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역량모델

검색결과 713건 처리시간 0.03초

농촌지도 역량모델 개발을 위한 이론과 실제 (Competency Theory and Practice for Developing a Extension Competency Model)

  • 심미옥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5권1호
    • /
    • pp.75-111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 농촌지도인력 역량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역량의 정의, 역량모델 개발방법,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역량모델 활용 현황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역량은 사용되는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서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어 사전적인정의와 다양한 연구자들의 역량의 정의에 대한 이론, 특정한 조직이나 직업군에서 사용되고 있는 역량의 정의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역량은 개인의 역할 수행과 직무성과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훈련과 개발을 통하여 개선되어질 수 있는 관련된 지식, 기술, 태도의 집합체로 정의하였다.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방법도 다양한데, 초기단계에서는 탁월한 직원과 일반직원의 특정한 업무추진사례를 인터뷰와 관찰을 통하여 분석하여 이들 간에 차이를 가져오는 특성이나 행동을 추출하는 직무역량진단법이 주로 활용되었다. 이 방법에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어 이를 간소화한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었다. 또한 기존 직원 특성 분석보다 다양한 정보원과 미래에 대한 가정을 활용하여 바람직한 직무 결과와 역량, 역할을 추출하는 방법도 개발되었으며 직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적인 특성상 이런 방법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런 다양한 방법 중 역량 모델을 활용할 직무나 조직의 특성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역량모델을 활용한 인적자원개발을 통하여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조직에서도 효율적인 직원 역량 개발, 개인과 조직의 성과 향상 등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앞으로 농촌지도조직에서도 지도인력 역량 개발과 지도사업의 효율성을 향상을 위하여 역량모델을 개발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 PDF

가정과 초임교사 역량모델 개발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 for Beginning Teachers in Home Economics)

  • 감경원;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25-14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초임교사의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에 역량모델 개발 준비, 구체화, 타당성 검증, 역량진단의 4단계에 걸쳐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1차 역량모델(안)을 도출하고, FGI를 통해 2차 역량모델(안)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2차 역량모델(안)의 타당성을 검증한 결과,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역량군과 역량, 역량의 정의는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과 초임교사에게 가장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최우선 역량'으로는 총 7개의 역량('수업설계역량', '수업실행역량', '학습지원역량', '교육과정운영역량', '학생평가역량', '자료개발 및 활용역량', '자기관리역량')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개발한 '가정과 초임교사 역량모델'은 총 4개의 역량군과 22개의 역량 및 역량 정의로 구성되었으며, 각 역량군별 역량은 가정과 초임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역량일수록 상위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FGI와 역량진단을 통해 가정과 초임교사들의 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역량기반 치의학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역량모델 개발 사례 (A Case of Developing a Competency model for the revision of the dentistry education curriculum on the competency-based)

  • 황재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347-354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W치과대학의 역량기반 치의학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역량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방법은 역량모델 개발절차를 3단계로 진행하였다. 역량모델 준비 단계는 구성원의 인식조사를 분석하고, 개발단계는 역량수준 등을 개발하였다. 평가단계는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그 결과 내용타당도지수(CVI: content validity index)는 .91로 높은 CVI를 나타났으며, 대학차원의 공통역량인 4개의 핵심역량과 전공역량인 직무역량을 연계한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걸쳐 개발된 W치과대학의 역량모델 개발 사례는 앞으로 역량모델 개발이 필요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W치과대학의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편에도 반영할 예정이다.

