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Emotion Regulatio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Prosocial Behavior

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 및 교사-유아 관계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3.04.10
  • Accepted : 2013.08.14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young child's temperament, emotion regulatio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4 3- 5-year 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correlations and pathway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irls' prosocial behavior was found to be higher than boys'. Second, boys' and girls' temperament were found to affect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emotion regulation. Third, teacher-child relationships was found to affect boys' prosocial behavior directly and to mediate between boys'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and prosocial behavior. Additionally emotion regula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boys' and girls' prosocial behavior and to mediate between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prosocial behavior.

본 연구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유아의 기질, 정서조절 및 교사-유아 관계의 직 간접적인 영향을 남아와 여아를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3, 4, 5세 유아 373명과 그들의 교사 32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Pearson's correlation, path analysis를 통하여 분석 되었다. 그 결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여아가 남아보다 더 많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기질적 특성은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며 이 중 사회성은 성에 관계없이, 활동성은 여아의 경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교사-유아 관계는 남아의 경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성, 정서성, 활동성 기질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매개역할도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여아의 경우 친사회적 행동에 교사-유아 관계는 정서조절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만 미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정서조절은 성에 관계없이 가장 중요한 선행요인이며 기질과 친사회적 행동 간에 또한 교사-유아 관계와 친사회적 행동 간에 매개 역할도 함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희, 김경회(1999). 유아용 정서지능 평정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1(2), 31-48.
  2. 김계수(2007).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3. 김규수, 박승순, 권소영(2003).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8(1), 253-270.
  4. 김미경, 정정란(2005). 유아의 개인 내적 특성에 따른 친사회적 도덕추론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5(2), 129-155.
  5. 김정순(2005).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상관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지윤, 도현심, 김민정(2008). 부부갈등과 유아의 기질 및 정서조절능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5), 133-150.
  7. 김지현(2006).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외적 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나은영(2006). 유아의 기질과 친사회적 행동간의 관련성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문상희, 이경님(2012).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69-89.
  10. 민혜영(1998).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인과 개인 내적 변인들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박경자(1999).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 대한가정학회지, 37(1), 79-89.
  12. 박서정, 김순옥(2003).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부모와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생활과학, 6, 151-172.
  13. 박성연, 한세영(1996).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적 조화/부조화에 따른 어머니의 일상적 양육스트레스. 한국아동학회지, 17(1), 245-258.
  14. 박영태, 이경님(2011).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235-256.
  15. 박지숙, 박성연(2008).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5(4), 1-6.
  16. 설경옥(2006). 아버지의 심리적 자세 및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설경옥, 문혁준(2006).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대한가정학회지, 44(7), 1-9.
  18. 성숙란(2007). 유아의 성별,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송명자(1996). 발달심리학, 서울:학지사.
  20. 안라리(2005). 유아의 개인 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정서발달, 사회적 능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안선희(2002). 유아의 어머니, 교사, 또래와의 관계와 유치원 적응.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3), 163-180.
  22. 양경수(2011).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지, 49(2), 75-84. https://doi.org/10.6115/khea.2011.49.2.075
  23. 우수경, 최기영(2002). 성별에 따른 유아의 정서능력과 관련변인 간 구조분석. 아동학회지, 23(6), 15-32.
  24. 이병래(1997). 부모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선애, 현은자(2010).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연구. 아동학회지, 31(2), 1-15.
  26. 이진숙(2001). 유아의 애착 표상과 교사-유아 관계 및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진숙, 조복희(2001). 유아의 애착 표상과 교사-유아 관계 및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2(3), 17-29.
  28. 이혜주(1996). 친사회적 행동훈련이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아동의 친사회적 도덕추론, 사회적 책임감, 친사회적 행동동기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임희수, 박성연(2002). 어머니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3(1), 37-54.
  30. 장영숙, 강경석, 김희정(2003). 유아의 연령 및 성별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아동학회지, 24(4), 41-53.
  31. 전경아(2003). 유아의 또래관계와 교사와의 관계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조은진(2003).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비판적 문헌 고찰과 연구 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7(4), 181-202.
  33. 지민경, 정계숙(2011). 유아 정서조절능력, 유아-교사 관계의 또래유능성과의 관련성 연구. 생애학회지, 1(1), 33-46.
  34. 최미숙, 김미숙(2005).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사회적 능력과의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42, 209-228.
  35. 홍혜란, 하지영, 서소정(2008).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9(6), 15-33.
  36. Berk, L. E. (2006). Child Development(7th). New York: Pearson Education. Allyn & Bacon.
  37. Buss, A. H., & Plomin, R. (1984). Temperament :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Hillsdale, NJ: Erlbaum.
