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nd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Work Performance and the Reality and Efficiency of their Working Hours

유치원 교사의 업무수행 경향성과 업무시간 운영의 실제 및 효율성에 대한 인식

  • 안혜정 (연성대학교 유아교육과) ;
  • 이승연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11.05
  • Accepted : 2018.12.17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a tend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daily work performance and to explore their perceptions on the reality and efficiency of working hours. 273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carried out an average of 1.41 duties per a 30-minute segment, a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ir duti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teachers. Second, as a key reason of their lack of preparation time for class, public teachers indicated much administrative work, whereas private teachers indicated many events and common work. In addition, for the work duties that require supporting staff, public teachers pointed out clerical work, whereas private teachers named event-related duties. Third, in terms of efficiency of their working hours, both public and private teachers highlighted excessive workload as a key obstacle; public teachers also indicated the shortage of supporting staff, while private teachers indicated many event-related duties and lack of directors' leadership. These findings imply that it is important to maintain an optimum level of workload for kindergarten teachers, to secure preparation time for class, to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to provide support specific to kindergarten types.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하루 업무수행의 경향성을 분석하고, 업무시간 운영의 실제와 효율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공사립유치원 교사 2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단위시간(30분)별로 평균 1.41개의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업무 내용에 있어 공립과 사립 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수업준비시간이 부족한 이유로 공립 교사들은 행정업무가 많아서, 사립 교사들은 행사나 공동 업무가 우선시 되어서를 꼽았고, 수업 외 업무에서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 인력지원이 필요한 업무로 공립 교사들은 사무관련 업무, 사립 교사들은 행사관련 업무를 꼽아 차이를 보였다. 셋째, 업무시간의 효율적 운영과 관련해서는 공립과 사립 모두 업무량 과다를 매우 심각하게 보았고, 더불어 공립은 보조인력 부족, 사립은 행사관련 업무 과다 및 관리자의 리더십을 문제시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치원 교사의 업무량 적정화, 수업준비시간의 확보 및 업무 효율화, 기관유형에 맞는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미경.류숙희.나정(2006). 유치원 교사의 근무여건과 전문성 향상 요구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1(3), 251-284.
  2. 고현.최연(2016). 사립유치원 교원의 행정업무 부담과 개선방안 인식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2), 111-136.
  3. 교육기본법. http://www.law.go.kr (인출일: 2018.10.15.)
  4. 권나영.이희영(2012). 유치원 교사의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역할.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3), 199-218.
  5. 김경철.장연주(2011). 유치원 교사가 경험하는 수업의 어려움과 개선방안. 교원교육, 27(2), 37-58.
  6. 김남순(2002). 교사의 역할구조와 일과시간 활용에 대한 연구. 교육문제연구, 17, 55-78.
  7. 김대현.이도영.이상수(2014). 초등교원의 근무부담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1(3), 1-33.
  8. 김령지(2011). 업무 효율성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9. 김마리.이승연(2008). 유치원 행사에 대한 현황 및 교사의 인식. 육아지원연구, 3(2), 5-31.
  10. 김은영(2008). 유치원 교사의 직무수행시간 분석. 육아정책연구, 2(1), 49-70.
  11. 김은영.권미경.조혜주(2012). 교사양성과정 내실화를 위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일과운영 및 교사의 직무분석(연구보고 2012-07). 육아정책연구소.
  12. 김은영.박은혜(2006). 유치원 교사의 직무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3(2), 303-323.
  13. 김은영.조혜주(2013a).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 수행빈도, 중요도, 난이도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 7(2), 215-244.
  14. 김은영.조혜주(2013b). 유치원과 어린이집 인력 배치 및 운영에 대한 교원의 인식 및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4), 361-386.
  15. 김은영.조혜주(2014). 유치원 교사의 근무여건 및 개선 방안. 육아정책연구, 8(1), 81-107.
  16. 김의석.김성원.권성민(2013). 유치원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8(6), 333-351.
  17. 김이경.유수정.김미정(2009). 교사의 근무시간 내.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7(4), 87-108.
