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역할내행동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9초

임파워링 리더십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리더신뢰 및 역할 내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Leader-Member Exchange, Leader Trust and In-role Behavior)

  • 이규용;송정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594-61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Leader-Member Exchange), 리더신뢰, 역할 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임파워링 리더십과 역할 내 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LMX와 리더신뢰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양산, 울산, 경주의 중소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28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반적인 기술통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해 SPSS 18.0을 사용하였다. AMOS 18.0을 사용하여 연구변수의 타당성을 파악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연구가설을 검증하고자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LMX, 리더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역할 내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LMX은 리더신뢰와 역할 내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더신뢰는 역할 내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임파워링 리더십과 역할 내 행동 간의 관계에서 LMX와 리더신뢰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조직구성원의 역할 내 행동을 높이기 위해서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을 통한 LMX과 리더신뢰를 강화시켜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세무조사자들의 집단응집성과 상사에 대한 신뢰가 팀몰입과 역할내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ax Investigators' Group Cohesiveness and Supervisor Trust on the Team Commitment and In-role Behavior)

  • 홍순복;정우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218-225
    • /
    • 2009
  • 본 연구는 세무조사자들이 세무행정업무수행과정에서 인식하는 집단응집성과 상사에 대한 신뢰가 팀몰입과 역할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세무조사자들의 집단응집성과 상사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팀몰입이 높아지며, 팀몰입 높을수록 역할내행동이 높아져 세무조사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납세자들의 세무서비스만족도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세무조직관리자들은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고, 팀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팀의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확고한 목표설정과 상황에 맞는 전략개발 그리고 선수들의 성과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하며, 세무조사자들의 근무의욕을 높이기 위한 조직 인사 근무형태 보수 후생복지 등 모든 분야에서 유기적인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들의 역할 내 행동과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괴리현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In-Role Behavior and Psychological Capital: The Moderating Role of Management Decoupling and Personal Decoupling)

  • 김문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8-62
    • /
    • 2017
  • 거대기업들의 분식회계와 비윤리적인 기업경영, 리더십의 부재를 지켜보면서 본 연구는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들의 역할 내 행동과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경영진 괴리현상과 개인 괴리현상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팀을 이끌어가고 있는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들에게 제대로 받아들여짐으로써 긍정적인 성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조직의 최종의사결정자인 최고경영진이 조직의 미션과 일치되지 않는 행동을 보이는 경영진 괴리현상을 인지할 경우, 윤리적 리더십의 긍정적인 효과가 방해를 받거나 상쇄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팀원들 자신의 행동이 조직의 미션과 일치되지 않는 개인 괴리현상을 인지할 경우에도 윤리적 리더십의 효과는 감소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윤리적 리더십과 괴리현상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다. 은행, 반도체회사, 대학병원에 종사하고 있는 922명의 종업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은 팀원들의 역할 내 행동과 긍정심리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영진 괴리현상의 조절효과가 검증됨으로써 조직의 미션과 다르게 행동하는 경영진 괴리현상이 윤리적 리더십의 긍정적인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윤리적 리더십과 경영진 괴리현상이 조직의 실무자에게 주는 함의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래괴롭힘 피해경험 학생들이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자가 되는 경로에서 교사의 차단적 역할 검증 (Pathway barricade from peer bullying victim experience to bystander's negative behavior: Teacher's role in classroom)

  • 임선아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3호
    • /
    • pp.453-470
    • /
    • 2019
  •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또래괴롭힘이 심화되도록 하는 주변인 역할 행동을 하는데 있어 교사의 폭력에 대한 태도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또래괴롭힘 피해학생의 반응적 공격성이 교사의 폭력 허용도의 영향을 받아 결과적으로 또래괴롭힘 방관 및 동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또래괴롭힘 현상이 교실 내에서 심화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교사의 역할의 중요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0개 초등학교 40개 반의 4, 5, 6학년 학생 8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설문응답자 중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이 있다고 보고한 학생들 365명의 설문자료만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교사의 폭력 허용도가 낮을수록 또래괴롭힘 피해학생의 동조행동과 방관행동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교사가 폭력에 대해 허용치 않는 태도를 보일 때 또래괴롭힘 피해학생들의 반응적 공격성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폭력허용도는 학생의 반응적 공격성을 매개하여 또래괴롭힘 가해 동조행동과 방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교실 내 폭력에 대해 허용하지 않는 담임교사의 태도가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 학생들의 공격성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또래괴롭힘 방관 및 동조행동을 낮춤으로써, 교실 내 또래괴롭힘 현상이 심화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양육효능감: 자녀양육행동 매개 모델 (Maternal Self-Efficacy: A Mediational Model of Quality of parenting)

  • Seo, So-Jung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1-27
    • /
    • 2004
  •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어머니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들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양육효능감이 어머니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들과 자녀양육 행동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인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양육효능감, 자녀 양육행동, 아동 발달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미국 내 거주하는 Early Head Start 프로그램 의 수혜 자인 저 소득층의 어머니와 영 아들을 (출생∼36개월) 대상으로 한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어머니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들로 어머니의 연령, 소득수준, 양육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효능감은 어머니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 특히 어머니의 연령과 양육행동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효능감, 양육행동, 아동발달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서만 유의한 정적인 강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과는 맥을 같이하는 연구결과이지만, 저소득층(high-risk families)의 어머니와 영아를 대상으로 양육효능감을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는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나아가, 이 연구의 결과는 저소득층을 위한 아동 및 가족의 통합적 복지사업을 실천하는데 있어 의미가 있는 것으로 시사된다. 사회 경제적 자립을 위한 기회 제공과 자녀양육을 하는데 있어서 전문가의 직접적인 모델링을 통한 부모교육을 통해서 양육효능감을 향상시켜나갈 때, 아동 및 가족 복지 실현의 궁국적 목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가상환경 내 위반행동 경험에 따른 대뇌전위 변화 연구 (The change of brain potentials to offense behavior experience in virtual environment)

