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역량강화 인식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3초

문화복지 실천가의 역량강화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wareness of Cultural Welfare Worker on Empowerment)

  • 최종혁;유영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113-136
    • /
    • 2012
  • 본 연구는 문화복지 실천가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실천유형에 따라 어떠한 방식으로 역량강화전략을 구사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문화복지 실천가들은 우선 문화복지를 불안정한 휴먼서지스직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복지 실천가의 활동 유형을 크게 전문적 참여활동가와 기능적 참여활동가로 유형화 할 수 있으며, 이들은 하나의 연속선상에서 양극단에 위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때문에 문화복지 실천가의 역량강화 전략은 이들의 실천유형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의 역량강화전략과 관련하여서는 이를 순기능적으로 진작시켜주는 촉진요소가 있는가 하면, 역기능적으로 작용하는 저해요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실천가들은 역량강화를 위해서 그들이 전문직군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공식적인 요건 마련과 그들에게 맞는 다양한 교육스펙트럼을 높일 것을 제안하고 있다. 문화복지 실천가들의 역량강화 인식을 분석한 본 연구는 향후 이들에 대한 교육과 슈퍼비전, 인력양성정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농촌마을 주민의 농업 비점오염원 관리 역량강화 교육의 효과 (Outcomes from an education program operation to manage agricultural NPS pollution at a typical rural village)

  • 장정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59-59
    • /
    • 2018
  • 최근 수질오염원 중에서 비점오염원의 영향 높아지고 있다. 특히, 농경활동에서 유래되는 비점오염원이 공공수역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고 있다.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비점오염원은 관리대상 면적이 넓어 비점오염 배출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사전예방적 차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하지만, 비점오염원에 대한 농업인과 주민들의 인식 부족으로 인하여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근래에 농업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노력으로 물리적 기술적 접근만이 아니라 사회 문화적 접근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사회문화적인 접근 방법으로서 전형적인 한국의 농촌 마을에서 농업 비점오염원에 대한 인지도 향상과 자발적 저감활동 실천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개발된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이 교육 대상자인 농업인, 주민, 마을지도자의 인식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역량강화 프로그램은 농업인과 지역주민, 마을리더의 인문사회적 특성을 고려하여 공통과정과 맞춤형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농업인은 농업비점오염 저감에 적용할 수 있는 시비관리와 배수 물고관리, 영농폐기물 관리, 친환경농업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마을주민은 고령화된 여성의 비율이 높은 것을 고려하여 분리수거, 쓰레기 문단투기 및 소각, 마을 미래상과 환경실천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마을리더에게는 공동체 활성화 리더쉽, 주체적 주민참여, 갈등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공통적으로는 비점오염원과 농업 비점오염원의 정의와 유형, 마을환경관리 실천활동, 친환경농업 선진지 견학으로 구성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은 2년 동안 진행되었으며 마을별로 방문하여 진행하였다. 농촌 마을에서 농업비점오염원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 전의 소극적 참여의사에서 적극적인 활동 참여로 발전하였으며, 비점오염원에 대한 인식 및 관리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었다. 농업 비점오염원 보다는 일반적인 비점오염에 대한 인지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농촌지역에서 농업비점에 대한 인식 변화가 저감활동 실천으로까지 이루어지는 가시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장기간이 소요됨을 시사하였다.

  • PDF

역량강화 중심의 마을 만들기 참여에 따른 주민인식변화 분석: 충청남도 공주시를 사례로 (Analysis on Changes of Residents Cognition According to Level of Participation in Community Building around Empowerment)

  • 조소진;정환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9-105
    • /
    • 2017
  • 본 연구는 충청남도 공주시 살기 좋은 희망마을 만들기를 사례로 역량강화 중심의 마을 만들기 참여에 따른 농촌주민의 인식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희망마을 만들기 참여가 주민인식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참여빈도가 높은 주민일수록 인식변화 정도가 크고 참여빈도에 따라 변화된 인식요소가 다르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희망마을 만들기 단회 참여 주민의 경우 거시적인 농촌 현실에 대한 인식변화가 나타났으며, 3회 이상 참여 주민에게는 현재 자신들의 삶터에 대한 인식 변화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5회 이상 참여 주민에게는 성공적인 마을 만들기를 위해서 주민의 참여와 협조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자리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역량강화 중심의 마을 만들기는 주민 인식 전환과 주민단합의 매개체로 농촌커뮤니티 복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속적인 역량강화 중심의 마을 만들기는 농촌에 새로운 변화와 농촌 커뮤니티의 회복, 농촌경쟁력 향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PDF

