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역적 추론

Search Result 7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Vindication of Induction by Practical Inference (실천추론에 의한 귀납의 정당화)

  • Lee, Byeong-Deok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2 no.2
    • /
    • pp.59-88
    • /
    • 2009
  • According to David Hume, a deductive demonstration for inductive inference is not possible, because inductive inference is not deductive; and an inductive demonstration for inductive inference is not possible either, because such a demonstration is circular. Thus, on his view, there is no way of justifying inductive inference. Ever since Hume raised this problem of induction, a fair number of philosophers have tried to solve it. Nevertheless there is still no solution which is plausible enough to receive wide endorsement. According to Wilfrid Sellars, we cannot justify inductive inference by any theoretical reasoning; we can vindicate it only by a certain sort of practical reasoning. In this paper, I defend this Sellarsian proposal by developing and explaining it.

  • PDF

확률적 명제 논리 프로그래밍

  • Sin, Yang-Gyu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6 no.1
    • /
    • pp.13-21
    • /
    • 1995
  • 논리 언어로 불확실한 정보의 표현과 처리가 가능하도록 논리 프로그램을 확장하였다. 이러한 확장을 위해 의미론이 명확한 확률 논리를 응용하였고, 확률적 연역 추론을 위해 추론 규칙들을 공리화하여 기본 지식과 함께 처리될 수 있게 하였다. 여기서는 기존 논리 프로그램의 명제 부분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확장된 논리 프로그래밍 언어는 기존 언어에서 간단한 인터프리터를 사용하여 쉽게 구현하여 이용할 수 있다.

  • PDF

Analyses on the reasoning in primary mathematics textbooks (초등 수학 교재에서 활용되는 추론 분석)

  • 서동엽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3 no.2
    • /
    • pp.159-178
    • /
    • 2003
  • This study analyzes on the reasoning in the process of justification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 our primary mathematics textbooks. In our analyses, we found that the inductive reasoning based on the paradima-tic example whose justification is founnded en a local deductive reasoning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in our textbooks. We also found that some propositions on the properties of various quadrangles impose a deductive reasoning on primary students, which is very difficult to them. The inductive reasoning based on enumeration is used in a few cases, and analogies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mathematical structures and the concrete materials are frequntly found. The exposition based en a paradigmatic exampl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have a problematic aspect that the level of reasoning is relatively low In Miyazaki's or Semadeni's respects. And some propositions on quadrangles is very difficult in Piagetian respects. As a result of our study, we propose that the level of reasoning in primary mathematics is leveled up by degrees, and the increasing levels are following: empirical justification on a paradigmatic example, construction of conjecture based on the example, examination on the various examples of the conjecture's validity, construction of schema on the generality, basic experiences for the relation of implication.

  • PDF

Development of a Knowledge-Base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지식기반 지리정보 시스템의 개발)

  • 윤지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407-424
    • /
    • 1997
  • 지리정보 시스템에 기반한 응용 시스템 개발에 있어 필수적인 기능으로 지도작성, 데이타 관리, 해석 기능 외에 지식 표현 및 추론 기능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식베이스 관리 및 연역 추론 기능을 갖는 지식기반 지리정보 시스템의 개발과 연역 기능을 활용한 시스템 기능 확장에 대하여 논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Visual Basic), 지리정보 시스템(ArcView, ArcInfo), 추론 시스템(Eclipse)을 상호 밀결합 방식으로 결합, 구현하였으며, 각 서브 시스템은 서로 중간 파일 시스템의 사용없이 데이타 및 명령어의 전송 및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개개의 서브 시스템을 인식하지 않고 단일화된 환경하의 작업이 가능하다. 시스템의 연역 기능은 일반적으로 거론되는 지식베이스 관리, 의사결정 지원 기능 외에도 사용자 환경개선, 복합 공간 객체의 표현, 공간질의 연산자 구현 등의 시스템 기능 확장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환경 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사용자가 정보의 내부 구조나 문제 영역, 명령어 사용 방법 등을 잘 알지 못하더라도 유용한 정보를 얻도록 지원, 유도하는 협력질의 응답 기능과 명령어 자동 생성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들 방식을 이용한 두가지 응용 시스템(여행정보 시스템, 환경관리 시스템)의 구현 예를 들어 본 시스템의 실용성과 유용성을 보인다.

  • PDF

Development of a Knowledge-Base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지식기반 지리정보 시스템의 개발)

  • 윤지희
    •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Database
    • /
    • v.4 no.1
    • /
    • pp.3-17
    • /
    • 1997
  • 지리정보 시스템에 기반한 응용 시스템 개발에 있어 필수적인 기능으로 지도작성, 데이터 관리, 해석 기능 외에 지식 표현 및 추론 기능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식베이스 관리 및 연역 추론 기능을 갖는 지식기반 지리정보 시스템의 개발과 연역 기능을 활용한 시스템 기능 확장에 대하여 논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Vusual Basic), 지리정보 시스템(ArcView, ArcInfo), 추론 시스템(Eclipse)을 상호 밀결합 방식으로 결합, 구현하였으며, 각 서브 시스템은 서로 중간파일 시스템의 사용없이 데이터 및 명령어의 전송 및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개개의 서브 시스템을 인식하지 않고 단일화된 환경하의 작업이 가능하다. 시스템의 연역 기능은 일반적으로 거론되는 지식베이스 관리, 의사결정 지원 기능 외에도 사용자 환경개선, 복합 공간 객체의 표현, 공간질의 연산자 구현 등의 시스템 기능 확장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환경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사용자가 정보의 내부 구조나 문제 영역, 명령어 사용 방법 등을 잘 알지 못하더라도 유용한 정보를 얻도록 지원, 유도하는 협력질의 응답 기능과 명령어 자동 생성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들 방식을 이용한 두가지 응용 시스템(여행정보 시스템, 환경관리 시스템)의 구현 예를 들어 본 시스템의 실용성과 유용성을 보인다.

