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너지블록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36초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미터 집계 보안 시스템 구축 (Implementation of Secure System for Blockchain-based Smart Meter Aggregation)

  • 김용길;문경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11
    • /
    • 2020
  • 스마트 그리드 환경의 중요한 기본 구성 요소라 할 수 있는 스마트 미터기는 유틸리티 기관에게 실시간 전력소비 정보를 제공한다. 그렇지만, 스마트 미터기에 의한 전력 소비 데이터 집계 과정에서 정보 보안 및 사생활 보호를 보장하는 작업은 쉽지 않다. 최근 몇 년 동안 특정 소비자의 전력 소비 정보 추출을 방지하는 정보 보안 데이터 집계 프로세스에 관해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대부분 내부 공격자로부터 안전하지 않거나 데이터 무결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bilinear pairing 또는 hash-to-point 작업이 스마트 미터기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계산 비용이 만족스럽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 에너지 공급 회사, 신생 기업, 기술 개발자, 금융 기관, 국가 정부 및 학계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는 기술로 블록체인 또는 분산 원장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 전력 소비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블록체인은 상당한 이점과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소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한 분산된 전력 소비 정보 보호 및 보안 미터 데이터 집계 시스템을 제안하고,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자바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스마트 미터 데이터는 계층적 Merkle 트리에 의해 집계 및 검증되며, 비잔틴 결함 허용 프로토콜에 의한 합의 방식이 지원된다.

내장형 시스템을 위한 선택적 뱅크 알고리즘을 이용한 데이터 캐쉬 시스템 (Data Cache System based on the Selective Bank Algorithm for Embedded System)

  • 정보성;이정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6A권2호
    • /
    • pp.69-78
    • /
    • 2009
  • 캐쉬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프로그램 수행 특성에 내재되어 있는 시간적 (temporal locality) 지역성과 공간적 지역성(spatial locality)을 활용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프로그램 수행 특성에 적합한 시간적/공간적 지역성을 이용하기 위한 뱅크 선택 메커니즘을 가진 고성능 저전력 캐쉬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캐쉬 시스템은 다른 블록 크기와 다른 연관도를 가지는 두개의 캐쉬로 구성되어 진다. 즉 작은 블록 크기를 지원하는 직접사상 구조의 주 캐쉬(main direct-mapped cache)와 큰 블록을 지원하는 완전연관 버퍼 (fully associative buffer)로 구성되어 진다. 특히 주 캐쉬는 저전력을 위해 2-뱅크로 구성되며, 완전연관 버퍼에서 선택되어진 작은 블록은 제안된 뱅크 선택 알고리즘에 의해 주 캐쉬의 뱅크에 저장된다. 제안된 뱅크 선택 알고리즘과 3비트 상태 비트를 이용하여 시간적 지역성이 높은 데이터들을 주 캐쉬에 선택적으로 저장함으로써 고성능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또한 충돌 미스 (conflict miss)와 캐쉬 오염 (cache pollution)을 효과적으로 줄여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평균 접근 실패율의 경우 Mibench 응용군에 대해 Victim 캐쉬에 비해 23%, STAS 캐쉬에 비해 32%의 감소효과를 보여준다. 평균 메모리 접근 시간의 경우 Victim 캐쉬에 비해 14%, STAS 캐쉬에 비해 18%의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에너지 소비의 관점에서도 제안된 캐쉬 시스템은 Victim 캐쉬와 STAS 캐쉬에 비해 약 10%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경상분지 백악기 화강암 암반에 대한 역학적 REV 및 변형특성 추정사례 (Estimation of Mechanical Representative Elementary Volume and Deformability for Cretaceous Granitic Rock Mass: A Case Study of the Gyeongsang Basin, Korea)

  • 엄정기;류성진
    • 지질공학
    • /
    • 제32권1호
    • /
    • pp.59-72
    • /
    • 2022
  • 본 연구는 부산 기장지역의 백악기 흑운모 화강암에 대하여 삼차원 개별체 수치해석 기반의 응력-변형 해석을 수행하고 절리성 암반의 강도 및 변형특성을 평가하였다. 절리성 암반의 역학적 특성에 대한 규모효과 및 REV를 규명하기 위한 워크플로우가 제시되었으며 연구지역에서 결정된 REV(representative elementary volume) 크기의 DFN(discrete fracture network) 큐브 블록에 대한 블록강도, 변형계수, 전단탄성계수, 체적탄성계수 등의 강도 및 변형 파라미터가 산정되었다. 연구지역의 역학적 REV 크기는 15 m 큐브로 평가되었으며 DFN 큐브 블록의 평균 블록강도 및 평균 변형계수는 각각 신선암의 52.8% 및 57.7%로 추정되었다. 연구지역의 절리성 암반은 역학적으로 뚜렷한 직교이방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삼차원 수치해석을 통하여 산정된 변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선형-탄성의 직교이방성 구성모델이 도출되었다. 연구지역에 대한 직교이방성 구성모델은 등가의 연속체 해석을 통한 터널 및 지하공간의 안정성 평가에 활용될 수 있다.

