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빙 하우스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1초

에빙하우스 망각 곡선 기반 효율적인 학습 시스템 설계 (Design of Efficient Educational System based on Ebbinghaus's Forgetting Curve)

  • 김분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52-1153
    • /
    • 2008
  • 효율적인 학습 방법들을 도입한 교육용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 있는 가운데, 사람의 뇌의 장기기억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교육용 시스템과 다양한 방향에서 적용하고 그 유효성을 밝히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학생들에게 학습에 용이한 교육 시스템을 적용함에 있어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접근이 용이하도록 인터넷과 연계된 시스템의 유용성은 이미 입증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교육 시스템에서 장기기억이 용이하도록 학습 내용의 구성과 에빙하우스 망각 곡선에 기반한 효율적인 반복학습 시스템을 설계한다.

에빙하우스 망각 곡선 기반 개선된 온라인 교육 시스템 (Improved Online Educational System based on Ebbinhaus's Forgetting Curve)

  • 김분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06-1008
    • /
    • 2009
  •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향상된 교육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한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다양한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하여 개별 사용자에게 적합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미리 짜여진 프로그램에 의한 체계적인 반복 교육에 적합하다. 사용자의 효과적인 학습을 측정하는데 있어 학습한 내용이 장기기억 되는 방법의 적용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한 내용의 기억 추이를 나타내는 에빙하우스 망각 곡선 이론을 기반으로 학습 시스템의 장기 기억 메커니즘을 구현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학습 내용은 학습자의 장기 기억된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그 효용성을 나타낸다.

효율적인 학습 모델을 지원하는 웹 페이지 학습 기억 플랫폼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Web Page Learning Memory Platform to support efficient Learning Model)

  • 김성준;오염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291-294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영어 교육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은 중요해지면서 다양한 방식의 영어공부와 학습모델들을 분석하고 오랫동안 가억이 가능한 학습시스템을 검토하였다. 그러나 영어의 기초가 되는 영어 단어의 공부법이 논리적인 근거 없이 강사의 인지도와 명성에 현혹되어 강사가 추천해 주는 공부 방법에 따라 잘못된 학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사람마다 자기에게 맞는 학습법은 분명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그 방법 외에 효과적인 다른 방법 또한 찾아 볼 수 있다. 헤르만 에빙하우스는 사람의 망각 연구한 결과 망각의 주기를 수치로 나타내었고, 라이트너는 플래시 카드를 박스에 넣어 복습을 반복하는 아날로그 장치를 만들어 복습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헤르만 에빙하우스의 망각 곡선 이론을 통해 효율적인 영어 단어 학습방법을 논리적으로 증명하고, 웹사이트를 사용한 라이트너 박스와 망각 곡선의 이론을 적용하여 망각의 주기에 따른 복습의 효과를 적용하여 결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접근성이 좋은 학습형 플랫폼을 제공하여 시간 대비 학습률이 좋은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PDF

분리된 기억법 기반 수치 정보 시스템 설계 (Design of Numerical Information System based on Separated Mnemonic System)

  • 김분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1호
    • /
    • pp.183-184
    • /
    • 2018
  • 기억법은 수치와 같은 어려운 정보를 기억하기 쉽도록 제안한 방법을 의미한다. 동영상 정보에 익숙해져 있는 세대에서도 수치정보를 기억하기는 매우 어렵다. 이에 관련 전문가들이 제안한 기억법을 익혀 적용해보면 기억률 향상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 정보에 대해 이미지 정보와 매치하여 기억률 향상에 도움을 주는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전 연구에서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앱을 개발하여 수치에 해당되는 이미지를 보여주는 형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핸드폰 번호를 기준으로 앞 4자리와 뒤 4자리를 분리하여 적용한 방법을 설계한다. 비슷한 패턴의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일정 숫자 이상 이어지는것 보다 다른 패턴으로 분리하여 제시함으로써 더 높은 기억률의 결과를 예상할 수 있다.

