 변화에 따른 연직배수재의 통수능 (Discharge Capacity for Vertical Drain Boards with Hydraulic Gradient Variation)

  • 김주형;이광우;조삼덕;장갑식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1-2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연직배수재의 통수능시험 평가방법과 국내 관련 시방기준들을 고찰하고 연직배수재통수능 시험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동수경사 변화에 따른연직배수재의 통수능 시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국내 연직배수재의 통수능 평가시험방법으로 기존 Delft 방법에 근거한 KS K 0940(2008)이 최근 한국표준으로 등재되었으며, 이 시험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동수경사의 변화에 따라 연직배수재의 통수능의 차이가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연직배수재 타설 후 장기간 경과된 지반의 통수성능 (Discharge Capacity of Prefabricated Vertical Drain Confined In-Clay Under Long-Term Conditions)

  • 정상국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239-249
    • /
    • 2018
  • 연약점토 지반 개량을 위해 연직배수재 타설 후 선행재하공법이 일반적으로 적용되는데, 현장에서의 시공계획 변경 등으로 인해 연직배수재 타설 후 장기간 방치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따라서 장기간 방치된 조건에서의 연직배수재 열화 현상을 고려하기 위해 구속압으로 적용되는 수온을 각각 30, 35, $40^{\circ}C$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시간경과에 따라 배수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현장 원위치 조건, 즉, 점토 구속조건하에서 장기간 통수능 저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Miura와 Chai(2000)식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온도 변화 조건에서 수행된 통수능 시험결과를 이용한 신뢰성 해석 방법과 Miura와 chai(2000)식을 적용하여 장기 통수능을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판상 연직배수재의 유효 등가경 결정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ethod of Determining Equivalent Circle of Band-shaped Prefabricated Vertical Drains)

  • 유승경;소전화광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95-100
    • /
    • 2008
  • 판상의 연직배수재를 이용한 연약지반개량공법에 대한 설계를 보다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판상 배수재의 유효 등가경 결정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의 압밀거동을 고려한 합리적인 판상 배수재의 유효 등가경 결정방법에 대한 고찰을 위하여 일련의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탄점소성 3차원압밀 유한요소해석 방법은 동일한 조건의 실내모형실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수치해석 결과로부터 판상 연직배수재로 개량된 연약지반의 압밀거동을 재현하였으며, 이를 반영한 판상 연직배수재의 유효 등가경을 산정하였다.

친환경배수재의 통수능 특성 평가 (Discharge Capacity of Environmentally Friendly Drains)

  • 조삼덕;김주형;정승용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27-36
    • /
    • 2005
  • 식물섬유에서 추출한 천연섬유를 이용하여 제작한 천연섬유배수재의 통수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평배수재의 경우에는 투수시험 그리고 연직배수재의 경우에는 Delft 공대에서 개발한 통수능 시험과 교란 점토를 이용한 복합통수능 시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친환경 수평배수재에 대한 투수시험 결과 코코넛 껍질로 구성된 매트의 투수성은 모래에 비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elft 공대에서 개발한 통수능 시험으로 평가한 친환경 연직배수재의 통수능은 국산 플라스틱드레인보드의 통수능에 비해 매우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란점토를 이용하여 실제 현장을 가깝게 모사한 복합통수능시험을 수행한 결과 친환경배수재와 플라스틱드레인보드를 설치한 지반의 침하나 간극수압 소산 양상이 서로 유사하게 나타나 친환경배수재가 배수재에 요구되는 최소통수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풍쇄전로슬래그의 연직배수재 활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Precious Slag Ball as Vertical Drains)

  • 권정근;임종철;김우경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37-46
    • /
    • 2011
  • 연직배수재로의 대체재로 풍쇄전로슬래그의 적용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현장시공을 통해 배수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성공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현장시공 전에 발생가능한 문제점들을 미리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시공 전 다양한 조건에서 발생가능한 문제점들을 분석하기 위해 실내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실내모형실험은 연직배수재로 풍쇄전로슬래, 모래+풍쇄전로슬래그, 팩슬래그, 모래 총 4경우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내모형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시험시공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실내모형실험과 현장시험시공을 통해 연직배수재용 모래대용으로 풍쇄전로슬래그가 사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장 토질특성을 고려한 연직배수재 필터의 성능평가 (Drain Capacity of PVD Filter Considering the Field Condition)

  • 한성수;정경한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33-38
    • /
    • 2007
  • 연직배수재는 필터와 코어로 형성되며, 필터의 주요기능으로 첫째, 흙 입자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흙 보유성과 둘째, Clogging 또는 Blinding현상 발생 없이 간극수를 원활히 배출시키는 투수성을 갖추어야 한다. 상대적으로 투수성이 낮은 지반에서 미세입자로 인하여 필터의 투수성을 저하시키는 필터폐색(Clogging) 현상이 발생하는데 필터의 폐색현상(Clogging)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면, 간극수의 흐름을 저하시켜 결국 압밀지연을 초래한다. 지반-필터의 거동에 따른 설계(시방)기준은 토목섬유 필터의 간극크기와 흙의 입도의 상관관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나, 국내에서는 필터폐색(Clogging)현상과 지반-필터의 거동 분석 없이 필터재의 유효입경(AOS, Apparent Opening Size)만을 고려하여 필터의 설계(시방)기준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종류의 연직배수재 필터를 대상으로 필터의 거동 및 필터폐색(Clogging)현상을 평가하고자 실내시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bigcirc}{\bigcirc}$지역에서 연직배수재 필터의 설계(시방)기준을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