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역할행동

검색결과 1,204건 처리시간 0.027초

의료산업 서비스 품질 및 가치와 고객행동간 관련성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ervice quality and value and customer behaviour)

  • 이덕수;박노국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3호
    • /
    • pp.179-187
    • /
    • 2013
  • 과거에는 품질의 좋고 나쁨의 기준이 정해진 특정 규정(기준)의 충족 여부였지만 최근엔 소비자(고객)의 만족 여부가 해당 제품의 질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고 있다. 이는 서비스업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산업에서의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가치가 고객행동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와 서비스 관계품질이 서비스품질 및 가치와 고객행동에 어떤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실증 연구한 것이다. 컴퓨터 SPSS 패키지에 의해 조사 분석한 결과 의료산업 서비스품질 및 서비스가치는 고객행동과 양의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서비스관계품질이 서비스품질 및 가치와 고객행동 간에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교사행동, 학급풍토, 학생의 성취목표지향과 도움찾기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 of Teacher Behavior, Classroom Climate, and Studen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o Help-Seeking for Upper Elementary Students)

  • 박용한;한수연;김은예
    • 교육심리연구
    • /
    • 제31권3호
    • /
    • pp.563-587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자기조절 학습전략의 하나인 도움찾기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개인적 요인(성취목표지향)과 맥락적 요인(교사행동, 학급풍토)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을 통해 학습관련 도움찾기를 증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얻고자 이루어졌다. 특히, 학생에게 지지적이며 자율성을 부여하고 높은 기대를 하는 교사행동과 학생의 학습관련 도움찾기 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급의 전반적인 풍토와 학생 개인의 성취목표지향이 어떤 매개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개 초등학교 5, 6학년 31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에게 지지적 도움을 제공하고 높은 기대를 하며 학업지향적인 교사행동은 응집력 있고 긍정적인 학급풍토를 만들뿐만 아니라 학생으로 하여금 숙달목표와 같은 접근적인 성취목표를 갖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적인 학급풍토가 학생들에게 숙달목표를 갖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여러 성취목표지향 중에서 숙달목표만이 학생들의 도움찾기 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교사행동은 학급풍토와 학생의 숙달목표를 거치는 이중매개를 통해 학생의 도움찾기 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도움찾기 행동에 대해 교실 맥락변인과 학생 개인변인이 상호작용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적응적 학습전략인 도움찾기 행동을 학생들에게 증진시키는데 있어 교사의 역할과 숙달목표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었다.

미국 치매노인 부양자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배우자 부양자와 딸 부양자 비교 연구 (The Impact of Family Caregiving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on Depression in the United States: Does the Relationship of Caregivers to Care Recipients Matter?)

  • 백주희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591-1609
    • /
    • 2009
  • 본 연구는 미국의 치매노인 부양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치매환자가 배우자인 경우와 부모인 경우를 분리하여 이들 두 집단의 우울증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또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어떻게 다른지를 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해보았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치매에 걸린 남편을 돌보는 아내 부양자가 치매에 걸린 부모를 돌보는 딸 부양자보다 우울증 점수가 더 높은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한편, 배우자 부양자와 딸 부양자 집단의 우울증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딸 부양자의 경우 역할부담감, 역할구속감, 그리고 문제행동이 그들의 우울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아내 부양자의 경우에는 역할부담감, 역할구속감, 문제행동, 그리고 교육수준이 우울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였으며, 마지막으로 남편 부양자에게는 오직 역할구속감과 문제행동만이 그들의 우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든 부양자 집단의 우울증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예측변수는 역할구속감과 문제행동이었다. 즉 부양자의 역할구속감이 클수록, 그리고 피부양자인 치매환자의 문제행동 수준이 높아질수록 부양자의 우울증 점수는 높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배드민턴 동호인의 참여행동, 운동행동, 종목이미지 및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Behavior, Exercise Behavior, Sport Image and Exercise Continuation of Badminton Club Members)

  • 이수아;박범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35-246
    • /
    • 2018
  • 본 연구는 배드민턴 동호인의 참여행동과 운동행동, 종목이미지 및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첫째, 종목이미지에 영향을 미친 변인은 참여행동의 하위요인 중 재미였으며, 운동행동의 하위요인 중 자존감과 스트레스해소였다. 둘째, 종목이미지는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참여와 운동행동은 종목 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운동지속에 간접적 영향을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종목이미지가 참여행동, 운동행동 및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종목이미지의 역할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데 그 의의가 있다.

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 및 교사-유아 관계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Emotion Regulatio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Prosocial Behavior)

  • 이경님;부예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1-53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유아의 기질, 정서조절 및 교사-유아 관계의 직 간접적인 영향을 남아와 여아를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3, 4, 5세 유아 373명과 그들의 교사 32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Pearson's correlation, path analysis를 통하여 분석 되었다. 그 결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여아가 남아보다 더 많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기질적 특성은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며 이 중 사회성은 성에 관계없이, 활동성은 여아의 경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교사-유아 관계는 남아의 경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성, 정서성, 활동성 기질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매개역할도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여아의 경우 친사회적 행동에 교사-유아 관계는 정서조절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만 미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정서조절은 성에 관계없이 가장 중요한 선행요인이며 기질과 친사회적 행동 간에 또한 교사-유아 관계와 친사회적 행동 간에 매개 역할도 함을 알 수 있다.