영어교육전공의 핵심역량중심 학습 프레임워크와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Framework and Curriculum of Core Competency-Based Learning in English Education Major)

  • 김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459-468
    • /
    • 2021
  • 본 연구는 역량에 대한 영어교육과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 분석하여 좀 더 효과적으로 영어교육관련 교과역량과 핵심역량강화를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핵심역량에 대한 영어교육과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 분석하였으며, 이 결과와 Education 2030 프로젝트,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영어교육과의 핵심역량 중심 교육방법을 연구하였다. 주요 결과를 보면, 영어교육과 학생들은 본인의 역량에 대한 관심이 많으나 어떠한 역량을 강화해야하는지 또는 전공과 연계하여 어떻게 강화해야 할지는 모르겠다는 학생들이 많았다. 또한 학생들은 핵심역량 중심의 전공 커리큘럼을 통한, 전공과 연계된 핵심역량 강화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의 국가적 요구를 반영한 영어교육전공의 커리큘럼 개발 방향과 커리큘럼, 교수법, 평가 방법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필요한 역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양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과학영재를 위한 ICT 핵심역량 교육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G/T Experts' Recognition on Educating ICT Core-competencies for Gifted Students in Science)

  • 이재호;진석언;신현경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43-15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들에게 ICT 핵심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과학영재들에게 필요한 ICT 핵심역량은 무엇이며, 과학영재들에게 ICT 핵심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방법은 무엇인지 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적인 미래인재에게 필요한 ICT 역량에 대한 기존 연구[6]를 기반 모델로 설정하여, 해당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핵심역량 등에 대해 영재교육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특성상 대규모의 영재교육 담당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의견조사가 필요하다는 점과 이러한 전문가들이 지리적으로 전국에 걸쳐 분산되어 있다는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 온라인 의견조사지를 제작하여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로 빈도분석에 의해 요약, 종합하는 방법으로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확인하는데 활용되었다. 일부 ICT 역량 수준별 비교 등의 집단비교를 위해 x2검증 또는 변량분석(ANOVA)이 활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G/T 전문가들은 과학영재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에 ICT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내용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대부분의 G/T 전문가들은 지식기술역량, 통합창의역량, 인성역량의 3대 핵심역량이 과학영재들을 위한 ICT 역량으로서 타당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대부분의 G/T 전문가들은 각 핵심역량별로 제시된 하위교육목표들을 과학영재들을 위한 ICT 역량 강화 교육의 교육목표로서 타당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넷째, 대부분의 G/T 전문가들은 과학영재들을 위한 ICT 역량 강화 교육의 교육 형태로서 '산출물 제작 중심 교육'과 '정보기기 활용 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공과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 인식수준을 통한 공학교육방향 연구 (The Study on Proper Way for Engineering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the Perception of Current Competencies and Expected Competencies of Engineering Freshmen)

  • 이경희;권혁홍;이정례;이성진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57-71
    • /
    • 2010
  • 본 연구는 대학교육을 통하여 획득해야 하는 핵심역량들을 추출하여 공과대학 신입생들이 인식하는 현재의 역량수준과 기대하는 역량수준을 조사하고 공과대학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핵심역량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서, '전공능력', '교양능력', '외국어능력', '기초수학능력', '인간소통능력'의 5가지를 공학교육의 목표와 내용이 되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추출하였다. 이를 연구도구화 한 뒤, C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 584명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에 대한 현재인식수준과 기대인식수준을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신입생들은 모든 역량에서 현재 역량수준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외국어 역량'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낮았다. 기대인식수준에 대한 교육요구도 '외국어능력'이 가장 높았고, '전공능력'은 두 번째로 높았다. 둘째, 신입생들의 하위특성을 성별, 고등학교 계열별, 출신고등학교의 지역별, 대학입학전형 유형별, 수능 수리유형별로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하위특성별로 현재인식수준과 기대인식수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공과대학 교육의 방향으로 외국어(영어)교육의 강화, 학습자의 하위 특성에 따른 개인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설계 및 실행, 전공능력뿐 아니라 교양능력 및 인간소통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관련 프로그램의 강화,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자료 축적을 통한 공학 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수정 보완작업, 공학교육과정과 특별프로그램을 통한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제언하였다.

