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Proper Way for Engineering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the Perception of Current Competencies and Expected Competencies of Engineering Freshmen

공과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 인식수준을 통한 공학교육방향 연구

  • Lee, Gyeoung-Hee (Innovation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Daejin University) ;
  • Kwon, Hyuk-Hong (Innovation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Daejin University) ;
  • Lee, Jeong-Rye (Innovation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Daejin University) ;
  • Lee, Sung-Jin (Innovation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Daejin University)
  • 이경희 (대진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 권혁홍 (대진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 이정례 (대진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 이성진 (대진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Received : 2010.07.28
  • Accepted : 2010.10.15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urrent competency and expected competency of engineering freshmen by extracting core competencies acquired from university education. It also aims to suggest proper way for engineering university education. This study extracts competencies in the following five areas as core competencies: 'knowledge on major area', 'cultural ability', 'foreign language ability', 'basic learning ability', 'intercommunication ability'.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C' university engineering department freshmen (584 students) with questionnaires about their perception of core competenc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gineering freshmen perceived current competencies were weak in every area, especially their capacities in 'foreign language ability' area were perceived to be weakest. Their demand for education is the highest in 'foreign language ability' area, and the second higher in 'knowledge on major area'. Secondly, there exist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of current competency and expected competency depending on the gender, high school department (science/liberal arts), high school location, types of college admissions, and types of mathematics in NAST.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enhancement of foreign language (English) education in engineering departmen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 to overcome individual difference, promoting importance of competencies in the 'cultural abilty' and 'intercommunication abilty', necessity of continuous adjustment and complementation for engineering educational program through accumulation of feedback processes, activation of career education through engineering education and special programs.

본 연구는 대학교육을 통하여 획득해야 하는 핵심역량들을 추출하여 공과대학 신입생들이 인식하는 현재의 역량수준과 기대하는 역량수준을 조사하고 공과대학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핵심역량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서, '전공능력', '교양능력', '외국어능력', '기초수학능력', '인간소통능력'의 5가지를 공학교육의 목표와 내용이 되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추출하였다. 이를 연구도구화 한 뒤, C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 584명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에 대한 현재인식수준과 기대인식수준을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신입생들은 모든 역량에서 현재 역량수준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외국어 역량'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낮았다. 기대인식수준에 대한 교육요구도 '외국어능력'이 가장 높았고, '전공능력'은 두 번째로 높았다. 둘째, 신입생들의 하위특성을 성별, 고등학교 계열별, 출신고등학교의 지역별, 대학입학전형 유형별, 수능 수리유형별로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하위특성별로 현재인식수준과 기대인식수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공과대학 교육의 방향으로 외국어(영어)교육의 강화, 학습자의 하위 특성에 따른 개인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설계 및 실행, 전공능력뿐 아니라 교양능력 및 인간소통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관련 프로그램의 강화,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자료 축적을 통한 공학 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수정 보완작업, 공학교육과정과 특별프로그램을 통한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한 외 3인(2009). 대학수학교육의 현황과 7차교육과 정세대의 효율적인 수학교육방안. 수학교육논문집, 23(2): 255-277.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2. 김남희(2005). 예비수학교사교육에서의 공학적 도구 활용 사례연구- 7-9단계 수학수업과 연계된 교수․학습보조자료 개발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7(4): 337-352. 대한수학교육학회
  3. 김동일 외 5인(2009). 대학교수가 바라본 고등교육에서의 대학생 핵심역량: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0(2): Asian Journal of Education 195-214.
  4. 김선희(2007). 남녀 학생의 수학 기초학력과 배경 변인의 분석. 수학교육, 46(1): 33-52.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5. 김안나, 김태중, 김남희,이석재, 정희욱(2003).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연구 II. 한국교육개발원 RR2003-15.
  6. 노국향(1997) 대학지원 양상에 기조한 한국고등교육 인구의 편포분석. 체육과학연구 19(2): 82-90.
  7. 노태완(2008). 고등학교 7차 교육과정을 이수한 공과대학 신입생의 수학 및 과학 과목에 대한 기초학력평가 및 분석.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년 추계학술대회자료집. 13-14.
  8. 박영숙(2009). 미래사회 메가트렌드와 교육의 변화. 한국 학술정보원(2009). 2009 대학정보화 최신동향 분석 자료집. KERIS 연구자료 RM 2009-25. 3-38.
  9.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 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1-21. 한국교육과정학회.
  10. 손준종(2002) 지방사립대학 신입생의 대학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고등교육연구 13(2): 49-73
  11. 신봉섭, 이석열(2003). 대학간의 대학선택 결정과 선택 확신도의 영향요인 비교: 컴퓨터공학 관련 학부를 중심으로. 고등교육연구, 14(1): 27-53.
  12. 유현숙, 김남희, 김안나, 김태준, 이만희, 장수명(2002).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연구 I. 한국교육개발원 RR2002-19.
  13. 장인식 외 4인(2008). 중위권 교육중심 공과대학생을 위한 전공연계형 수학교재 모형 개발.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년 추계학술대회자료집. 1-7.
  14. 전재복(2008). 바람직한 대학기초수학 교육과정 운영방안 -공학기초수학을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22(4): 399-415.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15. 조승제(2010). 수요자중심의 평생교육 체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전문대학의 학과선택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2010년 한국성인교육학회 봄 학술대회 자료집. 93-115.
  16. 최경미 외 5인(2007). 중위권 대학 신입생의 수학적 배경과 대학수학 성취도 사이의 관계. 수학교육, 46(1): 53-67.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17. 최은정(2009). 대학 미적분학 수준별 교육사례와 수치연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교육과정 개발연구. 수학교육, 48(3): 213-234.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18.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9). 수능 및 학업성취도평가결과 분석 심포지엄 자료집. 연구자료 ORM 2009-4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Astin, A. W.(1993a).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tears revisited. San Francisco: Jossey- Bass.
  20. Astin, A. W.(1993a). What matters in college, Liberal Education, 79(4): pp.4-16.
  21. Bordogna, J., Fromn, E, and Ernst, E. W. (1993). Engineering education.: innovation through integr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82(1): pp.3-8.
  22. Campbell, J. P., Kuncel, N. R., & Oswald, F. L.(1998). Predicting performance in graduate school: the criterion problem.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Society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ists. April, 1998. TX: Dallas
  23. Campbell, J. P., McCloy, R. A., Oppler, S. H., & Sager, C. E.(1993). A theory of performance. In N. Schmitt, & W. Boman(Eds). Personnel selection in organizations. San-Francisco: Jossey-Bass. 35-70.
  24. Etter, C. M. & Bordogna, J. (1996). Engineering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IEEE, 33-36.
  25.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26. OECD(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Retrieved June 15, 2010 from http://www.oecd.org/dataoecd/ 47/61/350703
  27. Willingham, W. W.(1985). Success in college: the role of personal qualities and academic ability. New York: College Board.
  28. http://www.anta.gov.au/ABC/default.htm.
  29. The World Bank Group. http://www.developmentgoals. org/findout-about.html
  30. Directgov. http://www.dfes.gov.uk/qualifications
  31. 한국교육평가원. http://www.kice.re.kr
  32. Ministry of Education. http://www.minedu.govt.nz/Cur riculum/nzcf/frame.htm
  33. http://www.workforceone.org.sg/ntp.asp
  34. The World Bank Group. http://www.worldbank.org/ wbp/scapital/bank1.htm
  35. The World Bank Group. http://www.worldbank.org/ wbp/scapital/bank2.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