  18. 김정아(2011). 공립유치원 교사의 행정적 업무수행의 어려움 및 개선에 대한 인식.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19. 김현주(2005). 사립유치원 교사 문화의 특질: 어느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이야기.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 노경옥.김주후.전유영(2014). 사립 유치원 행사와 교육과정 연계의 실태 및 개선 방안. 열린유아교육연구, 19(5), 119-141.
  21. 문무경.최윤경(2012). OECD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 향상 방안 연구(수탁연구보고 2011-2). 육아정책연구소.
  22. 민혜영.윤미정(2011). 영아반과 유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47-168.
  23. 박미리(2012). 공립유치원 교사의 수업 외적 업무 부담에 관한 연구-서울지역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4. 박민복(2006). 공립단설유치원 교사와 병설유치원 교사의 업무부담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5. 서울시특별시교육청(2014.11). 유아교육 발전을 위한 서울시교육청 종합계획.
  26. 안현주(2014). 유치원 교사의 행정업무 부담 및 적합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7. 오욱환(2005). 교사전문성. 서울: 교육과학사.
  28. 유아교육법. http://www.law.go.kr (인출일: 2018.10.15.)
  29. 이미영(2014). 사립유치원 교사의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조사.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30. 이승신(2003). 유치원 교사 관련법에 기초한 근무환경 실태조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31. 이승은.서현(2012). 유아교사의 어려움에 대한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주관적 이해 분석. 유아교육연구, 32(6), 441-466.
  32. 이유진(2010).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가 직무수행에서 갖는 어려움.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33. 정미경.주영효.정바울(2013). 교사 업무경감 정책의 단위학교 추진실태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0(3), 377-404.
  34. 정바울.이성회.양승실.김병찬.김종민.이진솔(2014). 교원의 업무시간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연구(연구보고 RR 2014-04). 한국교육개발원.
  35. 정지원(2014). 단일학급 유치원 교사의 행정업무 부담 정도 분석.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교육대학원.
  36. 조은영(2011). 사립유치원 초임교사 직무현황과 인식에 관한 연구: 초임교사와 경력교사, 원장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37. 조혜선(2008). 유치원 교직문화 분석: 경력교사 10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38. 초중등교육법. http://www.law.go.kr (인출일: 2018.10.15)
  39. 통계청(2017). 한국표준직업분류. https://kssc.kostat.go.kr (인출일: 2018.10.15.)
  40. 하정연(2010). 유아교육기관 행사운영에 관한 소고: 생태유아교육적 관점에서. 생태유아교육연구, 9(4), 109-133.
  41. Ballet, K., & Kelchtermans, G. (2009). Workload and willingness to change: Disentangling the experience of intensification.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40(1), 47-67.
  42. Ballet, K., Kelchtermans, G., & Loughran, J. (2006). Beyond intensification towards a scholarship of practice: Analysing changes in teachers' work lives. Teachers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12(2), 209-229. https://doi.org/10.1080/13450600500467415
  43. Baumgartner, J. J., DiCarlo, C., & Carson, R. L. (2013). Reducing workplace stress. Exchange, 211, 60-63.
  44. Buese, D., & Valli, L. (2007). The changing roles of teachers in an era of high stakes accountability.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4(3), 519-558. https://doi.org/10.3102/0002831207306859
  45. Crotwell, W. G. (2011).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of professional workload and tim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alden University, Minneapolis, MN.
  46. Ingersoll, R. M. (2012). Beginning teacher induction: What the data tell us. Phi Delta Kappan, 93(8), 47-51. https://doi.org/10.1177/003172171209300811
  47. Philipp, A., & Kunter, M. (2013). How do teachers spend their time? A study on teachers' strategies of selection, optimisation, and compensation over their career cycl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35, 1-12. https://doi.org/10.1016/j.tate.2013.04.014
  48. Stronge, J. H. (2007). Qualities of effective teachers (2nd ed.). Washington, DC: The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49. Sugden, N. A. (2010). Teacher workload: A formula for maximizing teacher performance and well-be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alden University, Minneapolis, MN.
  50. The Alberta Teachers' Association. (2012). The new work of teaching: A case study of the worklife of Calgary public teachers. https://www.teachers.ab.ca (인출일: 2018.10.5)
  51. Wong, J. (2006). Contro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re teachers being deskilled or reskilled within the context of decentralization? Educational Studies, 32(1), 17-37. https://doi.org/10.1080/03055690500415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