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너지 수집 장치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38초

simpleRTJ 임베디드 자바가상기계의 에너지 사용 분석 (Analysis of Energy Usage in simpleRTJ Embedded Java Virtual Machine)

  • 양희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598-600
    • /
    • 2004
  • 휴대폰이나 PDA 등 무선 이동 장치에 내장되는 자바가상기계는 필요 에너지를 모두 밧데리에서 공급받는다. 밧데리의 빈번한 재충전이나 교체 등에 따른 불편을 줄이기 위해서는 임베디드 자바가상기계의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자바가상기계의 에너지 사용은 자바 클래스의 저장에 따른 정적 에너지 사용과 바이트코드 실행 및 쓰레기 수집기의 작동 등에 따른 동적 에너지 사용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simpleRTJ 상용 임베디드 자바가상기계의 에너지 사용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simpleRTJ의 주요 특징인 프리레졸루션과 ROM 이미지 형식이 에너지 사용에 미친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고정 크기 메모리 할당과 에너지 소비의 상호 관계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 PDF

에너지 IoT를 지원하는 스마트 에너지 게이트웨이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mart Energy Gateway where energy efficiency network)

  • 김범주;한정훈;박소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79-780
    • /
    • 2016
  • 해당 개발 연구기기는 스마트그리드와 같은 에너지 IoT에 적용할 수 있는 다중통신기반 게이트웨이로 정보를 수집하는 무선 구간과 이를 상위 서버로 전달하는 무선 또는 유선 구간을 복합적으로 적용한 장치이다.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구축에 있어 여러 정보를 수집하고 상위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중요 역할을 담당한다. 현재는 연구단계로 정보 수집 및 전달은 시험을 완료하였으며, 성능 개선을 진행 중에 있다.

스마트공장의 IoT 센서 모니터링을 통한 에너지절감 및 안전성 향상 연구 (A Study on Energy Saving and Safety Improvement through IoT Sensor Monitoring in Smart Factory)

  • 최우형;강인철;김창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17-127
    • /
    • 2024
  • 연구목적: 중소기업 제조공장에서 에너지 관리, 온도, 습도, 분진 및 가스, 공기 질, 기계작동 상태 등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에너지 절감 및 제조 공장 인프라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기반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디지털 전력량계 및 IoT 센서를 통해 에너지 관련 데이터 및 환경적인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및 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을 위한 상황 전파 및 대응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ESG 경영 활동의 핵심 지표에 속하는 에너지관리, 비용 절감과 안전성 향상을 고려한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기업에서 실제적인 사례 연구로 스마트공장에서 다양한 센서 장치와 관련된 장치들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에너지 절감 및 안전성 향상에 대한 기반의 체계를 제시하였다.

태양광발전소 현장 진단평가 기술: 발전량 시뮬레이션과 다채널 I-V 장치를 통한 고장진단

  • 고석환;신우균;신주영;최의성
    • 한국태양광발전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15
    • /
    • 2021
  • 태양광 발전소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IEC 61724-1에 적합한 계측장치를 설치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발전소 현장에서 DC 어레이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측정 일사량과 같은 환경정보 값과 태양광 DC 어레이 전압-전류 특성 곡선을 이용해 일사량에 따른 출력모델 식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모델 식은 태양전지 셀의 종류나 버스바에 따라서 차이가 발생되므로 기존의 태양전지 셀 등가회로 수식을 반영한 시뮬레이션 모델식이 적절히 변경되어야 함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주기적인 진단 평가를 실시하지 않는 국내외 태양광 발전소는 성능저하가 발생된 상태로 운전되는 경우가 다수 일 것이다. 대부분의 관제모니터링을 시스템은 미쓰매칭 손실 평가분석이 불가능하며 운전상태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이 대부분이다. 이에 태양광 발전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현장진단 장치를 이용한 주기적 성능진단 평가나 발전소 데이터의 손실평가 분석 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센서를 이용한 자동 실내 온도 제어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utomatic Control System in Room using Sensor)

  • 정규태;이은진;김흥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6-328
    • /
    • 2015
  • 건물에서 창문의 기능은 태양 복사열의 유입을 통해 실내의 환경을 조성하고 동절기에는 난방비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으나, 다른 구조체에 비해 단열 성능이 크게 떨어져 5배 이상의 에너지가 손실되어 에너지 취약 부위이다. 또한 하절기에는 태양 복사열 과다로 냉방비가 가중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반 가정에서 온도, 습도, 조도, 일사량 등의 실내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창문 자동 제어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시스템은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모터를 제어하여 창문을 제어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가정 내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창호와 블라인드에 환경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시스템 제어를 통해 생활 속에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스케줄과 상황 인식을 결합한 모바일 폰의 프로파일 모드 자동 설정 기법 (A profile Mode Automation Technique for the Mobile Phone using Combination of Schedule and Context-awareness)

