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Changes of Residents Cognition According to Level of Participation in Community Building around Empowerment

역량강화 중심의 마을 만들기 참여에 따른 주민인식변화 분석: 충청남도 공주시를 사례로

  • Received : 2016.04.22
  • Accepted : 2017.02.08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se how a community building around empowerment changes the resident's cognition depending on level of their participation. 'Livable hope community building project' in Gonju-Shi, Chungcheongnam-Do was chosen as an example case. As a result of analyzing influence of residents' participation on their cognition changes, the residents with higher level of participation had bigger changes in cognition in terms of individual and relational aspects. In detail, the residents with one time of participation in livable hope community building activity showed a change in cognition in a way that they realized the reality of the rural area and felt the necessity of community building to overcome this. The residents with more than 3 times of participation had cognitional change on current status of village where they are living in. Lastly, the greatest cognitional changes in all perspectives occurred among the residents with more than 5 times of participation. They had a firm cognition that th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the residents are important to make community building successful. Conclusively, community building around empowerment influences recovery of rural community as it changes cognition of residents and acts as a mediator for resident unity. Therefore, it is expected will bring new changes to rural area, help recover rural community, and affect improvement of rural competitiveness.

본 연구는 충청남도 공주시 살기 좋은 희망마을 만들기를 사례로 역량강화 중심의 마을 만들기 참여에 따른 농촌주민의 인식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희망마을 만들기 참여가 주민인식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참여빈도가 높은 주민일수록 인식변화 정도가 크고 참여빈도에 따라 변화된 인식요소가 다르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희망마을 만들기 단회 참여 주민의 경우 거시적인 농촌 현실에 대한 인식변화가 나타났으며, 3회 이상 참여 주민에게는 현재 자신들의 삶터에 대한 인식 변화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5회 이상 참여 주민에게는 성공적인 마을 만들기를 위해서 주민의 참여와 협조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자리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역량강화 중심의 마을 만들기는 주민 인식 전환과 주민단합의 매개체로 농촌커뮤니티 복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속적인 역량강화 중심의 마을 만들기는 농촌에 새로운 변화와 농촌 커뮤니티의 회복, 농촌경쟁력 향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지호, 2010, 어촌관광교육이 지역주민의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동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구자인, 2007, 우리나라 마을만들기의 현단계와 과제, 지역농업연구원, 씨오쟁이, 7, 60-68.
  3. 권지윤, 2015, 농촌마을 유형별 마을개발 역량교육요구 분석, 공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덕현, 2007, 중소도시의 지역만들기 방향,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1), 11-17.
  5. 김수경, 2013, 협력적 거버넌스가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정섭.권인혜, 2010, 농촌개발사업 참여 주체의 역량 강화 방안, 한국농촌지도학회지, 17(3), 386-419.
  7. 김진경.황기원, 2011, 도시대학 교육프로그램의 주민역량강화 효과성 분석, 도시설계, 12(5), 5-18.
  8. 문종화, 2012, 마을만들기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관한 연구: 지원치계 및 제도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박용순, 2008, 사회적 자본이 농촌관광마을에서 주민통합과 삶의질 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 박창규.김혜영, 2011, 지역주민의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대한 인식이 농촌관광개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414(3), 419-436.
  11. 배균기, 2010, 농촌리더교육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영향요인분석: 전북 농업.농촌 핵심리더 교육과정을 사례로, 전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배선주, 2012, 마을만들기 주민교육 프로그램의 특성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신예철, 2012, 지역만들기에 있어서 지역공동체 역량이 지속적참여와 참여확대에 미치는 영향연구: 지역만들기 공동체와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의 역량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신중진.김일영.배기택, 2013, 지역공동체 역량강화를 위한 마을만들기 추진방안 연구, 국토계획, 48(6), 43-56.
  15. 안상유, 2013, 농촌지역 마을만들기의 주민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안종현, 2008, 농촌관광마을 만들기와 주민참여: 광양시 신촌마을과 장흥군 진목마을의 사례,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오승영, 2009,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핵심역량에 관한 실증 연구: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8. 유선경, 2012, 전남 함평지역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의 주민참여 행태와 IPA 분석,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유정규, 2014, 충남 살기좋은 희망마을만들기 사업의 점검과 개선방안 연구, 충남발전연구원.
  20. 유학열.조영재.정혜영 2010, 충남 농촌의 인적역량강화 사업의 추진실태와 개선 방안, 열린충남, 50, 55-65.
  21. 이명규, 2007, 주민참여 속에 마을만들기의 사례와 시사점, 대한건축학회지, 51(9), 46-47.
  22. 이영균.김동규, 2007,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1(4), 223-250.
  23. 이영아, 2014, 주민의 인식과 태도로 본 도시 공동체의 현황과 과제: 대구 동구 안심지역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3), 269-281.
  24. 이원주.이유직, 2013, 단계별 주민역량강화를 통한 농촌마을만들기의 효과 연구: 전라북도 진안군을 대상으로, 농촌계획, 19(4), 269-281 https://doi.org/10.7851/ksrp.2013.19.4.269
  25. 이재하, 2007, 살기좋은 지역 만들기의 방향과 과제: 살기좋은 지역 만들기 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1), 1-10.
  26. 이지혜, 2009, 마을만들기 사업에 있어서 주민참여도에 관한 영향구조 분석: 광주광역시 북구지역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7. 이해진, 2009, 농촌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농촌지역개발사업: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사례로, 농촌사회, 19(1), 7-47.
  28. 임석회, 2005, 농촌지역의 유형화와 특성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2), 211-232.
  29. 송두범.정환영, 2010, 충남 기초자치단체 도농교류정책 실태 및 과제 - 공주시 5도2촌 주말도시를 중심으로, 한국공공행정학회 동계학술세미나 자료집.
  30. 제수진, 2014, 주민의식과 농촌개발 지속성에 관한 연구: 공주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사례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1. 진종헌.정석호, 2012, 공단입지가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한 주민의식연구: 서산시 대산읍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46(4), 429-444.
  32. 채종훈, 2010,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경제적 성과와 파급효과 분석,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 Spencer, L. M. and S. M. Spencer, 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ludes bibliographical references, 349-358.
  34. Zimmerman.Rappaport 1988, "Citizen participation, perceived control,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6(5), 725-750. https://doi.org/10.1007/BF00930023
  35. 농정연구센터, 2002, 상향식 농촌발전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36. 충남발전연구원, 2015, 충남 살기좋은 희망마을만들기 사업의 점검과 향후 과제도출.
  37. 충청남도, 2012, 3농혁신 추진상황.
  38. 농림축산식품부, http://www.mafra.go.kr
  39. 충남 3농혁신, http://www.chungnam.net/3nongMain.do
  40. 공주시, www.gongju.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