  • 장기원;이장한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608-611
    • /
    • 2007
  • 본 연구는 가상환경에서 위반행동을 한 사람에게 그 행동에 관한 단서를 제시하였을 때 나타나는 심리 생리적 변화를 측정하고자 한다. 피험자는 가상환경에서 주어진 시나리오에 따라 목적지까지 자동차를 운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시나리오는 운전을 하는 도중에 사고를 내고 차량을 수리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피험자는 위반, 관찰, 통제집단의 세 집단으로 선별되며, 위반집단은 고의적으로 교통사고를 일으키게 된다. 위반 행동을 한 피험자에게 사건에 관련된 질문을 컴퓨터로 제시하고 동시에 뇌파를 측정한다. 사건 관련 질문은 위반행동과 관련이 있는 장소, 차량, 행동에 대한 답변보기들로 구성되었으며 피험자에게는 위반행동과 무관한 보기답안과 함께 제시된다. 측정결과, 위반행동과 무관한 보기답안 보다 위반행동과 관련된 보기답안에서 높은 뇌파 반응이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위반행동을 탐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 확장을 통해 가상환경으로 실제 위반 상황을 재구성하여 적용하는 것도 유용해 보인다.

  • PDF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리더신뢰와 발언행동의 직렬다중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members' Innovative Behavior: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Trust in Leader and Voice Behavior)

  • 김수;장은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9-18
    • /
    • 2022
  • 조직성과는 리더의 행동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지니고 있고 다양한 리더십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리더십의 유형과 그에 따른 역할은 다양하지만 현재 중국 조직은 지속적으로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조직의 지속적 발전과 성과 향상을 위해 윤리적 요소들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중국 조직내에서의 역할을 규명하고 이에 따른 성과 수준을 검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성과와 관련하여 오늘날 혁신을 요구하는 상황을 기반으로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더 나아가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구성원의 리더에 대한 신뢰와 발언행동의 다중직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중국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 336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를 통해 윤리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혁신행동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윤리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을 향상시키는 과정에서 리더신뢰와 발언행동의 다중직렬 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총체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중국 조직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윤리적 리더십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으며 윤리적 리더십 연구 측면에 기여하였다. 마지막으로 윤리적 리더십과 성과향상에 대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상사의 가족친화적 행동이 종업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family supportive supervisor behaviors on employees' performances)

  • 김영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03-111
    • /
    • 2021
  • 본 연구는 상사의 가족친화적 행동이 종업원의 직장에서 성과와 가정에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보고 더불어 상사의 가족친화적 행동 수준이 어떤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최근 증가하고 있는 가족친화적 근로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경북거주 불특성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총346개의 표본이 연구에 사용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해 t-test,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라 상사의 가족친화적 행동 수준 차이는 없었으나 결혼유무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의 가족친화적 행동은 종업원의 업무몰입, 종업원의 주관적 웰빙, 가족내 역할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인간 행동패턴 결정을 위한 상황인식 미들웨어에 대한 연구 (A Study Context Aware Middle for Decision of Human Behavior Pattern)

  • 최순용;최종화;신동일;신동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2)
    • /
    • pp.538-540
    • /
    • 2004
  • 이 논문에서 제안된 인간행동패턴 결정을 위한 상황인식 미들웨어는 Intelligent Home환경에서 인간과 Home환경과의 지능적인 Agent로써의 역할을 담당한다. 우리는 제시된 논문에서 인간행동패턴 결정을 위한 상황인식 미들웨어의 아키텍처를 제안하고 상황인식 미들웨어 내에서 동작하는 인간행동패턴 학습 및 결정 프로세서에 대한 구조와 구현내용에 대한 설명을 한다. 인간행동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기본 컨텍스트들을 환경 컨텍스트와 생체 컨텍스트로 크게 두 그룹으로 분리하였고 각 그룹은 세 개의 컨텍스트를 포함하고 있다. 환경과 생체로 나뉘어진 총 6개의 컨텍스트들을 정의하고 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컨텍스트는 9단계로 정규화 되어 상황인식 미들웨어에서의 다음 단계인 인간행동패턴 학습 및 결정 프로세서로 정규화 된 값을 전달된다. 인간행동패턴 학습 및 결정 프로세서에서는 패턴인식에 대한 세부사항을 설명한다.

  • PDF

임파워먼트 리더 행위와 개인 및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Empowerment Leader Behavior and directed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 OCB)

  • 구성득;이선규;강은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155-165
    • /
    • 2017
  • 본 연구는 개인의 역할 외 행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조직시민행동을 조직 및 개인의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이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투입요인으로 임파워링 리더십을 선정하고, 신뢰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이를 밝히기 위해, 대구 경북의 제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임파워링 리더십은 개인 지향 및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는 임파워링 리더십과 개인 및 조직 지향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조직 내 조직시민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행 지침이 될 것이며, 나아가 조직시민행동의 연구의 영역을 확장시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