브랜드 애착이 제품 사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속성 정렬 가능성의 조절적 역할: 스마트폰 사용자 중심으로 (The Moderate Effect of the Attribute Alignability on the Relations Between Brand Attachment and Product Usage Behavior: Focus on Smartphone Users)

  • 조재욱;박승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41-147
    • /
    • 2020
  • 본 연구는 브랜드 애착이 제품의 내형 변형 행동과 사용상황 확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제품 속성 정렬가능성(attribute alignability)의 조절적 역할을 파악하는 연구이다. 실험을 통한 연구 결과 브랜드 애착이 높을수록 제품 내형변형행동과 제품 사용상황 확장행동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브랜드애착이 높은 소비자는 브랜드 애착이 낮은 소비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속성 정렬 가능 차별점이 높을수록 제품의 내형변형행동이 크고, 속성 정렬 불가능한 차별점이 클수록 사용상황 확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기업에서 소비자의 제품 내형변형행동에 있어, 제품에 대한 속성정렬 가능 차별점을 높임으로써, 브랜드 애착을 강화하고 충성고객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품 사용상황 확장행동에 있어서는 제품에 대한 속성정렬 불가능 차별점을 통해 경쟁제품 속성과 차별화하여 브랜드 애착을 강화하고, 자사 제품에 있어 차별적 경쟁우위로 활용할 수 있다.

일-생활 균형과 일탈행동 경로에서 다중매개 효과 (Multiple Mediating Effects in the Path of WLB on Deviant Behavior)

  • 강수영;강영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711-720
    • /
    • 2022
  • 본 연구는 일과 생활 균형의 일탈행동에 대한 영향력 관계에서 직무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실증연구를 위한 자료는 제주지역에 근무하는 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수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동일방법편의를 최소화하기 위해 쌍으로 구성된 총 400쌍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355부를 회수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57부를 제외하고 총 298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과정은 SP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연구자들의 예상과 같이 일과 생활 균형은 직무효능감과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확인되었고, 일탈행동에는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양자관계에서 다중매개 효과는 직무효능감은 완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나 회복 탄력성은 양자관계를 연결하는 주요 매개변수로의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기존연구에서 주목받고 있는 일과 삶의 균형을 개인 차원에서 발생하는 생산적 행동에 대한 긍정적 역할의 범주를 넘어 이를 반생산적 행동으로 연구 범주를 확대하고 그 역할에 대한 의미 있는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다.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이 영유아의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 정정연;변상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32
    • /
    • 2017
  • 영유아기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 사고를 바탕으로 남과 더불어 살아 갈 수 있는 능력의 기초를 이루는 사회 정서적 발달의 결정적 시기로서 영유아기의 발달이 성인기까지의 성공적인 삶에 영향을 미치지만, 잘못되는 경우 세대를 넘어서까지 전이되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영유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어머니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그 중에서도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그러나 양육자가 보이는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양육태도보다는 부모역할지능이 오히려 부모의 양육행동을 구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현실적인 도구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보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영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부모들이 점차 줄어드는 영육시간에도 불구하고 보다 성공적인 영유아 발달을 꾀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영유아의 보육시설에서도 영유아의 문제행동을 치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에도 유익한 정보를 활용되도록 하고자 한다.

  • PDF

인지-감성소구의 광고평가에 대한 사전지식과 관여도의 상대적 역할 (The Relative Role of Prior Knowledge and Involvement on Cognitive-Affective Advertising Evaluation)

  • 황윤용;나광진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4권2호
    • /
    • pp.104-132
    • /
    • 2002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광고평가과정을 정보처리능력의 관점인 사전지식과 정보처리동기의 관점인 관여도의 조절적 역할을 고려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지자극과 감정자극이 동시에 제공된 광고에 대하여 소비자들의 인지적, 감정적, 행동의욕적 평가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각 구조적 관계들을 사전지식수준과 관여도수준에 따라 그 상대적 역할들을 살펴보았다. 실증분석결과 본 연구는 기존의 DMH 모델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광고에 대한 감정적 평가(Aad)에서 상표에 대한 인지적 평가(Cb)통해 상표에 대한 감정적 평가(Ab)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는 관여도보다는 사전지식이 더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고에 대한 감정적 평가(Aad)에서 상표에 대한 감정적 평가(Ab) 그리고 상표에 대한 감정적 평가(Ab)에서 상표에 대한 행동의욕적 평가(Ib)로의 영향력은 관여도가 중요 조절변수임을 확인하였다.

  • PDF

차상위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선제적 행동(주도적 행동·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econd-level Supervisor's Ethical Leadership on Employee' Proactive Behavior(Taking Charge Behavior, Helping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Immediate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 박재춘;복경수;김주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730-744
    • /
    • 2016
  • 본 연구는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에 영향을 주는 차상위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의 효과를 실증함과 동시에 차상위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과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선제적 행동(주도적 행동,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또한 차상위 리더의 도덕적 행동과 구성원의 선제적 행동의 관계에서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먼저 차상위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 중 도덕적 행동이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차상위 리더의 행동진실성과 맥락적 일관성은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차상위 리더의 도덕적 행동은 구성원의 선제적 행동(주도적 행동, 도움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차상위 리더의 행동진실성은 구성원의 주도적 행동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차상위 리더의 맥락적 일관성은 구성원의 선제적 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선제적 행동(주도적 행동, 도움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차상위 리더의 도덕적 행동과 구성원의 선제적 행동(주도적 행동, 도움행동)의 관계에서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부분매개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차상위 리더의 행동진실성 및 맥락적 일관성과 구성원의 선제적 행동과는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토의 및 결론을 통해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