  • PDF

모바일 환경에서 기억법 기반 향상된 수치 집단 시스템 (Advanced Numerical Group System based on Mnemonic System in Mobile Environments)

  • 김분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71-476
    • /
    • 2017
  • 숫자를 쉽게 기억하기 위해 기억법을 이용하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이러한 숫자와 관련된 기억법에서 대응되는 이미지의 활용은 숫자를 쉽게 연상되는데 도움을 준다. 수치 기억법과 관련된 이전 연구에서 단순 그래프 알고리즘과 배열된 이미지 알고리즘의 문제점으로 대두된 자동 배열 기능을 부여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사용자가 이미지와 숫자의 대응관계를 사전에 숙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결정된 이미지에 대해 크기와 색의 차이를 기초로 수치를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모바일 환경에서 기억법 기반 수치 정보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Numerical Information System based on Mnemonic System in Mobile Environments)

  • 김분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27-432
    • /
    • 2016
  • 수치에 있어서 기억법은 숫자를 기억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숫자와 관련된 기억법에서 점, 선, 막대 등과 같은 많은 방법들을 적용한 그래프나 이미지는 상당히 훌륭한 연상 기호의 역할을 한다. 수치와 관련된 기억법은 뇌가 원래의 형태보다 더 보유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정보를 변환하는 것과 관련된다. 이 연구의 이전 연구를 되짚어보면 수치 기억법과 관련하여 단순 그래프 알고리즘과 배열된 이미지 알고리즘을 제시했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이전 연구의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해 기억법 기반 수치 정보 시스템을 구현하고 평가한다.

기억법 기반 수치 정보 적용 알고리즘 (Algorithm to Apply Numerical Information based on Mnemonic System)

  • 김분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677-682
    • /
    • 2015
  • 수치에 있어서 기억법은 숫자를 기억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숫자와 관련된 기억법에서 그래프나 이미지는 상당히 훌륭한 연상 기호의 역할을 한다. 그래프 기반 시스템에서는 기억법을 표현하는 점, 선, 막대 등 많은 방법이 존재한다. 기억법은 뇌가 원래의 형태보다 더 보유 할 수 있는 형태로 정보를 변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수치 기억법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수치 기억법에 있어서 다른 방법으로 이미지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치 기억법과 관련하여 단순 그래프 알고리즘과 배열된 이미지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두 방법의 기억법에 대해 기억률에 기반한 비교 결과를 나타낸다.

모바일 환경에서 기억법 기반 실수 수정 수치 알고리즘 (Numerical Algorithm for Modifying Errors based on Mnemonic System in Mobile Environments)

  • 김분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985-990
    • /
    • 2019
  •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이 일어난 시기를 다루는 교과목에서는 기억법이 적용되면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수치 기억법 기반의 연구에서 점, 선, 막대 등과 같은 부가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기억률을 높이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에서 부족했던 장기기억 메커니즘을 적용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사용자가 실수로 입력한 오류 데이터를 수정해주는 메커니즘으로 기억의 환기 효과를 부여하여 기억률을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모바일 환경에서 진행되는 특유의 과정을 제안하고, 실수 수정 수치 알고리즘을 구현 평가한다.

모바일 환경에서 기억법 기반 의미 연결 수치 알고리즘 (Numerical Algorithm to Link Meaning based on Mnemonic System in Mobile Environments)

  • 김분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19-224
    • /
    • 2019
  • 연도와 같은 수치 정보가 많은 교과목은 기억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수치 기억법은 점, 선, 막대 등과 같은 많은 방법들을 적용한 정보 이미지는 기억을 도와주는 기호의 역할을 한다. 뇌의 기억 구조는 수치만을 제공하기 보다는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전 연구에서는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그래프 알고리즘이나 배열된 이미지 알고리즘을 제시했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 정보가 많은 교과목을 선정하여 수치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원본 데이터와 연결하고자 한다. 모바일 환경에서 진행되는 특유의 과정을 제안하고, 의미 연결 수치 알고리즘을 구현 평가한다.

주기적 반복법을 적용한 영단어 학습콘텐츠 스마트 융합 설계 연구 (A Study of Smart Convergence Design of English Vocabulary Learning Contents Applying the Periodic Repetitive Method)

  • 김영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33-14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영단어 학습 콘텐츠 개발 필요에 따른 새로운 스마트 영단어 암기방법을 설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스마트 폰에서 효과적으로 영단어 학습을 지원하는 콘텐츠로 개발 가능하다. 본 연구의 핵심 아이디어는 첫째, 30개의 단어를 하루에 3분씩 10회(학습 1회 및 복습 9회)로 나누어 학습한다. 둘째, 망각주기를 고려하여 최초학습 1일 후, 10일 후, 30일 후 등의 3회 반추 복습을 제안한다. 본 콘텐츠의 개발과정은 크게 앱ID 생성부, 앱 접속부, 알람 설정부, 단어학습 처리부, 학습결과 모니터링부 등 5개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제안된 방법은 에빙하우스 주기적 반복 학습전략으로 최적화되어 있어 사용자의 영단어 학습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