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가환경

Search Result 34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Effects of Lifestyle Redesign Program on Time Usage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with Stroke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이 뇌졸중 노인의 시간 사용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Kim, Hyeong-Min;Jeon, Byoung-Jin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 /
    • v.9 no.3
    • /
    • pp.21-30
    • /
    • 2019
  •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effects on the time usage and quality of life of seniors with stroke by applying lifestyle redesign programs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Occupational Balance. Method :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40 stroke elderly people living in nursing homes(20 experimental and 20 control groups). Prior assessment was conducted for two weeks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lifestyle redesign program. For the next 10 weeks, the lifestyle redesign program was applied seven times a week. After that, a week of post-evaluation was conducted. The time usage for the subjects was analyzed by Life Time Survey Table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09) and life quality for them was analyzed by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BRIEF (WHOQOL-BRIEF). Result : The comparison of time usage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demonstrated that for the experimental group, rest and sleep(t=-4.89, p<.001), and leisure(t=-4.67, p<.00b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intergroup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t and sleep(t=-2.24, p<.01) and leisure(t=3.57, p<.01). The comparison of life qual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t=6.80, p<.001). If you look at the sub-area of quality of lif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identified in physical health(t=6.08, p<.001), psychological health(t=5.21, p<.001), living environment area(t=3.60, p<.01). Conclusion : Lifestyle redesign program actually reduced the time usage for rest and sleep for elderly with stroke living in nursing homes, and increased the time for participating in leisure life resulting in improved quality of life.

A Comparative Study of Internet Addiction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Cheonan, and Rural Area (서울, 천안, 농촌지역 중 고교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비교 연구)

  • Lee, Seok-Bum;Lee, Kyung-Kyu;Paik, Ki-Chung;Kim, Hyun-Woo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12 no.2
    • /
    • pp.145-156
    • /
    • 2004
  • Objectives : Internet addiction is a newly appeared addictive phenomenon that is defined as 'difficulty in real life due to internet over-use', 'excessive time spent on the internet or replacement of genuine real relationships with superficial virtual ones' or 'weakness in self-control about internet use and if discontinued, fallen in psychological confusion and anergic stat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internet addiction rate, demographic factors, computer using patterns, anxiety, depression, and internet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between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ree areas - Seoul, Cheonan, and Rural areas - that were different in economic, cultural, and geographic state. Methods : Subjects are consisted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Chunan, and Rural areas(N=1718). Self-rating questionnaire included demographic data, Korean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Korean Self-Rating Depression Scale(SDS), questions for internet-using pattern, Korean version of Internet Addiction Scale invented by K. S. Young, Internet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Scale. Results: In this study, prevalence of internet addiction was 2.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prevalence of internet addiction among three areas. In all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xiety, depression, internet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leisure style, places of internet use, internet connecting method, and insight on internee addiction. But, in addicted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area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ifference in economic, cultural, and geographic state was not related to prevalence of internet addiction. Al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xiety, depression, self-efficacy associated with internee use, leisure style, places of internet use, internet connecting method, insight on internet addiction among three a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cted group among three areas. So, we concluded that the difference in economic, cultural, and geographic state did not influence the prevalence of internet addiction, and despite the difference in economic, cultural, and geographic state, people in three areas were equally influenced by internet addiction.

  • PDF

The Influence of Maternal Psychological Factors and Community Child-Care Environment on the Abandonment of Childbirth : Comparison by the Current Number of Children (모의 심리적 요인 및 지역사회 양육 환경이 출산포기에 미치는 영향 : 현재자녀수에 따른 비교)

  • Bae, Gwangil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7 no.1
    • /
    • pp.31-53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married woman's childbirth abandonment based on the 2011 materials (the 4th year) of PSKC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KICC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analysis showed a few results. First, 'educational expenses for children' and 'physical hardship' were the factors having a major influence on the abandonment of another childbirth. Second,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the reason for the abandonment of another childbirth according to the current number of children. That is, women with one child gave up another childbirth because of 'hardship to juggle child-care and work', while women with two children showed 'child-care costs' as a more important reason for the abandonment of childbirth. Third, 'age' and 'instrumental value of children' also had an influence on the abandonment of childbirth. Fourth,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the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childbirth abandonment according to the current number of children. The research found that the community child-care environment such as 'leisure and cultural facilities' influenced the women with one child, and maternal psychological factor such as 'marital conflicts' influenced the women with two children in their abandonment of another childbirth.

