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료저감장치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rends of transistorized ignition system (無接点式 点火裝置의 現狀)

  • 이중형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 no.1
    • /
    • pp.17-20
    • /
    • 1979
  • Transistor식 점화장치는 자동차의 배기 공해대책, 연료저감대책 등의 방안으로 근래에 급속히 발전된 System이다. Transistor 점화장치로 요구되는 배경은 다음과 같다. [1] 화화출력이 커져서 Engine에 있어서 확실한 연소가 기대되고 배기정화책 연료저감책에 유 효하다. [2] 기계적인 접점이 없으므로 장기적으로 Engine의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3] 저회전에서 고회전까지 높고 안정된 화화출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시동특성 고속특성이 양 호하다. [4] 점화시기제어에 신기능부가가 용이 이와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세계각국의 자동차 Maker는 각각의 독자적인 System 회로방식을 개발하여 Transistor점화장치를 실용화하고 있 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자동차에 기계식 점화장치를 사용하여 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 PDF

Reduction of combustion instability using flame holder integrated injector (통합형 연료분사장치를 통한 연소불안정 저감)

  • Hwang, Yong-Seok;Lee, Jong-Guen;Park, Ik-Soo;Choi, Ho-Jin;Jin, Yu-In;Yoon, Hyun-Gull;Lim, Jin-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432-437
    • /
    • 2010
  • A new device injecting secondary fuel behind flameholder was invented and tested in order to reduce low frequency combustion instability of combustor using V-gutter flameholder. Specially designed combustion device could make large combustion instability up to 180 dB successfully, and newly invented device made a success to reduce 110~120Hz low frequency pressure pulsation up to 84%. It was found that the fuel flow rate of secondary fuel supplying behind flameholder was the only parameter which dominates reduction of instability. It is considered that stabilized flame with sufficient secondary fuel can lead to break the connection between combustion system and acoustic system due to independence of flame from fluctuation of main fuel resulted from synchronization with acoustic wave.

  • PDF

A Study on the Performance Comparison of Energy Saving Devices for Handy-size Bulk Carrier (산적화물선의 에너지 저감 장치들의 성능 비교에 관한 연구)

  • Kim, Eok-Kyu;Lee, Kang-Ki;Cho, Kwon-Hae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9 no.1
    • /
    • pp.1-7
    • /
    • 2015
  • The environmental regulations for CO2 emissions from the ship have been established recently, and fuel oil price has been increased continuously. In order to overcome these circumstances, Energy Saving Devices (ESDs) have been developed continuously to reduce the fuel oil consumption and improve the propulsive efficiency. This paper describes the trial performance of PBCF (Propeller Boss Cap Fins), SCHNEEKLUTH duct, Asymmetric rudder bulb and Mewis duct applied to handy-size bulk carriers. As a result, SCHNEEKLUTH duct is more effective than other energy saving devices at the reducing the fuel oil consump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propulsive efficiency.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SCHNEEKLUTH duct is really effective in the vibration of the deck house. And the fuel oil consumption can also be reduced through main engine de-rating.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Diesel Nano-Particle by Diesel Particulate Filter (매연여과장치에 의한 경유미세입자 저감 특성)

  • 임철수;엄명도;류정호;김예은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27-328
    • /
    • 2003
  • 경유자동차는 연료 특성상 매연을 포함한 입자상물질을 다량 배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디젤입자상물질은 인체에 유해한 발암성 및 돌연변이원성 물질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호흡 등을 통한 인체 유입시 건강에 매우 유해하다. 그러므로 디젤입자상물질을 저감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들 중 발생된 배출가스가 배기관을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기 전에 엔진 연소실과 배기관 사이에 후처리장치와 같은 기술들을 이용하여 이를 저감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후처리장치들 중 세라믹필터에 백금과 같은 산화성이 우수한 촉매를 코팅하여 만든 촉매식 매연여과장치(DPF ; diesel particulate filter, SK제공)를 사용하였을 때 입자저감성능 및 입자크기별 분포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대기오염 저감대책을 기초자료 및 환경학적, 보건학적 연구에 적극 활용하고자 한다. (중략)

  • PDF

Study on effect of fuel property change on vehicle important parts and exhaust gas (연료 물성 변화가 자동차 주요부품 및 배출가스에 미치는 영향 연구)

  • Lee, Jung-Cheon;Kim, Sung-Woo;Lee, Min-Ho;Kim, Ki-Ho;Park, A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4 no.4
    • /
    • pp.866-873
    • /
    • 2017
  • Exhaust regulations of automobile are being reinforced increasingly as environmental problems issues came to the fore by industrial development. However, it is known that the exhaust emission is not only influenced by the system of automobile but also the fuel properties. In particular, high-performance engines have required high-performance fuels with high lubricity as CRDI engines(diesel engine)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This paper have examined that the fuel property variations affect a major parts and an exhaust gas of automobile.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 pressure pump, the injector and the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were damaged and fuel efficiency was get worse due to use the fuel of lacking lubricity property($651{\mu}m$/quality standard: less in $400{\mu}m$). In addition, through an iron component was detected in the broken DPF, it was estimated that the breakage of the DPF was caused by the excessive exhaust of the particulate matter due to the iron component of the fuel.

