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업무시간

Search Result 1,339,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re Coffee Breaks Good for Performance?: A Perspective on Non-Work-Related Activities (커피 브레이크는 성과에 도움이 되는가?: 업무 외적인 활동 관점)

  • Lee, Jong-Ma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10
    • /
    • pp.167-17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non-work relating activities at work. To do this, this paper proposes and analyzes a simple theoretical model consisting of factors such as non-work relating smartphone usage during working hours, non-work relating coffee break during working hours, work after working hours, and job performance. Our findings are revealed as following: First, non-work-related coffee break has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Second, non-work-related smartphone usage generally has negative effect on performance, but it has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in personal communication with co-workers. Third, work after working hours has negative effect on performance.

대기행렬 모형을 사용한 기업 업무절차의 수행시간 예측

  • Ha, Byeong-Hyeon;Bae, Jun-Su;Gang, Seok-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548-551
    • /
    • 2004
  • 합리적인 업무 수행도의 예측을 통해 기업은 기존 업무절차의 평가뿐 아니라 업무 개선방안과 새로운 업무의 설계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업무효율지표들 중 가장 중요한 요소인 업무절차의 수행시간을 예측하는 모형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업무는 예측가능하며 장기적으로 안정된 성격을 가진다. 우리는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한 대기행렬 모형을 구축하고 그것을 분석하여 정적인 방식의 업무실행 시 수행시간을 예측하였다. 그리고 모형의 성능을 시뮬레이션 기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 PDF

Tend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Work Performance and the Reality and Efficiency of their Working Hours (유치원 교사의 업무수행 경향성과 업무시간 운영의 실제 및 효율성에 대한 인식)

  • Ahn, Hye Jung;Lee, Seung Yeon
    •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 /
    • v.12 no.3
    • /
    • pp.3-27
    • /
    • 201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a tend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daily work performance and to explore their perceptions on the reality and efficiency of working hours. 273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carried out an average of 1.41 duties per a 30-minute segment, a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ir duti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teachers. Second, as a key reason of their lack of preparation time for class, public teachers indicated much administrative work, whereas private teachers indicated many events and common work. In addition, for the work duties that require supporting staff, public teachers pointed out clerical work, whereas private teachers named event-related duties. Third, in terms of efficiency of their working hours, both public and private teachers highlighted excessive workload as a key obstacle; public teachers also indicated the shortage of supporting staff, while private teachers indicated many event-related duties and lack of directors' leadership. These findings imply that it is important to maintain an optimum level of workload for kindergarten teachers, to secure preparation time for class, to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to provide support specific to kindergarten types.

A Study on the Working Status and Onboard Training Satisfaction Level of Merchant Ship's Cadets (상선 위탁실습생의 업무실태 및 실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 Kim, Deug-Bong;Lee, Chang-Hyun;Lee, H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4 no.6
    • /
    • pp.709-716
    • /
    • 2018
  • In 2017, there was an accident in which a cadet onboard training was killed. This cadet worked 12 hours a day. No regulation has yet been laid down to define hours and breaks for inter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orking status of commissioned training, the satisfaction survey of commissioned training, and to improve the treatment of commissioned traine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commissioned from merchant vessels, and 461 respond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43.0 % of cadets said that they worked 10 hours a day on average, regardless of the vessel type, and 35.2 % said that the average rest time was 8 hours. 15.6 % of respondents said they had worked more than 12 hours. Unreasonable order cases deviating from the purpose of education were "making ramen, working at rest time, instruction of dangerous work, making night snack and private errands." Second, the satisfaction level of cadets who practiced on LNG carriers was high, while the satisfaction level of cadets on bulk carriers and container carriers was low. It was confirmed that the ship's size, ship's age, working hours, rest time and training support costs had little minor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Lastly, 56.8 % of the cadets answered 'commissioned training is like work.'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we proposed the following improvement methods; providing legislation for working hours and rest time for commissioned training cadets, protection system against violence and sexual harassment and victim protec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working and rest time of merchant ship's cadet and it is meaningful to investigated the onboard training satisfaction by ship's type, size and age.

The Time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Construction Industry (건설업의 인력운용 효율화를 위한 시간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

  • Kim, Kwang-Soo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9.11a
    • /
    • pp.339-348
    • /
    • 2009
  • 건설업은 공사수행을 포함한 대부분의 기업 활동이 인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산업으로서 원가구성 측면에서도 외주비와 재료비를 제외하고 가장 큰 원가항목이 인건비다. 따라서, 건설업의 인력관리 강화는 효율적인 인력 운용과 원가관리를 위해서도 가장 중요한 관리항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업에서 체계적인 인력 및 시간관리를 통해 인력운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업무시간 실적 정보에 의해 업무에 대한 성과관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운영 및 시간관리 시스템 (TMS: Time Management System) 구축 방안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시간관리는 높은 수준의 인력 및 업무 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업무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과 적정 시간 분석으로 관습적이고 비효율적인 업무요소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하고자하는 건설사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산업 군에 속하는 여러 기업들에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ffect of Always Being on Call after Work-hour on Conflict between Work and Life Balance: Medi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IT업계 종사자들의 업무시간 외 상시연결성이 일과 삶의 갈등에 미치는 영향: 직무불안정성의 매개효과)