  • PDF

A Study on the Value Analysis of School Forest (학교숲 속성별 가치평가 연구)

  • Yun, Hee-Jeong;Byeon, Jae-Sang;Kim, In-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3
    • /
    • pp.29-38
    • /
    • 2008
  •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value of school forests, one type of urban forest. For this purpose, four attributes of school forests were investigated, considering ecological, educational, social and economic values using a conjoint model as the stated preference.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e levels of the four attributes were selected,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given to 279 urban residents divided into 2 groups: those impacted by school forests and those not.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of school forests is economic value, and next is ecological, social and educational value according to the part-worth model. The fitness level of the model is 0.900(total group) which is very significant. As for the economic value, free and 1,000 won are more critical factors than the other 2 levels, 5,000 won and 10,000 won and air pollution purification and making the school landscape are more critical factors than small habitats and microclimate factors. In addition, regarding the social value related to residents' leisure activities,the utility of nature observation is higher than walking and exercising. Finally, for educational value, understanding nature's importance is more critical than the emotions and learning of students. The estimated WTP per household/month is 3,580 won, the group related to school forestsis 3,650 won and the non-related group is 3,540 w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estimated total economic value of all households per year is 6,820 hundred million won. The group related to school forests is 6,970 hundred million won and the non-related group is 6,750 hundred million won.

A Study on Cultural Activity among the Baby-boom Generation (베이비부머세대의 문화활동에 관한 연구)

  • Cho, Tae-Seon;Bae, Na-R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2
    • /
    • pp.470-47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revitalization of the existing senior cultural activity centers as a new venue for the social and cultural activity of the baby-boom generation. Unlike the previous generation of seniors, the baby-boom generation (born in 1955-1963) has a strong desire to ac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as well as working for their living. In order to meet their needs, it is proposed that the existing senior cultural activity centers be redesigned and transformed from an elderly welfare perspectiv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cluding questions on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need for cultural activities, social activities, and job-training programs. The data collected from a total of 229 baby-boomer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y cross-tabulat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most of the baby-boom generation strongly agreed that they were ver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lderly generation in terms of their education and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Therefore, a new system for the senior cultural activity centers which can integrate these various needs is suggested to encourage the baby-boomers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even after their retire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new paradigm for the senior cultural activity centers is proposed in order to enhance their quality. The application and practice of our research results would be very important, because larger numbers of baby-boomers are gradually retiring from the workforce, and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ir ongoing integration in society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society in general.

Trail Deteriora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outh-North Green Corridor in Incheon, Korea - A Case Study of Mountainous Type Urban Natural Parks - (인천시 남북녹지축 탐방로의 분포와 훼손특성 -산지형 도시자연공원을 사례로-)

  • Cho Woo;Oh Kang-Im;Bae Joong-Nam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8 no.4
    • /
    • pp.359-36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stribution and damages of the trails of inquiry of urban natural parks. Those parks were located at south-north green corridor at Incheon being mountainous type of urban natural parks that were core area of urban ecosystem preservation to of urban natural parks that citizens recently made use of them as nature experience type of leisure and recreation place from time to time, and to supply basic material deciding on the ways to improve the trails of nature preservation type. The survey sites included Geyang Park, Baekma Park, Yaksa Park, Munhak Park and Cheongryang Park. The number of main trails was 42 at Geyang Park, 43 at Baekma Park, 9 at Yaksa Park, 28 at Munhak Park, and 22 at Cheongryang Park, and it was excessively more than optimum needed: The number of branch trails of the parks seemed to increase. The bared trail width in average of the roads was 3.5m, while maximum depth in average was 21.3cm. The trails were thought to be deteriorated rapidly without systematic maintenance. The 5th and 6th grade of the impact rating class that required restoration because of serious deterioration occupied 19.6∼78.0%.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ways to improve and manage the trails of inquiry of urban natural parks that were placed at south-north green corridor at Incheon.