A Study on the Reduction Effectiveness of Vehicle Emission by Biodiesel Fuel (바이오디젤 사용에따른 오염물질 개선효과 연구)

  • 류정호;엄명도;김종춘;이태우;김선문;김기호;정충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81-182
    • /
    • 2003
  • 경유엔진은 가솔린엔진에 비해 연소특성상 연료소비효율이 우수하여 온실가스인 $CO_2$ 배출이 적은 반면 대기 및 인체위해성이 높은 NOx와 입자상물질(PM)의 배출이 많아 대기저감을 위한 연료의 고압분사, 전자제어식 EGR기술등 엔진개량기술과 매연여과장치, De-NOx등 후처리기술 그리고 대체연료사용 기술등 다양한 저감대책이 전세계적으로 강구되고 있다. 특히 경유엔진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로 인한 대기오염영향은 점차 증가하고 있어 대체연료사용 및 배출허용기준강화둥 우리 실정에 적합한 효율적인 대기저감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중략)

  • PDF

Early Fuel Evaporator Effects on Cold Driveability of Automobile (조기연료 기화장치의 냉간 시동 및 주행 성능 분석)

  • 전흥신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1 no.2
    • /
    • pp.178-185
    • /
    • 2002
  •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fuel evaporators on cold driveability of gasoline passenger cars. Experiment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assessment cold start performance and cold driveability. And fuel consumption rate, emission and cylinder pressure were measured. On the base of combustion pressure of cylinder, rate of heat release, cumulative heat release amount and burned mass fraction are evaluated. The results show that fuel consumption rate is increased by 17.7%, monoxide and hydrocarbon were reduced by 23% and by 45% respectively, fluctuations of indicated mean effective pressure and maximum combustion pressure were increased by 4∼6%, fuel consumption rate per power was improved by 0.2∼2.3%. These are caused by the fact maximum heat release period and main combustion period are getting short.

Performance and Exhaust Emissions of DME Fuel for Diesel alternate fuel (디젤 대체연로로서의 DME 성능 및 배기특성)

  • 표영덕;남상훈;김강출;이영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2.11a
    • /
    • pp.39-44
    • /
    • 2002
  • 배기가스의 규제가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경유사용 디젤기관은 가솔린기관 보다 열효율이 높고 온실가스인 $CO_2$ 배출량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PM(입자상 물질)과 NO$_{x}$가 다량 배출되는 단점이 있다. 이들의 저감책으로서, 엔진개량, 연료분사장치의 고압화와 전자제어화, 배기 후처리기술의 적용 등 디젤기관의 고효율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배기공해를 대폭 저감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디젤기관의 대체연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중략)

  • PDF

난류확산화염에서 산소부화가 NO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채전우;전영남;김영권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4 no.4
    • /
    • pp.1022-1032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기체연료 연소시 산소부화연소의 적용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는 단계에서 상용 프로판을 산소부화연소 시킴으로써 첨가된 산소에 의한 반응시간의 단 축과 공급 공기량중의 질소량 저감에 희한 연소가스중의 NO농도를 측정하고, 이에 따 른 화염장의 온도 및 연소가스중의 $O_{2}$ 및 N$_{2}$농도를 측정하여 그들의 상관관 계를 가지고 NO의 배출특성을 고찰함으로써 기체연료의 산소부화연소에 따른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을 위한 연소장치개발과 오염물질 저감대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소-천연가스를 이용한 중대형 동력시스템 이용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Jong-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60-75
    • /
    • 2005
  • 천연가스차량이 배출하는 미연 탄화수소 중 약 80%이상이 메탄으로 구성 되어있다. 메탄은 그 자체로 유독성 물질은 아니지만 이산화탄소와 더불어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로 향후 강력한 규제가 예상되는 물질로 이를 저감하는 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하나 연료 특성상 이를 줄이는데 어려움이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천연가스엔진에 수소를 일정량(15%이상) 첨가할 경우 배출가스 및 성능 이 상당량 개선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는 종래 천연가스 연소의 문제점인 지연된 화염 전파 속도를 수소 연료를 첨가함에 따라 화염 전파속도를 촉진시켜 적정한 연소를 야기 시켜 미연탄화수소 배출이 줄어들고 열효율도 향상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수소와 천연가스연료의 각각의 장점을 활용한 Hy-thane 엔진을 개발할 경우 무공해엔진에 근접한 초 저공해 동력장치 개발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상용화 측면에서 산업용 발전기, GEHP, 차량용 엔진 등 활용도가 크기 때문에 그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과제에서는 이중연료를 사용하는 수소-천연가스 기관을 개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시스템을 개발하여, 기관효율 향상과 배기가스저감을 이루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