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언어 융합

검색결과 532건 처리시간 0.028초

채팅 메신저 사용자 검증을 위한 그래프 랜덤 워크 분석 (Graph Random Walk Analysis for Chat Messenger User Verification)

  • 이다영;조환규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1년도 제3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79-84
    • /
    • 2021
  • 메신저 사용의 증가와 함께 관련 범죄와 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메시지 사용자 검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프 기반의 인스턴트 메세지 분석 모델을 제안하여 채팅 사용자를 검증하고자 한다. 사용자 검증은 주어진 두 개의 텍스트의 작성자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문제다. 제안 모델에서는 사용자의 이전 대화를 토대로 n-gram 전이 그래프를 구축하고, 작성자를 알 수 없는 메세지를 이용해 전이 그래프를 순회한 랜덤워크의 특성을 추출한다. 사용자의 과거 채팅 습관과 미지의 텍스트에 나타난 특징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모델은 10,000개의 채팅 대화에서 86%의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로 사용자를 검증할 수 있었다. 전통적인 통계 기반 모델들이 명시적 feature를 정의하고, 방대한 데이터를 이용해 통계 수치로 접근하는데 반해, 제안 모델은 그래프 기반의 문제로 치환함으로써 제한된 데이터 분량에도 안정적인 성능을 내는 자동화된 분석 기법을 제안했다.

  • PDF

영어 교육을 위한 거대 언어 모델 활용 말뭉치 확장 프레임워크 (Data Augmentation using Large Language Model for English Education)

  • 정진우;정상근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3년도 제35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698-703
    • /
    • 2023
  • 최근 ChatGPT와 같은 사전학습 생성모델은 자연어 이해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코드 작업을 도와주고 대학수학능력시험, 중고등학교 수준의 문제를 풀거나 도와주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사전학습 생성모델을 이용하여 영어 교육을 위해 말뭉치를 확장하는 프레임 워크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ChatGPT를 사용해 말뭉치를 확장 한 후 의미 유사도, 상황 유사도, 문장 교육 난이도를 사용해 생성된 문장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한다.

  • PDF

정상 노인과 경도인지장애의 감별을 위한 언어 기억과 시공간 기억 검사의 예측 성능 비교 (Comparison of Predictive Performance between Verbal and Visuospatial Memory for Differentiating Normal Elderly from Mild Cognitive Impairment)

  • 변해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03-208
    • /
    • 2020
  • 이 연구는 첫째, 경도인지장애(MCI)가 언어 기억 및 시공간 기억 등 특정 기억의 저하와 관련이 있는지를 파악하고, 둘째, 정상 노인으로부터 MCI를 감별하는 데 예측력이 우수한 지표를 탐색하였다. 표준화 된 기억검사를 수행한 189명(정상 노인 103 명, MCI 86 명)을 분석하였다. 언어 기억은 Seoul Verbal Learning Test를 이용하였고. 시공간 기억은 Rey Complex Figure Test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기억 검사의 예측력을 분석한 결과, 언어 기억과 시공간 기억은 정상 노인으로부터 MCI를 감별하는 데 예측 성능이 유의미하였다. 반면, 각 기억 검사의 수행결과를 포함하여 모든 혼란변수를 보정했을 때, 언어 기억의 즉시 회상만 정상 노인으로부터 MCI를 감별하는 데 예측력이 유의미하였으며, 시공간 기억의 즉시 회상은 예측력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MCI를 선별할 때 언어 기억과 시공간 기억의 지연 회상, 언어 기억의 즉시 회상이 MCI의 기억능력을 감별할 수 있는 최상의 조합임을 시사한다.

언어학습과 성격특성의 관계에 대한 문헌 분석 연구 (A literature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traits and language learning)

  • 샘 아이젠버그;이경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47-155
    • /
    • 2020
  • 이 연구는 언어를 학습하는데 있어서의 학습자의 성격특성이 어떤 역할을 하여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연구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즉, 최근의 연구들을 검토하기 위해서 언어학습과 성격특성에 관련된 연구들을 ProQuest, Google Scholar, 그리고 EBSCO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연구들을 검토하고 선정 및 정리하여 언어학습의 영역 즉 쓰기, 듣기, 말하기의 영역에서 성격특성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문헌별로 정리하고 그 의미를 도출하였다. 문헌연구의 결과 외향성 및 개방성의 특성은 언어의 학습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데에 기여를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향성은 말하기에, 개방성은 듣기에 연관되어 있음을 연구들은 보고하고 있었다. 또한 학습자의 성격특성은 개인의 언어학습의 전략에도 관계되어 있고 전략수립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이 초기 치매노인의 생성 이름대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예비연구 (The effect of computer 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generative naming i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preliminary study)

  • 변해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67-172
    • /
    • 2019
  • 본 연구는 초기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이 전두엽 집행기능 중 생성 이름대기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치매 환자의 조기 언어중재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분석 대상은 경증치매환자 29명으로서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CoTras)을 중재하는 실험군 21명과 지필과 테이블활동 등 전통적인 면대면 언어재활을 중재하는 대조군 8명으로 분류되었다.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은 모두 12주 동안 순차적 언어 회상 기억훈련, 연합회상 기억훈련, 언어 범주화 기억훈련, 언어통합 기억훈련을 진행하였다. 의미유창성과 음소유창성의 사전검사점수를 공변량으로 통제한 Welch's robust ANCOVA분석 결과,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은 의미유창성과 MMSE-K의 변화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5). 반면에, 음소유창성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기초선단계에 비해서 12주간의 치료 후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치료방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이 전통적인 인지재활에 비해서 의미유창성의 향상에 효과적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사고발성법과 언어분석을 활용한 TV 홈쇼핑 광고의 효과측정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Measurement of TV Home Shopping Advertising Using think aloud and linguistic Analysis)

