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언어 능력

검색결과 937건 처리시간 0.022초

App-기반 청자 반응 대화훈련 프로그램이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아동의 대화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 Novel App-based Listener Responsiveness Conversation Training Program on Enhancing Conversational Skills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 조희정;김소연
    • 감성과학
    • /
    • 제26권3호
    • /
    • pp.115-128
    • /
    • 2023
  •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App-기반 청자 대화기술 훈련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6명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스퍼거 증후군, 전반적 발달장애로 진단된 초등학생으로, 연령과 IQ, SCQ, ASSQ 점수를 사용하여 중재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짝지어 분배하였다. 중재 집단은 9주 동안 교사와의 비대면 학습을 주 1회 실시하고, 가정에서도 부모 또는 아동이 앱(App)을 활용하여 대화훈련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다른 특별한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리고 훈련 전과 후에 평가자와 아동 간의 1:1 대화를 수행하여 대화 자료를 수집하고, 대화차례 주고받기와 주제 운용능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 집단에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청자 반응 대화훈련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가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중재 집단은 청자 조건에서 적절한 청자 언어 반응이 유지되었고, 통제 집단은 적절한 청자 언어 반응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화자 조건의 대화 차례 주고받기에서는 개시율과 유지율이 증가하고, 주제 운용능력에서는 적절한 주제 개시율이 증가하고, 부적절한 주제 개시율은 감소하였다. 논의에서는 청자 반응 대화훈련 프로그램이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대화 양상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전송 품질 개선을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 제안 (Metadata Design Proposal for Improving the Transmission Quality in Wireless Sensor Network)

  • 전혜경;박양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193-199
    • /
    • 2014
  • 무선 센서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요구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한 수단은 실세계에서 얻는 데이터이므로 어플리케이션 개발 과정에 있어서 데이터에 관한 품질 개선은 중요한 과제이다. 어플리케이션 개발 시 저비용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빠른 기간 내에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과 상세한 품질개선에 대한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개발방법은 추상도를 일관되게 사용하기 위한 기술능력과 기술의 용이성간의 이율배반적인 관계로 인하여 동시에 두 가지를 만족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추상도가 다른 복수의 모델링 언어를 병용해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품질 개선을 지원하는 메타 데이터 설계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설계대상마다 적절한 추상도를 사용하도록 모델링 언어를 정의하고 이들의 사용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위모델 설계를 하위 모델에 반영함으로써 실제와 근접한 자동모델교환규칙을 정의할 수 있도록 한다.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이 학습자의 동기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arning Scratch Programming on Students' Motiva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 송정범;조성환;이태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23-33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프로그래밍 학습을 효과적으로 조력하기 위해 새로운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스크래치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 내용은 프로그래밍 과정에서의 학습자의 내적 동기 유발을 위한 전략과 복잡한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CPS)을 토대로 구성하였다. 설계된 학습 내용을 초등학교 6학년 재량활동 시간에 적용한 결과,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은 학습자의 내재적 동기와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의 개정으로 프로그래밍 교육과 알고리즘 교육이 초등학교에서도 필요하게 되었고 학교 현장의 여건 등을 고려해보면 본 연구를 통해 설계된 교수 학습 전략을 기반으로 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은 의미 있는 선택이며 기존 프로그래밍 교육의 문제점 해소를 위한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이공계 우수 대학생 집단의 창의성과 학업 성적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university students)

  • 정지범;백윤수;문일
    • 공학교육연구
    • /
    • 제7권4호
    • /
    • pp.38-44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우수대학생들의 창의적 특성을 파악하고, 현행 공학기초교육과정이 학생들이 창의성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공과대학생을 수학 과학 능력이 뛰어난 우수학생집단과 일반학생집단으로 나누고, 두 집단에 각각 TTCT 도형 언어 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하였고, 1학년 때의 평균학점(GPA)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TCT 검사 결과, 우수학생집단과 일반학생집단의 대부분의 창의성 요인 점수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언어검사의 융통성과 같은 몇몇 요인의 경우에는 일반학생들이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둘째, 평균학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도형검사의 독창성의 경우 평균학점과 약한 양의 상관을 보이고 있으나, 그 밖의 다른 요인들은 전반적으로 상관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사이버범죄의 대응강화를 위한 디지털 포렌식 수사 활용방안 (The application of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for response of cyber-crimes)

