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481/jkges.2011.12.3.4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Precious Slag Ball as Vertical Drains  

Kwon, Jeong-Geun (부산대학교 토목공학과)
Im, Jong-Chul (부산대학교 토목공학과)
Kim, Woo-Kyoung (부산대학교 토목공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v.12, no.3, 2011 , pp. 37-4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Precious Slag Ball as the alternative material such as vertical drains,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drainage effect of it in the field construction. In order to attain an successful design it is important to predict problems encountered in field construction.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laboratory tests were execut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before applying of the field. 4 cases including Precious Slag Ball, sand+Precious Slag Ball, pack Precious Slag Ball and sand as vertical drains were conducted, and under the base of the laboratory tests the field test was executed and analyzed. By the upper results it is apposite to use Precious Slag Ball as vertical drains.
Keywords
Precious slag ball; Vertical drains; Sand drain; Pack drain; Alternative material;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상규(1994), 토질시험, 동명사, pp. 77-84.
2 김수삼, 전유석(1976), 창원종합기계공업기지 적현단지 연약지반 처리공사보고, 대한토목학회지, Vol. 1, No. 24, pp. 15-30.
3 김주한(1983), 슬래그 혼합토의 전단강도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단국대학교, pp. 1-5.
4 대한토목학회(1982), 고로슬래그 기층 및 보조기층 설계.시공지침, 대한토목학회, pp. 1-67.
5 문용현(1987), 도로의 기층 및 보조기층 재료로서 고로 슬래그 이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pp. 1-5.
6 박춘성(2009), 풍쇄슬래그의 샌드매트 대체가능성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pp. 2-3.
7 신은철, 이운현, 유정훈(2009), 풍쇄 슬래그를 이용한 샌드매트 대체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토목섬유학회 논문집, Vol. 8, No. 2, pp. 55-62.
8 유상호(1996), 쇄석잔사를 사용한 팩드레인공법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pp. 21-22.
9 이광찬, 이문수(1999), 재활용을 위한 전로슬래그의 투수성 고찰(I),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 15, No. 4, pp. 69-83.
10 이광찬, 정규향, 김영남, 이문수(2000), 연직배수공법에 있어서 제강슬래그의 재활용을 위한 투수성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연약지반처리위원회 학술세미나, pp. 12-31.
11 이상수, 송하영, 김을용(2006), 풍쇄슬래그 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 6, No. 3, pp. 107-114.
12 정진교(1989), 전기로(제강) 슬래그 기둥공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pp. 1-6.
13 (주)포스코건설(2005), S/D의 개량사 대체시공 가능성 판단을 위한 시험연구, 한국지반공학회, pp. 21-27.
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85), 제강슬래그를 사용한 아스팔트보조설계.시공지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p. 1-53.
15 한국도로포장공학회(1989), 복합슬래그 기층 및 보조기층 설계.시공지침, 한국도로포장공학회, pp. 1-32.
16 허준희(1999), 제강슬래그 투수성 건설공사 연약지반 개량공사 체분석 시험,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pp. 56.
17 한국지반공학회(2005), S/D의 개량사 대체시공 가능성 판단을 위한 시험연구 연구보고서, 한국지반공학회, pp. 21-27
18 日本土質工學會(1988), 軟弱地盤 對策工法, pp. 89-119.
19 森北出版株式會社(1993) : 연직드레인工法, pp. 21-35.
20 Barron, R.A.(1948), Consolidation of Fine-grained Soils by Drain Wells, Transaction, ASCE, Vol. 113, pp. 718-754.
21 Hansbo, S.(1979), Consolidation of Clay by Band-shaped Prefabricated Drains, Ground Engineering, Vol. 12, No. 5, pp. 59-66.
22 Holtz, R.D., Jamiolkowski, M.B., Lancelotta, R. and Pedroni, R.(1991), Prefabricated Vertical Drains: Design and Performance, C.I.R.I.A. Ground Engineering Report, Butterworth-Heinemann, Oxford, p. 52.
23 Onoue, A.(1988), Consolidation by Vertical Drain Taking Well Resistance and Smear into Consideration, Japanese Society of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Vol. 28, No. 4, pp. 165-174.
24 Rendulic, L.(1936), Porenziffer und Porenwasserdruck in Tonen, Der Bavingenieur, Vol. 17, pp. 559-564.
25 Terzaghi, K.(1943), Theoritical Soil Mechanics, Wiley, New York, pp. 265-296.
26 Yoshikuni, H. and Nakanodo, H.(1974), Consolidation of Soils by Vertical Drain Wells with Finite Permeability, Soils and Foundations, Vol. 14, No.2, pp. 35-46.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