  38. Bornstein, M. C. & Lamb, M. E.(2009). Developmental Science, 발달과학(곽금주, 김민화, 신혜은, 김연수, 이새별, 이승진 공역). 서울: 학지사 (원판 2005).
  39. Cole, P. M., Michel, M., & Teti, L. O'Donnel. (1994).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isregulation. A clinical perspective. In N. A. Fox(Eds.).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Biological and behavioral considerations(pp.53-72).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Vol. 59, nos. 2-3, serial no.240).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0. Denahm, S. A., Zoller, D., & Couchoud, E. (1994). Socialization of preschoolers' emotion understand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0, 928-936. https://doi.org/10.1037/0012-1649.30.6.928
  41. DeMuller, E. J., Denham, S., Schmidt, M., & Mitchell, J. (2002). Q-sort assesment of attachment security during the preschool years: Links from home to 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36(2), 274-282.
  42. Doescher, S. M.(1986). Impact of prosocial classroom and home learning programs on preschool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Unpublished Dissertation, Oregon State University.
  43. Eisenberg, N., Fabes, R. A., Karbon, M., Murphy, B. C., Wosinski, M., Polazzi, L., Carlo, G., & Juhnke, C.(1996). The relations of children's dispositional prosocial behavior to emotionality, regulation, and soci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67, 974-992. https://doi.org/10.2307/1131874
  44. Eisenberg, N., Fabes, R. A., & Spinrad, T L.(2006). Prosocial development. In W. Damon & R. M. Lerner(Series Eds,) & N. Eisenberg(Vol.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6th ed., pp. 646-718). Hoboken, NJ: Willey.
  45. Fabes, R. A., & Eisenberg, N. (1996). An Examination of sex and age differences in prosocial behavior and empathy. Unpublisched data, Arizona State University.
  46. Goleman, D. P. (1995). Emotional Intelligence: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 for character, health and lifelong achievement. Bantam Books, New York.
  47. Grusec, J. E., Goodnow, J. J., & Cohen, L. (1996). Household work and the development of concern for others. Developmental Psychology, 32, 999-1007. https://doi.org/10.1037/0012-1649.32.6.999
  48. Halberstadt, A. G., Denham, S. A., & Dunsmore, J. C.(2000). Affective social competence. Social Development, 10, 79-119.
  49. Howes, C., & Hamilton, C. E. (1993). The changing experience of child care: Changes in teachers and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 15-32.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096-1
  50. Howes, C., Phillipen, L. C. & Peisner-Feinberg, E. (2000). The consistency of perceived teacher-child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and kindergarte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8, 118-132.
  51. Kail, R. V. (2007). Children and their development(5th). Pearson Prentice Hall.
  52. Parker-Cohen, N. Y. (1983). The relationship of temperament to social behavior in the prosocial setting.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Virginia.
  53. Pianta, R. C. (1991).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University of Virginia, Charlotteville, VA.
  54. Radke-Yarrow, M., Zahn-Waxler, C. (1983). Roots, motive, and patterns i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In J. Reykowski, T. Karylowski, D. Bar-Tal, & E. Staub(Eds.), Origins and maintenance of prosocial behavior. New York: Plenum Press.
  55. Salovey, P., & Mayer, J. D. (1996).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Salovey, P., & Sluyter, D.(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 Implication for ecudators. New York: Basic Book.
  56. Shiner, R. & Caspi, A. (2003). Personality differ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t : Measurement, development, and consequence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4(1), 2-32. https://doi.org/10.1111/1469-7610.00101
  57. Steinberg, L., Vandel, D. L., & Bornstein, M, H. (2012). Development: Infancy through adolescence, 아동발달(곽금주, 김경은, 김근영, 김연수, 이강이, 한세영 옮김). 서울: 학지사 (원판 2011).
  58. van der Mark, I. L., van Ijzendoorn, M. H., & Bakermans-Kranenburg, M. J. (2002). Development of empathy in girls during the second year of life: Associations with parenting, attachment, and temperament. Social Development, 11, 451-468. https://doi.org/10.1111/1467-9507.00210
  59. Weir, K., & Duveen, G. (1981). Furth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 for use by teacher.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2, 357-374. https://doi.org/10.1111/j.1469-7610.1981.tb00561.x
  60. Zahn-Waxler, C., Schiro, K., Robinson, J., Ernde, R. N., & Schmitz, S (2001). Empathy and prosocial patterns in young MZ and DZ twins: Development and genetics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In R. N. Ernde & J. K. Hewitt (Eds.), Infancy to early childhood: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developmental chang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Cited by

  1.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Child Aggression: Focusing on Child Negative Emotionality and Emotion Regulation, Mother Rejective Parenting, and Teacher-Child Conflict vol.37, pp.4, 2016, https://doi.org/10.5723/kjcs.2016.37.4.117
  2. 통합교실에서 주제환상극 놀이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vol.10, pp.2,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2.213
  3. 남녀 유아의 수줍음과 또래괴롭힘 피해 간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중재효과 vol.10, pp.5,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5.025
  4. Young children’s caring behaviors and emotional regulation depending on the degree of prosocial and aggressive behaviors perceived by peers vol.7, pp.3, 2013, https://doi.org/10.30528/jolss.2017.7.3.001
  5.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유아의 사회적 힘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vol.15, pp.1,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