Estimation of Water Pollution Load Based on Watershed Unit in Bocheong Seream (보청천에 대한 유역단위의 오염부하량 산정)

  • Shin, Geun-Su;Kim, Hung-Soo;Kim, Gu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961-965
    • /
    • 2007
  • 현재 오염총량관리제를 시 군 단위의 기초자치 단체별로 시행하고 있는데 실제로 오염물질의 전달은 행정구역단위가 아닌 유역내에서 이루어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초자치 단체별이 아닌 유역단위로 오염부하량과 삭감량을 산정함으로써 유역 단위의 오염총량관리제 계획 수립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청천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의 오염부하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리정보시스템(GIS)인 WMS(Watershed Management System)와 ArcView를 이용하여 유역의 지형인자들을 추출하고, 각 소하천의 토지이용도와 생활계, 축산계, 양식계, 토지계를 바탕으로 원단위를 적용하여 발생부하량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각 소하천별 발생부하량 산정 결과를 토대로 각 수질관측점을 기준으로 하여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였으며, 배출부하량의 산정결과를 이용하여 유달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수질 데이터는 QUAL2E 모형을 이용하여 모의 하였으며, 수리 및 수질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모형의 보정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유달부하량은 BOD는 2013.16kg/일, TN은 1091.34kg/일, TP은 235.16kg/일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장래에 수질이 악화될 경우를 고려하여 수질 항목별 오염량이 2배, 3배로 증가한다고 가정하였다. 오염량이 2배 증가하였을 경우, 오염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보청천3 지점에서 BOD는 184.68kg/일이 삭감되어야 하고, 오염량이 3배 증가하였을 경우 BOD는 1775.69kg/일이 삭감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와 같이 유역단위로 오염부하량을 산정할 경우, 오염원을 줄이는데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오염총량관리제를 위해 유역단위의 오염부하량 산정을 고려하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는 지배적인 요인으로 남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중인 승기천 오염하천 정화사업이 종료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남동유수지에 대해 승기천과 연계한 유수지의 환경개선 방법을 제안하였다. 준설을 통해 유수지의 근본적인 오염원을 제거하고 남동유수지 유입부에 인공습지와 수처리설비를 설치하여 유수지의 수질을 개선하고 개선된 수질이 3급수로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설치된 인공습지에는 철새도래지를 조성하여 유수지 유입수인 철새가 날아드는 하천인 승기천의 테마와 연계하도록 하였다. 인공습지 주변으로 식생호안을 설치하고 유수지 주변에는 산책로를 설치하여 지역주민들의 친환경 수변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1유수지와 연결된 2유수지는 BTL사업을 통해 주변공단으로부터의 오폐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였으며 2유수지를 매립하여 지하는 강우시 유출수 저류가 가능한 화물차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지상은 녹지공간으로 조성하여 공단근로자 및 지역주민을 위한 휴식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남동유수지 환경 개선 사업 실행을 위한 정책 연구로 연구결과를 인천시가 적극 수용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인천시의 환경 현안 문제인 남동유수지의 수질개선을 통해 시민의 휴식 및 여가선용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이미 설계검토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수지 및 저수지의 환경개선 사업의 선두적인 성공사례로 국내 타 지역의 유사한 사업에 있어 벤치마킹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사례가 될 것이다.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경기도 광주에서 백자관요가 운영되었으므로 지방인 상주

  • PDF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river disturbance in Korea (하천교란의 실태조사 연구)