  • 유연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797-80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TV홈쇼핑 광고를 시청하는 동안 일어나는 심리적 반응을 언어적 형태로 수집하고, 수집된 언어자료를 분석하여 광고효과의 측정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부와 여자 대학생 40명을 대상으로 긍정평가 광고와 부정평가 광고를 시청하는 동안 나타난 심리적 반응을 사고발성법을 이용하여 언어자료의 형태로 수집하고, 자기보고식 측정으로 광고효과변인들과 광고반응 변인들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언어자료를 KLIWC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긍부정평가 광고 간의 차이와 자기보고식 변인들 간의 상관을 살펴보았다. 검증결과, 긍정평가 광고와 부정평가 광고 간에 심리사회학적 변인뿐만 아니라 언어학적 변인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KLIWC의 다양한 변인들과 광고효과 변인들(구매자극도, 광고태도, 제품태도, 구매의도) 그리고 광고반응 변인들 간에 상관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고발성법과 KLIWC의 언어분석을 이용하여 TV홈쇼핑 광고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과 심리적 반응 프로파일을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여 준다.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유아환경교육에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문제해결전략 분석 (Analysis of Teacher's Verbal Interactions and Problem Solving Strategies in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 최윤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47-15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문제해결전략의 구성을 살펴보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환경교육 과정에서 발생한 교사의 발화를 수집하여, 범주를 개발하고 자료를 코딩하여 하위범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에서는 정보제공하기가 가장 중심에 위치하여 통합하기와 함께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교사의 문제해결전략에서는 제안이 가장 중심에 위치하여 확산적 사고와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셋째,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문제해결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제안이 가장 중심에 위치하고, 정보제공하기, 확산적 사고 등이 강한 연결성을 보였다. 이외에 제안과 의사결정이 문제관심을 매개로 평가와 연결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환경교육에 있어 교사가 유아의 문제해결과정을 지원하여 상호작용하기 위해서 유아의 반응에 맥락적으로 반응하고 이해할 수 있는 교사의 역량강화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대화를 중심으로 다양한 멀티모달 융합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기반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셋 구축 (Dialogue based multimodal dataset including various labels for machine learning research)

  • 신사임;장진예;김보은;박한무;정혜동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9년도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449-453
    • /
    • 2019
  • 미디어방송이 다양해지고, 웹에서 소비되는 콘텐츠들 또한 멀티미디어 중심으로 재편되는 경향에 힘입어 인공지능 연구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시작되고 있다. 본 논문은 다양한 형태의 멀티모달 정보를 하나의 동영상 콘텐츠에 연계하여 분석하여, 통합된 형태의 융합정보 데이터셋을 구축한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구축한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셋은 영상/음성/언어 정보가 함께 있는 멀티모달 콘텐츠에 상황/의도/감정 정보 추론에 필요한 다양한 의미정보를 부착하여 활용도가 높은 인공지능 영상 데이터셋을 구축하여 공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한국어 대화처리 연구에 부족한 공개 데이터 문제를 해소하는데 기여하였고, 한국어를 중심으로 다양한 상황 정보가 함께 구축된 데이터셋을 통하여 다양한 상황 분석 기반 대화 서비스 응용 기술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PDF

퓨샷 개체명 인식을 위한 Maximal Marginal Relevance 기반의 라벨 단어 집합 생성 (Generating Label Word Set based on Maximal Marginal Relevance for Few-shot Name Entity Recognition)

  • 최효림;황현선;이창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3년도 제35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664-671
    • /
    • 2023
  • 최근 다양한 거대 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들이 개발되면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퓨삿 학습 환경에서 개체명 인식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제안된 템플릿이 필요 없는 프롬프트 튜닝(Template-free Prompt Tuning) 방법을 이용하고, 이 방법에서 사용된 라벨 단어 집합 생성 방법에 Maximal Marginal Relevance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해당 개체명에 대해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인 라벨 단어 집합을 생성하도록 개선하였다. 실험 결과, 'LOC' 타입을 제외한 나머지 개체명 타입에서 'PER' 타입은 0.60%p, 'ORG' 타입은 4.98%p, 'MISC' 타입은 1.38%p 성능이 향상되었고, 전체 개체명 인식 성능은 1.26%p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라벨 단어 집합 생성 기법이 개체명 인식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됨을 보였다.

  • PDF

중학교스포츠클럽 지도자의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지도자신뢰 및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of middle school sports club instructor on trust of instructor and class commitment)

  • 장채욱;서수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267-277
    • /
    • 2021
  •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에서 지도자의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지도자신뢰 및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임의추출을 적용하여 수도권 소재의 중학생 34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수집,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잠재변인들의 하위요인간 문항 합점수를 이용한 상관분석 결과, 모든 상관계수에서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났다. 둘째,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지도자신뢰에 미치는 영향은 공간언어, 외양언어, 신체언어, 언어적 요인의 영향력 순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외양언어, 공간언어, 언어적 요인 순으로 수업몰입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도자신뢰가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운동능력 요인만 수업몰입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스포츠클럽 지도자와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쌓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학교스포츠클럽이 활성화될 수 있는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