  • 오세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81-8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사이버범죄에 대한 대응강화를 위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이버범죄의 발생현황과 경찰청의 디지털 포렌식 활용실태를 살펴 본 후 사이버범죄의 수사와 범인검거에 있어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이버범죄 대응 디지털 포렌식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모델은 디지털 포렌식 분석기를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언어지원시스템에 의해 다양한 개별언어를 표준화된 데이터로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는 범죄혐의를 입증하는데 있어 법적 증명력이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여 법적증명력이 있다고 분석된 데이터들은 다시 경찰 등의 수사기관에 알려주게 되어 신속한 수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수사기관은 파일시스템에 직접 접근하여 디지털 증거능력 여부를 조회 확인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강수사에 대한 수사절차와 시간을 최소화 하고, 디지털 포렌식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는 디지털 포렌식 저장기에 다시 저장하여 모아진 데이터를 통해 향후 범죄예측과 예방에 활용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사이버범죄 감소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정신분열병과 기분장애 환자의 언어적 기억능력과 기억과정의 특성에 대한 연구 (Verbal Memory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Memory Process in Schizophrenia and Affective Disorder)

  • 이소연;이분희;이정애;김계현;김용구;박선화
    • 생물정신의학
    • /
    • 제12권2호
    • /
    • pp.207-215
    • /
    • 2005
  • Objectives:This study was to compare verbal memory ability among patients with schizophrenia, bipolar manic patients and unipolar depressive patients, and to understand their charicteristics of memory process. Methods:All subjects were hospitalized patients and had been interviewed by using th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SCID). Schizophrenic patients(N=40), bipolar manic patients(N=17), and unipolar depressive patients(N=20) were assessed with K-AVLT for verbal memory and with K-WAIS for verbal IQ. Three groups were compared regarding total immediate recall, delayed recall, delayed recognition, learning curve, memory retention, and retrieval efficiency under controlled verbal IQ.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which clinical factors have an influence on verbal memory ability. Results:In MANCOVA, differences of verbal memory test scores among the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F=1.800, p<.05). In post hoc analysis,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bipolar mania showed poorer performance in immediate recall, delayed recall, delayed recognition, retrieval efficiency than unipolar depres- sive patients. And schizophrenics performed poorly in delayed recall, delayed recognition, retrieval efficiency than nonpsychotic affective disorder group, but no difference in total immediate recall, delayed recall, delayed recognition, retrieval efficiency between the schizophrenic group and the psychotic affective group. Conclusions:These results partially confirm previous reports of verbal memory ability among major psychiatric disorders. Our results showed that psychotic symptoms were related with verbal memory, and longer duration of illness was related with poorer performance in schizophrenia and unipolar depression.

  • PDF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 반영을 중심으로 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focusing on the Reflect Qualities of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 조규성;정덕호;박경진;김희진;박선옥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543-55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영재교육 담당교사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이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연수 프로그램이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을 충분히 반영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각 지역 교육청, 대학 부설 연수원과 원격연수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영재교육 관련 20개의 연수 프로그램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에 관한 프레임을 선정하였고, 이 자료를 토대로 연수 프로그램을 강의별로 코딩하여 정제한 뒤 분류 작업을 거쳐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 연수 프로그램은 '교육과정', '교수법', '교육과정 개발'에 중점을 두어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교사의 전문적 자질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많은 교사연수프로그램이 정의적 자질보다 전문성 및 교수능력 자질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연수 프로그램을 다양하고 균형 있게 재편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교사의 자질을 균등하게 개선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연수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모바일 사용자를 위한 3 차원 가속도기반 제스처 인터페이스 (Gesture interface with 3D accelerometer for mobile users)