  • Jang, Chang-Lae;Kim, Joon-Tae;Lee, Kwa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946-95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하천의 교란에 영향을 미치는 인위적인 교란의 원인이 되는 하천정비현황, 수리구조물의 설치, 댐의 건설현황, 골재채취 현황 등에 대하여 실태조사를 하여 분석하였다. 국가하천은 하천연장 $3,260.75km^2$, 개수율 94.81%이며, 지방1급 하천은 하천연장 $1,178.87km^2$, 개수율 95.76%이다. 또한 지방2급 하천은 하천연장 $25,795.85km^2$, 개수율 57.31%로 나타내었다. 국내 보의 현황은 전국적으로 14,364개소가 하천에 설치되어 있으며, 2.1km마다 1개의 보가 설치되어 있다. 시도별로 강원도가 가장 많은 3,463개소로 1.1km마다 보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음으로 충북(1.2km/보), 전남(1.9km/보)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의 댐은 약 18,000개소로서 대댐 기준인 댐 높이 15m 이상, 저수량 300만 $m^3$ 이상의 댐은 1,215개소이며, 다목적댐 15개소, 발전댐 21개소, 홍수조절용댐이 1개소가 축조되어 있으며, 댐의 개소수로는 농업용댐이 가장 많이 건설되었다. 유역별로는 낙동강 수계가 가장 많이 건설되었으며, 한강, 금강 수계 순이다. 또한 다목적댐은 낙동강유역에 많이 건설되어 있으며 발전용댐은 한강유역에 가장 많이 건설되었다. 수계별 다목적댐과 발전용댐이 유역에 차지하는 비율로는 한강수계가 83%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섬진강, 금강, 낙동강 순이었다. 행정구역별 골재채취 허가량은 경북, 경남, 대구, 부산 순으로 많으며, 특히 낙동강 유역에서 지속적으로 많은 양의 골재채취가 이루어져 왔다. 그 다음으로 금강 수계, 특히 충남에서 많은 골재채취가 이루어졌다. 연도별 골재채취 허가량은 1997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다.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중인 승기천 오염하천 정화사업이 종료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남동유수지에 대해 승기천과 연계한 유수지의 환경개선 방법을 제안하였다. 준설을 통해 유수지의 근본적인 오염원을 제거하고 남동유수지 유입부에 인공습지와 수처리설비를 설치하여 유수지의 수질을 개선하고 개선된 수질이 3급수로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설치된 인공습지에는 철새도래지를 조성하여 유수지 유입수인 철새가 날아드는 하천인 승기천의 테마와 연계하도록 하였다. 인공습지 주변으로 식생호안을 설치하고 유수지 주변에는 산책로를 설치하여 지역주민들의 친환경 수변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1유수지와 연결된 2유수지는 BTL사업을 통해 주변공단으로부터의 오폐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였으며 2유수지를 매립하여 지하는 강우시 유출수 저류가 가능한 화물차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지상은 녹지공간으로 조성하여 공단근로자 및 지역주민을 위한 휴식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남동유수지 환경 개선 사업 실행을 위한 정책 연구로 연구결과를 인천시가 적극 수용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인천시의 환경 현안 문제인 남동유수지의 수질개선을 통해 시민의 휴식 및 여가선용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이미 설계검토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수지 및 저수지의 환경개선 사업의 선두적인 성공사례로 국내 타 지역의 유사한 사업에 있어 벤치마킹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사례가 될 것이다.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경기도 광주에서 백자관요가 운영되었으므로 지방인 상주지역에도 더 이상 백자를 조달받을 필요가 없이,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Automatic System for Preparing Input Parameters in PRMS (PRMS 모형의 입력 매개변수 자동화 추출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Hwang, Eui-Ho;Kwon, Hyung-Joong;Yoo, Byung-Hyuk;Koh, Deuk-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459-46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유출분석의 입력자료 생성 시 발생되는 사용상의 불편함과 다양한 수질 수문 모형에 적용을 위한 유역특성자료 도출 기반의 미비로 인하여 보다 편리하고 체계적인 유역특성자료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존 PRMS를 이용하여 유출분석 시 입력자료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USGS WEASEL 벤치마킹을 통하여 시스템 개발항목을 도출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 개발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UML을 이용한 객체지향 시스템 설계를 수행하였다. 또한,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및 다양한 수질 수문 모형에 적용하기 위한 GIS 컴포넌트 기반인 ArcGIS ArcObject를 이용한 시스템 개발을 수행하였다. 또한, 시범 연구지역인 용담댐 유역을 대상으로 DEM, 토양도, 토지피복도, 임상도 등을 구축하여 유역특성자료 분석 시스템에 적용하여 PRMS의 입력 매개변수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에 의하여 추출된 매개 변수의 검토를 위하여 용담댐 유역과 구량천 유역을 대상으로 PRMS를 이용한 장기유출모의를 수행하였다. 