기업체에서의 역량모델 개발과 활용실태 분석 (The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of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 and Application in Corporation)

  • 주인중;김덕기;정종태;김호현;최선아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309-334
    • /
    • 2010
  • 글로벌 경제 전쟁 하에서 각 기업의 경쟁력은 효율적 인재개발에 의한 고성과 창출에 있다. 이에 최근 규모가 있는 선진화된 기업을 중심으로 기업의 비전과 전략에 기반한 구성원의 역량과 성과를 분석하고 역량모델을 개발하여 기업 내 인적자원 개발과 관리에 적극 도입하고 있는 추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 역량진단을 위해 국내 기업에 도입되고 있는 역량모델에 대한 활용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기업체에서의 역량모델의 개발 및 활용 실태 파악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전문가협의회, 자문위원회를 통해 설문 항목을 구성하여,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대부분의 기업들이 규모나 업종에 관계없이 주로 외부 모델을 벤치마킹하여 자체개발하거나, 외부컨설팅사의 부분적인 주도하에 개발된 역량모델을 사용하고 있어 기업특성에 맞는 역량모델 개발의 중요성이 시급하였다. 둘째는 역량모델 도입계기의 주요 이유가 근로자 역량강화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발된 역량모델을 인적자원관리 전 분야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역량모델 활용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였다. 셋째는 기업의 역량모델 사후관리의 체계화에 대한 중요성이다. 이는 기업의 규모와 업종에 관계없이 다수의 기업이 업무환경 변화로 인하여 역량모델을 업그레이드 하거나, 또는 개발된 역량 모델을 아예 업그레이드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기업 현장에서 역량모델이 개발되고 활용되는 실태에 대한 초기연구인 만큼, 역량모델을 활용하고 있는 국내 기업의 내부 상황이나 조직 구성원의 특정 직급에 따른 심층 연구의 초석이 될 것이다.

신임 해상교통관제사의 역량모델 개발

  • 장은규;김정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89-289
    • /
    • 2018
  • 해상교통관제사의 역량기반 교육훈련의 실시를 위해 개인의 역량을 파악하고 조직이 요구하는 수준에 대하여 개인에게 필요한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해상교통안전을 증진시키고 조직 내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를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신임 해상교통관제사의 역량기반 교육훈련 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npetency Standards)과 IALA 권고서 V-103/1에서 제시된 해상교통관제사의 직무역량을 통합하여 하나의 역량모델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 PDF

중등 정보교사의 역량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 for teacher of informatics in secondary education)

  • 고영민;김대영;김한일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3-43
    • /
    • 2016
  • 최근 학교교육에 있어서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한 교육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역량을 주제로 타 교과에서는 다양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는 반면, 정보교과 교육 분야에서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교사로서 갖춰야할 역량을 도출하여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역량과 관련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해 역량모델 개발방법 및 절차를 선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FGI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반적인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등 정보교과교육과 관련한 문헌연구를 통해 역량모델 1차 초안으로 6개의 범주, 17개의 역량, 66개의 행동지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역량모델 1차 초안에 대해 적절성을 검토하고자 정보교과 교육관련 현직교사 및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두 차례의 FGI 녹취자료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5개의 능력, 11개의 능력단위, 159개 문항으로 구성된 최종 역량모델 초안을 완성하였다. 이후 최종 완성된 역량모델 초안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정보교과 교육관련 현직교사, 대학교수 및 관련 전문기관 연구원 1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분석결과, 11개의 능력단위별 모두 .9 이상의 높은 신뢰도와 159개 문항의 적절성에 대해 모두 3.5 이상의 평균값을 나타내어 5개의 능력, 11개의 능력단위, 159개 문항 모두를 역량모델에 포함시켜 최종 정보교사의 역량모델을 완성하였다.