  • PDF

영재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액션러닝 적용방안 (A Study on the Empowerment of Parents of Gifted Children Using Action Learning)

  • 추성경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6호
    • /
    • pp.899-917
    • /
    • 2013
  • 본 연구는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은 해마다 높아지고 있는 반면에 영재부모를 대상으로 실제적인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인식하에 영재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액션러닝의 적용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결론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부모들은 가정에서 자녀양육에 관련된 고민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나, 영재를 직접적으로 양육하는 영재부모를 위한 교육은 미흡하므로 영재부모들을 대상으로 영재의 특성에 적합한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영재부모에게 있어 역량강화는 부모가 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자녀 양육에 대한 양육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부모들에게 자녀 양육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영재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액션러닝의 적용방안은 영재 부모들이 함께 실제문제를 도출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자녀양육에 대한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지역주민의 드론 역량 강화요인 인식이 산업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수요만족도를 매개로 - (The Effect of Local Residents' Recognition Factors on Drone Capability on Industry Revitalization - On the basis of demand satisfaction -)

  • 한갑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25-130
    • /
    • 2019
  • 사회전반에 걸쳐 드론의 활용도와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 드론업체의 기술 부족, 드론관련 규제, 기술평가 항목 부재 등 정부의 지원과 투자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구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드론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강화시켜야 할 드론의 역량이 무엇인지 도출하기 위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드론의 수요만족도(가격, 품질, 서비스)는 드론의 역량강화 5개요인 중 물적, 사회적, 정책적 요인이 강화될 때 드론산업 활성화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드론산업 활성화를 위해 강화시켜야 할 드론역량은 물적 요인(드론수요, 개발, 등록대수, 사업체 및 종사자 증가), 사회적 요인(국가차원의 홍보, 공교육기관 신설, 드론직업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 및 정책적 요인(사생활 방지대책, 정부 재정지원, 법규와 제도 완화)이다. 이상의 3개 요인에 대하여 정부, 업계, 드론운용자가 삼위일체가 되어 개선 보완해 나아갈 때 우리나라 드론산업의 전망은 밝을 것으로 기대한다.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핵심역량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ce lnfluencing Factors on Disaster Nursing Core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 오윤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77-8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핵심역량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D 광역시 소재 간호대학생 18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SPSS 18.0 프로그램으로 t-검정, ANOVA,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재난간호핵심역량의 평균 평점은 3.15점(±0.40) 이었고, 대상자의 학년이 높을수록,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은 군이 재난간호핵심역량이 높았다. 재난간호핵심역량은 재난인식, 재난 관련 태도 및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대상자의 재난간호핵심역량 예측요인으로는 자기효능감, 재난 관련 태도 및 학년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변수들은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핵심역량을 19.1% 설명하였다. 그 중에서 자기효능감이 가장 중요한 예측요인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핵심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재난인식, 재난 관련 태도 및 자기효능감을 강화할 수 있는 재난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목을 개발하여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정보보안 인지가 역량강화와 정보보안 행동에 미치는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of elderly welfare workers on Security Empowerment and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 윤일현;이재규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9-15
    • /
    • 2016
  • 노인 고령화에 따른 노인복지시설 증가와 함께 노인에 대한 정보보안 사례관리가 중요시 되었다. 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은 노인 보호를 위해 노인의 개인정보, 사회복지서비스 정도 등 중요한 정보를 관리함에도 직무수행체계나 정보보안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다. 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정보보안 인지가 정보보안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정보보안 역량강화를 매개로 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는 종사자들의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분석을 통한 실증분석을 진행 하였다. 연구결과 정보보안 인지(개인경험, 정보 기술이해, 정보보안 인식, 정보보안 정책), 정보보안역량강화, 정보보안 행동의 구조 관계에서 성별에 따라 각기 다른 수준으로 집단 간 차이 있었다. 또한 정보보안 행동에 있어서 성별 차이가 있었으며, 정보보안 역량강화가 정보보안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