비스페닐프로판 단위를 갖는 연료전지전해질용 블록공중합체/나노실리카 복합막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lock Copolymer Containing Bisphenyl Propane Unit and Nanosilica Composite Membrane for Fuel Cell Electrolyte Application)

  • 김애란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144-149
    • /
    • 2017
  • A proton-conducting bisphenylpropaned sulfonated fluorinated blockcopolymer (BPSFBC) was synthesized. Five kinds of polymer electrolyted composite membranes were preparated by incorporating silica ($SiO_2$) with various weight ratio.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1H-NMR$ ($^1H$ nuclear magnetic resonance), 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 water uptake, 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 and ion conductivity properties. The water uptake and ion conductivity were increased until 9 wt% $SiO_2$, and then decreased. The maximum proton conductivity equal to $52mScm^{-1}$ was measured for the BPSFBC/$SiO_2$-9 composite membrane at $90^{\circ}C$ and 100% relative humidity. From the measured results, it is distinct that the manufactured composite membrane BPSFBC/$SiO_2$-9 can be considered as a polymer membrane suitable for a fuel cell electrolyte.

LNG 냉열을 이용한 복합발전 플랜트의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I) - 복합화력 발전플랜트의 설계점 및 탈설계점 모델링 - (A Design Study for Improving Thermal Efficiency of Combined Cycle Power Plants using LNG Cold Energy - Design and Off-design Modelling of Gas-turbine Based Combined Cycle -)

  • 오세기;김병일
    • 에너지공학
    • /
    • 제8권1호
    • /
    • pp.159-165
    • /
    • 1999
  • 복합화력 발전플랜트의 운전에서 특히 하절기의 첨두부하시에 외기온도의 상승으로 인한 가스터빈의 출력 감소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LNG 연료가 보유하고 있는 냉열을 이용하여 압축기로 유입되는 공기 온도를 감소시키는 냉각시스템의 개념을 개발하고자 복합화력 발전플랜트에 대한 설계점 및 외기온도 변화에 대한 탈설계점 모델링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프랜트는 940 MW 서인천 복합 발전플랜트 모듈의 단위 블록을 선택하였으며 발전플랜트 전용 해석코드인 GateCycle을 이용하여 가스터빈과 증기사이클의 주요 기기 들에 대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의 결과를 대상플랜트의 시운전결과와 비교하여 모델의 적정성을 검증하였다. 출력, 효율, 온도 및 유량 등 주요 설계인자들이 최대 ~1.3%의 상대오차 범위 안에서 만족할 만한 신뢰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탈설계점 성능해석은 본 논문과 관련한 연구의 주목적인 LNG 냉열에 의한 유입공기 냉각시스템 설계시의 경계변수인 외기온도 증가에 대한 각 사이클의 특성변화를 대상으로 하였다. 종합적으로 외기온도가 증가하면 압축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과 이에 대응하는 소요 연료량이 동시에 감소하므로 연소에 따른 가스터빈의 팽창비가 감소한다. 이로 인하여 외기온도 증가시에 가스터빈 출력감소율은 0.5%/$^{\circ}C$로서 배기가스를 이용하는 증기사이클의 출력감소율 0.2%/$^{\circ}C$에 비해 민감하므로 가스터빈 유입공기의 냉각시스템의 설계는 복합화력발전 플랜트의 효율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산화촉매를 이용한 우드칩 가스화 합성가스 내 타르 제거 및 합성가스 혼합연소 이용기술 연구 (A Study on Tar Removal in Syngas Produced from Woodchip Gasification Using Oxidation Catalyst and Utilization of Syngas by Co-combustion)

  • 윤상준;김용구;이재구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75.1-175.1
    • /
    • 2011
  • 우드칩을 포함하는 화석연료대비 발열량이 낮은 바이오매스를 가스화를 통하여 활용하는 경우 타르 및 수트를 포함하는 저열량의 합성가스가 생성된다. 이러한 합성가스를 엔진을 통한 발전, 스팀, 수소 및 화학제품 생산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고효율의 타르 정제 및 제거가 필수적이다. 특히 착화가 어렵고 연소온도 및 연소율이 낮으며, 화염구간이 좁은 저열량의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스팀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많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향류식 가스화기를 이용하여 우드칩을 연료로 합성가스를 제조하였으며, 합성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타르 및 수트와 같은 미반응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집진, 세정장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특히 고효율 타르의 제거를 위하여 두 종류의 산화촉매를 이용한 합성가스 내 타르의 제거 연구를 수행하였다. Ru 촉매를 이용하는 경우 합성가스 내 타르의 농도를 100ppb 정도까지 저감이 가능하였다. 정제된 합성가스는 유류 혼소 버너를 통하여 보일러 연소실에서 혼합연소되어 30만kcal/h의 열을 공급함으로써 스팀을 생산 하였으며, 생성된 스팀은 블록 건조 시설에서 이용하였다.