  • PDF

초등수학교육에 있어서의 추론 방법

  • Nam, Seung-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8
    • /
    • pp.45-63
    • /
    • 1999
  • 학교 수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수학적 능력과 태도를 육성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학의 기본적인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는 일과 수학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기르는 일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수학적 사고는 학교수학에서 지도되는 내용 그 자체에 관련된 것이 아니라 이들 수학을 수학내용을 이해하고 지식으로 획득하는 과정에서 행하여지는 수학적인 활동과 관련이 있다고 하겠다. 본고에서는 수학적인 활동의 방법적인 측면에서 귀납 추론, 연역 추론, 유비 추론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알아보고, 귀납 추론의 필요성 및 특성과 구체적인 적용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PDF

Liar-Type Paradoxes and Intuitionistic Natural Deduction Systems (거짓말쟁이 유형 역설과 직관주의 자연연역체계)

  • Choi, Seungrak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21 no.1
    • /
    • pp.59-96
    • /
    • 2018
  • ${\bot}$It is often said that in a purely formal perspective, intuitionistic logic has no obvious advantage to deal with the liar-type paradoxes. In this paper, we will argue that the standard intuitionistic natural deduction systems are vulnerable to the liar-type paradoxes in the sense that the acceptance of the liar-type sentences results in inference to absurdity (${\perp}$). The result shows that the restriction of the Double Negation Elimination (DNE) fails to block the inference to ${\perp}$. It is, however, not the problem of the intuitionistic approaches to the liar-type paradoxes but the lack of expressive power of the standard intuitionistic natural deduction system. We introduce a meta-level negation, ⊬$_s$, for a given system S and a meta-level absurdity, ⋏, to the intuitionistic system. We shall show that in the system, the inference to ${\perp}$ is not given without the assumption that the system is complete. Moreover, we consider the Double Meta-Level Negation Elimination rules (DMNE) which implicitly assume the completeness of the system. Then, the restriction of DMNE can rule out the inference to ${\perp}$.

A Study on Reasoning for Medical Expert Systems (의료용 전문가 시스템에서 추론에 관한 연구)

  • Kim, Jin-Sang;Shin, Yang-Kyu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10 no.2
    • /
    • pp.359-367
    • /
    • 1999
  • We investigate a logical approach to represent medical knowledge, reason deductively and diagnostically. It is suggested that medical knowledge-bases can be formulated as a set of sentences stated in classical logic where each sentence reflects a doctor's knowledge about the human anatomy or his/her view of patient's symptoms. It is also suggested that a form of temporal reasoning can be captured within the same framework because each sentence can have a different truth value based on time. We apply our logical framework to formalize diagnostic reasoning, where the primary cause of illness is chosen among the set of minimal causation on the basis of abductive hypotheses. Most of our examples are given in the context of medical expert systems.

  • PDF

The Influence of Hypothetical Deductive Experiment upon Students'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가설 연역적 탐구 실험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에 미치는 영향)

  • Kim, Ji-Young;Kang, Soon-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7 no.3
    • /
    • pp.169-179
    • /
    • 2007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ypothetical deductive experiment on students' view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NOS). Participants were 212 eighth graders from a middle school and they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Students of the control group did guided experiment in small group and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did hypothetical deductive experiment in small group. The results revealed that both students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possessed similar views about NOS in a pretest. But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more sophisticated views about the theory of dependance of observation, scientific reasoning and hypothesis in the posttest. Students who used mainly surface learning strategy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more sophisticated views about hypothesis in the posttest. On the other hand, students who used mainly deep learning strategy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more sophisticated views about the theory of dependance of observation, scientific reasoning and hypothesis in the posttest.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Justification for Gifted Student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중학교 수학 영재아의 수학적 정당화에 대한 인식과 특성에 관한 연구)

  • Hong, Yong-Suk;Son, Hong-Chan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4 no.3
    • /
    • pp.261-282
    • /
    • 2021
  • This study identified the meaning of mathematical justific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for middle school math gifted students. 17 middle school math gifted students participated in questionnaires and written exams. Results show that the gifted students recognized justification in various meanings such as proof, systematization, discovery, intellectual challenge of mathematical justification, and the preference for deductive justification. As a result of justification exams, there was a difference in algebra and geometry. While there were many deductive justifications in both algebra and geometry questionnaires, the difference exists in empirical justifications: there were many empirical justifications in algebra, but there were few in geometry questions. When deductive justification was completed, the students showed satisfaction with their own justification. However, they showed dissatisfaction when they could not deductively justify the generality of the proposition using mathematical symbol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justification education that can improve algebraic translation ability is necessary so that gifted students can realize the limitations and usefulness of empirical reasoning and make deductive just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