  • Sun, Dong Kyu;Yeo, Young-su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3
    • /
    • pp.269-27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lways being on call and the conflict factors between work and life balance among employees' in the IT relative indust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always being on call factor perceived by employees' in the IT relative industry influences to conflict factor between work and life balance. Moreover, always being on call factor negatively effects on all factors of job insecurity which are impotent feeling and possibility of job loss. From the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job insecurity and conflict between life and work balance showed that the factor of impotent feeling influence on conflict between life and work balance while the factor of job loss does not. In addition, job insecurity(impotent feeling and possibility of job loss) partially mediated between always being on call and the conflict factors between work and life balance among employees' in the IT relative industry.

The Influence of Work Delivery using SNS out of Duty Hours on Job Performance (업무시간 외 SNS를 통해 업무전달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Cui, Hang-Hang;Kwon, Hyeok-G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2
    • /
    • pp.107-116
    • /
    • 2022
  • In the Chinese workplace, the use of SNS such as Wechat and QQ for work delivery out of duty hours has become a very common phenomenon, which is also known as the "new night shift".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work delivery using SNS out of duty hours on job performanc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10 Chinese workplace employee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ill be implemented. Analyzing the questionnaire data and receiving frequent work delivery using SNS out of duty hours will increase job stress, aggravate the conflicts between work and family, and lead to the decrease of job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The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theories by providing a different view form previous research results that work delivery using SNS out of duty hours will definitely improve job performance. In addition, in future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moderating effect in converging these conflicting views.

Reengineering on reporting system (영업보고 프로세스의 개선)

  • 이순철;천정락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6.10a
    • /
    • pp.65-68
    • /
    • 1996
  • 은행 영업점 직원은 창구고객을 응대하는 것이 주업무이나 그 밖의 부수적인 업무에도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고객의 금전을 취급하는 특성으로 매일 시재의 검사와, 일일결산을 위하여 일일 항목별 보고서를 출력해서 결제를 받아야 하고 주기적으로 본부 부서에 보고서를 작성해서 보내야 한다. 그러나 보고서 관련 업무의 비중이 높아지면 영업점직원의 업무 부담이 과중해서 창구 응대에 소홀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보고업무의 능률화, 보고 경로의 개선, 온라인 업무의 개발로 영업점 보고서 업무가 재구축되어 관리업무를 최소화하고 고객서비스 업무에 투여할 수 있는 시간을 증대시켜야 한다.

  • PDF

Effect of the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NEIS) in Reducing Tasks (NEIS 교무업무시스템 활용에 따른 교원업무 효율성 분석)