감각통합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Competency Model for Occupational Therapist)

  • 남궁영;김경미;김미선;이지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2-34
    • /
    • 2017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우수한 수준으로 감각통합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개발된 역량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문헌고찰, 개방형 설문조사, 전문가 포커스 회의를 통해 역량군, 역량, 행동지표의 체계를 가진 감각통합중재를 위한 역량모델 초안을 작성하였고, 2차의 델파이조사와 전문가 자문을 받아 역량모델을 확정하였다. 결과 : 총 4개 역량군, 15개 역량, 60개 행동지표로 구성된 감각통합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전문성 역량군'에는 5개의 역량(작업치료 일반 지식, 감각통합중재이론 지식, 평가 기술, 분석 기술, 중재 기술)과 31개의 행동지표가 포함되었다. '전문가 의식 역량군'에는 4개의 역량(전문성 고취, 교육, 윤리 의식, 정책적 관심)과 13개의 행동 지표가 포함되었다. '대인 관계 역량군'에는 2개의 역량(의사소통, 협력)과 6개의 행동지표가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개인적 특성 역량군'에는 4개의 역량(자기 확신, 자기 성찰, 자기 관리, 긍정적 태도)과 10개의 행동 지표가 포함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의 한 영역인 감각통합중재를 위한 지식, 기술, 태도를 포함한 역량 모델을 개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는 향후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의 역량기반교육과정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미디어역량 모델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Basic Study for Developing Media Competency Model)

  • 이찬;박여성;이병준;최영준
    • 문화예술교육연구
    • /
    • 제6권3호
    • /
    • pp.21-37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생애 전 영역에서 활용가능한 문화역량모델 개발을 논의하고 학교교육, 평생교육, 기업교육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 및 미디어 분야의 고성과자를 대상으로 한 패널 워크숍, 전문가 검증 등을 실시하여 문화역량을 구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미디어 분야에서 달성해야할 핵심성과를 도출하였는데, 이는 업무의 효율성 증대, 창의적 기획 가능, 미디어 환경 변화,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 및 참여 증대, 관계능력 향상, 자기성찰의 기회 증대, 자기만족과 같다. 이러한 핵심성과를 달성하는데 요구되는 문화역량은 62개가 구명되었으며, 각 역량에 대한 역량정의와 행동지표를 도출하여 최종적인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제시하였다.

중소벤처기업의 R&D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영향: 제조역량, 비즈니스모델 이해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R&D Capability & Performance: Focusing the Moderating Role of Manufacturing Capability &Employee's Understanding the Biz-model)

  • 김효정;최원용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79-92
    • /
    • 2022
  • 본 연구는 자원기반론 관점에서 중소벤처기업의 R&D 역량, 제조역량, 비즈니스모델 이해도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특히, 제조역량과 비즈니스모델 이해도가 R&D 역량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조절한다는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분석하였다. 2019년 벤처기업 정밀실태조사 데이테를 활용하여 1103개의 중소벤처기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횡단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벤처기업의 R&D 역량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못했고, 제조역량과,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이해도는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R&D 역량과 제조역량의 상호작용은 성과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즈니스모델 이해도는 R&D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양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한국 벤처기업의 R&D 역량은 조직원들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웹 2.0 방식의 직무역량모델링 방법 개발 (Developing a Web 2.0 based Job Competency Modeling Method)

  • 황은동;정윤민;김수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03-215
    • /
    • 2009
  • 현재 상당수 기업에서 인력육성 및 관리 분야에 활용하는 직무역량모델은 현장 업무를 반영하지 못하거나 개발된 직무역량 모델이 실제 활용에 구체적이지 못해 업무 활용도가 떨어지는 상황이다. 한국 기업의 직무역량모델 개발 현황과 이를 기반으로 한 교육체계 개발 현황을 조사한 결과, 종업원 400인 이상 기업의 43.5% 정도가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했으며,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한 기업 중 31.7%는 만들어진 역량이 상세하지 못해 직무역량을 기반으로한 교육체계를 개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문제 해결을 위해 '웹 2.0방식의 직무역량모델링 방법'을 소개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개발한 직무역량모델과 대부분 기업의 직무역량을 개발하는 방식인 전문가 중심의 개발된 직무역량모델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웹 2.0 방식의 개발한 직무역량모델에 대해 역량명의 정확성, 수용성 그리고 역량기술서의 유용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환경에 맞는 구체적인 역량이 도출된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