강우자료 및 기상자료는 기상청의 장수기상관측소의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모의 결과를 검증할 수 있는 하천유출량 자료는 용담댐 지점과 동향수위관측소 자료를 사용하였다. 장기유출모의 목적에 맞는 PRMS 모형을 구성하고 유역특성자료 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추출된 매개변수로서 1966년부터 2001년까지 용담댐 유역에 대하여 모의하여 매개변수를 최적화하였고 최적화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각각의 유역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용담댐 유역에 대해서는 0.49에서 0.83까지의 모형효율을 나타내었으며 구량천 유역에 대해서는 0.57에서 0.75까지의 모형효율을 나타내어 모의결과가 실측치에 대하여 높은 적합도를 나타내었다.997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다.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중인 승기천 오염하천 정화사업이 종료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남동유수지에 대해 승기천과 연계한 유수지의 환경개선 방법을 제안하였다. 준설을 통해 유수지의 근본적인 오염원을 제거하고 남동유수지 유입부에 인공습지와 수처리설비를 설치하여 유수지의 수질을 개선하고 개선된 수질이 3급수로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설치된 인공습지에는 철새도래지를 조성하여 유수지 유입수인 철새가 날아드는 하천인 승기천의 테마와 연계하도록 하였다. 인공습지 주변으로 식생호안을 설치하고 유수지 주변에는 산책로를 설치하여 지역주민들의 친환경 수변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1유수지와 연결된 2유수지는 BTL사업을 통해 주변공단으로부터의 오폐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였으며 2유수지를 매립하여 지하는 강우시 유출수 저류가 가능한 화물차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지상은 녹지공간으로 조성하여 공단근로자 및 지역주민을 위한 휴식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남동유수지 환경 개선 사업 실행을 위한 정책 연구로 연구결과를 인천시가 적극 수용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인천시의 환경 현안 문제인 남동유수지의 수질개선을 통해 시민의 휴식 및 여가선용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이미 설계검토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수지 및 저수지의 환경개선 사업의 선두적인 성공사례로 국내 타 지역의 유사한 사업에 있어 벤치마킹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사례가 될 것이다.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경기도 광주에서

  • PDF

Non-Disruptive Server Management for Sustainable Resource Service Based on On-Premise (온-프레미스 기반 지속적인 자원 서비스를 위한 서버 무중단 기법)

  • Kim, Hyun-Woo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7 no.12
    • /
    • pp.295-300
    • /
    • 2018
  • The rapid development of IT, many conventional passive jobs have been automated. This automation increases the leisure time of many people and various services are being developed for them. In addition, with the advent of smart devices that are compact and portable,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internet services without any time and place discretion. Various studies based on virtualization are under way to efficiently store and process large data generated by many devices and services. Desktop Storage Virtualization (DSV), which integrates and provides users with on-premise-based distributed desktop resources during these studies, uses virtualization to consolidate unused resources within distributed, legacy desktops. This DSV is very important for providing high reliability to users. In addition, research on hierarchical structure and resource integration for efficient data distribution storage processing in a distributed desktop-based resource integration environment is underway.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efficient operation in case of server failure in on-premise resource integration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Non-disruptive Server Management (NSM) which can actively cope with the failure of desktop server in distributed desktop storage environment based on on-premise. NSM is easy to add and remove desktops in a desktop-based integrated environment. In addition, an alternative server is actively performed in response to a failure occur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