  • 서정희;박흥복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364-1370
    • /
    • 2017
  • 본 논문은 사용자의 핸드셋 처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스마트 폰에 내장된 GPS 센서 및 가속도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외부 상황을 수집하고 사용자 스케줄의 데이터와 상호작용하여 스케줄 컨텍스트 기반의 모바일 폰의 프로파일 모드를 자동 설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그러나 모바일 폰에서 실시간의 데이터 수집은 배터리 소모로 인하여 장치에 에너지 부족 현상을 나타낸다. 즉, GPS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측정 장치에 액세스하면 휴대용 장치의 전력 소모가 커질 수 있으므로 자원 소모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따라서 주별 스케줄과 스마트 폰 모드 제어를 위한 상황인식의 효과적인 데이터 공유가 이루어져 데이터 수집을 위한 센싱에 대한 에너지 효율적면에서도 향상되었고, 최종 사용자의 로컬 컨텍스트와 스마트 폰 강제 제어와 같은 다양한 상황에 대한 환경 적응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텍스트의 이용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센서 네트워크 클러스터링 기법의 에너지 효율적인 다중 데이터 지원 방법 연구 (A Study of an Energy Efficient Method of Clustering Scheme for Supporting Multiple Data in Sensor Networks)

  • 최동민;정일용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1-103
    • /
    • 2012
  • 센서 네트워크 클러스터링 기법은 네트워크의 수명연장에 효율적인 방법이다. 이에 많은 연구에서 효율적인 클러스터링 기법을 제안해 왔으며 지금도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기존에 제시된 연구 결과는 센서 노드가 수집하는 데이터가 단일 데이터가 아닌 다중 데이터일 경우, 즉 센서 노드에 여러 개의 센서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 데이터 수집 및 전송에 있어 단일 데이터에 비해 비효율적으로 동작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다중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의 효율적인 전송을 지원하는 클러스터링 기법 개발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는 센서가 수집하는 데이터의 관심도, 데이터 변화량, 데이터의 내부적인 처리방법, 센서 노드의 배치 밀도 및 데이터 수집 장치의 감지범위가 다중 데이터 센서 네트워크의 클러스터링 기법 설계에 고려되어야 함을 보였다.

태양광발전(PV)과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지능적 연계를 위한 PMS 구현 (PMS for Intelligent Linkage between PV and Energy Storage System (ESS))

  • 민병빈;황재창;김준용;황규석;류강열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20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413-414
    • /
    • 2020
  • 세계적인 에너지 전환 흐름을 기반한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공급을 위해 석탄, 원전을 감축하고 재생에너지의 확대와 에너지 다소비 구조를 선진국형 에너지 고효율, 저소비로 전환며,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을 확대에 따라 다양한 에너지 운영환경이 형성. 이에 맞게 새로운 운영방식의 융복합 모델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융복합 모델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발전시스템의 요소별 운전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제어할 수 있는 능동형 제어가 필요하다. 본 문에서는 태양광발전(PV)을 연계한 ESS(Energy Strorage System)의 효율적인 전력제어를 위한 PMS를 개발하여 성능 검증하고자 한다.

  • PDF

압전체를 이용한 에너지 수집 장치 개발 및 실험 (Development of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Device and Experiments)

  • 김기영;곽문규;강호용;김내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81-89
    • /
    • 2008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PEH) device for ubiquitous sensor node(USN). The USN needs auxiliary power to lengthen its operational life. In this study, the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system consisting of a cantilever with a tip mass and piezoelectric wafer was investigated in detail both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The dynamic model for the addressed system was derived using the assumed mode method. The resulting equations of motion were expressed in matrix form, which had never been developed before. The power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PEH was then calculated and discussed. Variou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ging characteristics of electrical components.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EH was able to charge a battery with ambient vibrations but still needed an effective mechanism which can convert mechanical energy to electrical energy and an optimal electric circuit which dissipates small energy.

  • PDF

압전 에너지 수집 장치의 동적모델링 및 실험 (Dynamic Modeling of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Device and Experiments)

  • 곽문규;김기영;강호용;김내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632-641
    • /
    • 2008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PEH) device for ubiquitous sensor node(USN). The USN needs auxiliary power to lengthen its operational life. In this study, the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system consisting of a cantilever with a tip mass and piezoelectric wafer was investigated in detail both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The dynamic model for the addressed system was derived using the assumed mode method. The resulting equations of motion were expressed in matrix form, which had never been developed before. The power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PEH was then calculated and discussed. Variou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ging characteristics of electrical components.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EH was able to charge a battery with ambient vibrations but still needed an effective mechanism which can convert mechanical energy to electrical energy and an optimal electric circuit which dissipates small ener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