  • Yoon, Mi-Ra;Sin, Su-Bum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346-351
    • /
    • 2007
  • 교육인적자원부는 교육행정 전반의 효율성을 높이고 교원 업무 환경 개선을 위하여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의 도입단계에서 시스템의 보안성 취약과 개인정보에 대한 해킹 우려 등의 이유로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이 정착되지 못하였으나 NEIS의 27개 영역 중 개인정보를 많이 담고 있는 교무/학사, 입(진)학, 보건을 분리 별도의 서버를 구축하는 NEIS 교무업무시스템이 탄생하였다. 따라서 NEIS 교무업무시스템 활용하여 전자문서를 활용하여 이를 통한 교원업무가 경감되어 학교교육행정의 효율성을 모색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본 연구는 NEIS 교무업무시스템 활용에 따른 교원업무의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시스템 개선점 도출 및 편리성이 증진되었고 업무조직의 효율적인 분장 및 업무승인을 전자결재로 시행함으로써 시간단축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교원의 교무업무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교원 업무의 효율성도 증진시켰다. 또한 교무업무시스템의 활용으로 소요시간과 예산이 절감되었다. 교무업무시스템의 이러한 교원 업무 경감 효과에 비추어 향후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무업무시스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네트워크 정비나 성능 좋은 컴퓨터가 확보되어야 하고 둘째, 업무 효율화를 위해서 시스템 내에서의 업무 승인 기능이 확대되어야 하며 교원의 업무경감 및 시스템 운영의 활성화를 위해서 훈령을 학교현장의 여건에 맞추어 정비 보완해야 하며, 시스템 운영의 표준화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 PDF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Jo, Dong-Ran;Go, Bong-Ryeon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
    • v.2
    • /
    • pp.26-39
    • /
    • 1992
  • 본 연구는 보건관리대행기관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들의 보건관리업무실태 및 근무만족도와 이들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산업간호업무향상 및 효율적인 산업보건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조사대상은 38개 보건관리대행기관중 24개 기관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 118명중 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92년 5월부터 6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중 89명이 설문에 응답하여 이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관리대행기관의 간호사는 산업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비교해볼 때 기존 산업간호사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법정휴가를 받는다는 간호사가 59.1%로 더 낮았다. 둘째,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담당사업장수는 법적으로 30개 사업장, 2,000명의 근로자를 담당하도록 되어있는데 조사결과 법적기준인 보건관리사업장의 수를 담당하는 간호사는 57.1%를 차지하였고, 담당 근로자 수로 볼때는 2,000명이하가 29.8%를 차지하여 많은 산업간호사가 법적인 기준을 초과하여 산업보건관리를 대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건관리대행의 방문방법으로 교통편은 대행 기관차량을 이용하며, 간호사 혼자 산업장을 방문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나타났고, 방문횟수는 100인미만이 월1회, 100인이상이 월2회로 규정된 것과 비교해보면 규정을 따르는 곳이 100인 미만의 경우 97.4%, 100인이상의 경우 86.4%였다. 또한 의사나 위생사는 방문을 안하거나 년1-5회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건관리대행의 주제공자는 간호사인 것으로 냐타났다. 또한 사업장 방문시 업무수행장소는 휴게실이나 사무실이 87.5%, 현장이나 수위실에서 하는 곳이 70.5%나 되어 뚜렷이 업무를 수행할 장소가 마련되지 않은 실정을 나타냈다. 네째, 보건관리대행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의 애로사항은 사업장내에서는 조직과 체계상의 문제, 간호사 역할에 대한 인식부족, 권한과 자율성 부족 등을 들었고, 사업장 방문시에는 사업주와 근로자의 인식부족이 우선적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산업간호사는 보건관리 대행업무에서 사업장의 참여유도, 사업장 순회점검 및 개선지도, 보건교육, 건강상담이 우선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다섯째,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정도는 건강검진이나 직업병관리, 보건교육, 환경위생관리업무를 비교적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전문적 위치나 상호작용, 업무요구등은 높게 나타났으나 보수와 산업보건관계자와의 관계등은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도에 대한 총화점수는 사업장근무자가 240점중 143.8인데 비해 보건관리대행기관 근무자는 230점중 129.61점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 일곱째, 일반적 특성별 보건관리대행 산업간호사의 직무수행정도는 연령별 30세이상군이, 결혼상태별로 기혼군이, 경력은 1년이상인 군이, 근무시간 8시간인군이, 급여수준은 50만원이상인군이, 법정휴가가 있는 군이, 자질향상교육을 받은군이 담당사업장수가 30개이하인 군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령군이 20-24군과 30세이상인군 (p<0.05), 결혼상태별로 기혼군과 미혼군(p<0.01), 급여수준별로 50만원미만군과 이상인 군(p<0.05), 법정휴가가 있는 군과 없는군(p<0.05), 자질향상 교육을 받은군과 받지못한 군(p<0.01), 담당사업장수가 30이하인 군과 31인이상인 군(p<0.05)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산업간호사중 나이가 많고, 기혼이며 급여수준이 높고 법정휴가와 교육을 받고, 담당사업장수가 30이하인 군이 보건관리대행업무를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일반적 특성별 보건관리대행 산업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연령별 30세이상군이, 결혼상태별로 기혼군이 경력은 1년이상인 군이, 근무시간 8시간인군이, 급여수준은 50만원이상군이, 법정휴가가있는군이, 자질향상교육을 받은군이, 담당사업장수가 30개이하인 군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결혼상태별로 기혼군과 미혼군(p<0.01), 근무시간별로 8시간군과 9시간 이상인 군(p<0.01), 급여수준별 50만원 미만군과 이상군(p<0.05), 자질향상교육을 받은군과 받지 않은군(p<0.05)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산업간호사중 기혼이고 근무시간은 8시간이며 급여수준이 높고 자질향상교육을 받은 군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정도와 직무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면 보수, 자율성, 업무요구가 높을수록 산업간호업무를 수행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상관관계 r>0.6, P>0.001), 전체적으로 총직무만족도와 업무수행정도와의 상관관계는 6346, P<0.001로서 만족도가 높을수록 업무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하여 보면, 보건관리대행기관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는 그 특성을 고려하여 업무도 사업장 근무자와 다르게 규정되어야 하며, 담당업무의 명확한 한계를 정해 중소규모사업장의 산업보건관리업무를 책임있게 수행할 수 있도록 뒷받침이 필요하다. 더불어, 직무만족도를 높일수 있도록, 산업간호사에 대한 다방면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는 나이가 많고 기혼이며 경력있는 간호사를 채용하고 근로조건을 잘 개선하면 직무수행정도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좋은 근로조건의 형성과 직무만족도 등을 높여 산업간호사의 직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는 보건관리대행기관에 관한 규정이 강화 보완되어야 하겠으며, 민간단체와 의료기관 뿐아니라 공공기관에서도 중소규모사업장의 보건관리업무를 담당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