  • 최봉환;홍진혁;조성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378-383
    • /
    • 2009
  • 최근 많은 시스템이 사용자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의도를 추론하고, 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항상 사용자가 지니게 되는 모바일 기기에 장착될 센서에 의해 진행되는 이러한 흐름에서 가속도 센서는 이미 선두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가속도 센서는 각종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며, 제스처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발에 매우 유용하다. 보통 제스처 등의 시계열 패턴을 인식하기 위해서 많은 연산이 필요하며 연산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모바일 환경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기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저수준과 고수준으로 이루어진 모션 라이브러리기반 2 단계 인식기를 제안한다. DTW 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3 차원 가속도 기반 저수준 인식기와 언어적으로 기술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복합적인 동작에 대한 인식기로 구성된 모션 라이브러리를 구성하여 모바일 환경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 PDF

조형으로부터의 'Fun' 감성의 발생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Study on the Mechanism of Occurrence of 'FUN' through Form-Giving)

  • 김유진;이동연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139-14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조형(Form-Giving)이 가지는 언어적 능력 또는 기능으로써 'Fun' 감성의 발생과 수용을 다루고 있다. 조형언어로써 'Fun' 감성은 넓은 의미로 사용자가 인공물과의 관계를 통한 경험으로서 소유의지(가지고 싶은)를 갖게 하는 감성으로 정의한다. 좁은 의미로는 보다 능동적이고 의식적인 인지과정에서 겪게 되는 예상치 못한 조형 정보에 대한 물리적.심적 체험의 결과로써 소유의지가 생기는 경우의 감성을 'Fun' 감성으로 본다. 'Fun' 감성의 발생은 사용자의 인지적 특성으로부터 심적 정체(mental block)의 인지과정(여기서는 사용과정으로 보고 있음)을 통한 심적 정체의 해소 시점에서 발생됨을 유추할 수 있었다. 조형요소의 변형 및 규칙, 그리고 적용 조건을 인지적 관점에서 사용자 경험과 조형 컨텍스트(context)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제안하였다. 이는 목적하는 감성에 부합하는 조형(form-giving)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다루어진다. 또한 다루고 있는 심적 정체로부터 'Fun' 감성 지향을 위한 조형 요소의 활용을 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내용을 기반으로 향후, 보다 실증적 연구를 통해, 디자인에 있어서 'Fun' 감성의 발생 메커니즘의 활용이 보다 매력적이고 흥미있는 제품 컨셉과 제품 형태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길 기대한다.

  • PDF

휴대전화에서 단문 메시지로부터 일정 자동 등록 (Automatically Registering Schedules from SMS Messages on Handheld Devices)

  • 김재훈;김형철
    • 인지과학
    • /
    • 제22권1호
    • /
    • pp.1-18
    • /
    • 2011
  • 휴대전화가 대중에게 널리 보급됨에 따라, 단문 서비스(SMS)가 새로운 의사소통 수단으로 등장하고 있다. 단문 서비스는 가격이 저렴할 뿐 아니라 단문 메시지를 쉽게 저장할 수 있어 약속이나 일정 알림용으로 널리 사용된다. 본 논문은 단문 메시지로부터 일정 정보(시간과 장소)를 추출하여 자동으로 일정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단문 메시지는 짧고 간결하지만 비속어나 준말 등이 많이 사용된다. 이것이 일정 정보를 추출하는데 더욱 어렵게 한다. 또한 휴대전화에는 계산 능력과 저장 공간이 충분하지 못하므로 형태소 분석과 같은 일반적인 자연언어 처리 모듈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형태소 분석과 같이 복잡한 언어 처리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기계학습 기반으로 일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휴대전화의 일정 관리 시스템에 등록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자동 일정 등록 시스템은 삼성전자 옴니아 휴대전화에 탑재되어 정상적으로 잘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