  • PDF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나프탈렌 부분을 갖는 술폰화된 폴리(아릴렌 이써 설폰)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과 특성연구 (Synthesis and Properties of Sulfonated Poly (Arylene Ether Sulfone) Block Copolymers with Naphthalene Moiety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 한다솜;유동진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331-338
    • /
    • 2018
  • In this study, sulfonated PAES block copolymers have been synthesized via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 Hydrophobic oligomer was prepared using 2,6-dihydroxynaphthalene and bis(4-chlorophenyl) sulfone, whereas hydrophilic oligomer was prepared using sulfonated bis(4-chlorophenyl) sulfone and bis(4-hydroxyphenyl) sulfone. The chemical structure of polymers was analyzed by $^1H$ NMR, FT-IR and GPC. The thermal properties of polymers were measured by TGA and DSC. The oxidative stability of membranes was investigated by Fenton's test. Furthermore, the proton conductivity of membrane was found to be 26 mS/cm at $90^{\circ}C$. All physiochemical properties suggest that fabricated membrane have a great potential for applications in PEMFC.

한국형 패시브하우스를 위한 단열블럭시스템의 난방에너지소비 특성 (A Characteristic Heating-Energy Expend of Insulation Block System for Korea Type Passive House)

  • 강재식;최경석;양관섭;이승언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03-607
    • /
    • 2009
  • About a Structure is performance external insulation is fundamantal performance for enrgy-saving. these day, most of residential structures have constructed by internal insulation method structure. The method structure internal insulation have construction and economical efficiency, but on the other hand, be generated heat loss by heat bridge especially, be generated loss heat-energy logical consequence in structure ondol. The external insulation structure method has a mert able to minimum to loss heat about heat-bridge. But the external insulation technique is unsatisfactory statues within the know-how and method of construction and materials compared with developed countries. The recently, the requirement of market related to the external insulation technique is resulted by the energy efficiency system, but it can lead to the lack of alternative technique In study on the korea type passive house building design for insulation block method of wall system has to experimental characteristic heat-energy of practice building. In result field-experimental, the heat-bridge appeared to characteristic spent heat-energy of blow 2L class and have a suffience performance it.

  • PDF

그림자 영향과 태양광 어레이 구조에 따른 최대발생전력 비교 해석 및 실험 (Comparison of maximum generated power by shading effect and PV array configurations)

  • 김의종;유병규;차한주;유권종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9권2호
    • /
    • pp.8-13
    • /
    • 2009
  • In this paper, two configurations of PV array are analyzed and tested under shading condition, where two configurations are series-parallel and total-crass-tied configuration. Each photovoltaic module is emulated by two 5 inch po1y-crystalline cells in series and an array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24 of the modules to compare a generated maximum power of the two configurations. Pspice and Sun simulator. PASAN IIIb, are used for simulation and experiment to test the array under various partial shading conditions. Test results show the total-cross-tied configuration generates 7.63% higher maximum power than the series-parallel configuration, and it is well matched to the analysis and simulations of the two configurations.

고분자전해질 막을 위한 나프탈렌 단위를 포함하는 디 및 트리 블록공중합체의 합성 및 특성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Di and Triblock Copolymers Containing a Naphthalene Unit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 김애란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660-669
    • /
    • 2016
  • A fluorinated-sulfonated, hydrophobic-hydrophilic copolymer was planed subsequently synthesized using typical nucleophilic substitution polycondensation reaction. A novel AB and ABA (or BAB) block copolymers were synthesized using sBCPSBP (sulfonated 4,4'-bis[4-chlorophenyl)sulfonyl]-1,1'-biphenyl), DHN (1,5-dihydroxynaphthalene), DFBP (decafluorobiphenyl) and HFIP (4,4'-hexafluoroisopropylidenediphenol). All block copolymers were easily cast and made into clear films. The structure and synthesized copolymers and corresponding membranes were analyzed using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1H$-NMR ($^1H$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d 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analysis showed that the prepared membranes were thermally stable, so that elevated temperature fuel cell operation would be possible. Hydrophobic/hydrophilic phase separation and clear ionic aggregate block morpology was confirmed in both triblock and diblock copolymer in AFM (atomic force microscopy), which may be highly related to their proton transport ability. A sulfonated BAB triblock copolymer membrane with an ion-exchange capacity (IEC) of 0.6 meq/g has a maximum ion conductivity of 40.3 mS/cm at $90^{\circ}C$ and 100% relative humid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