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 반영을 중심으로 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focusing on the Reflect Qualities of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 투고 : 2014.07.16
  • 심사 : 2014.08.10
  • 발행 : 2014.08.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영재교육 담당교사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이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연수 프로그램이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을 충분히 반영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각 지역 교육청, 대학 부설 연수원과 원격연수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영재교육 관련 20개의 연수 프로그램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에 관한 프레임을 선정하였고, 이 자료를 토대로 연수 프로그램을 강의별로 코딩하여 정제한 뒤 분류 작업을 거쳐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 연수 프로그램은 '교육과정', '교수법', '교육과정 개발'에 중점을 두어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교사의 전문적 자질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많은 교사연수프로그램이 정의적 자질보다 전문성 및 교수능력 자질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연수 프로그램을 다양하고 균형 있게 재편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교사의 자질을 균등하게 개선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연수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cusing on reflect qualities of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A total of 20 teacher training programs were collected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the teacher training center of university and the remote training center. These teacher training programs were analyzed us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analysis showed that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and 'development of curriculum' were emphasized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Therefore, teacher training programs are operated with an emphasis on teacher's professional qualities. The analysis also revealed that many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s were dealt with professional and teaching faculty's qualities more than affective qua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teacher training programs to be diversified and balanced. Furthermore,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quality equally, we suggest a systematic training program should be pot in place.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인적자원부 (2007). 제 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2. 권치순, 이혜란(2012). 초등 영재교육 담당교원 직무연수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초등교육, 23(3), 159-173.
  3. 김미숙, 이미경, 강병직, 김영아, 김인순, 박지은, 서예원 (2010). 한국의 영재교육: 영재교육현황과 국가 표준 정립. 수탁연구 CR2010-109.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 김현철, 김홍원, 최인수, 이윤옥, 이정규 (2005). 우리나라의 영재교육: 분야별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양성. 한국연구재단(NRF) 연구성과물.
  5. 김홍원, 박주상, 이윤식, 조석희 (2000). 영재교육 담당교원 양성 및 임용방안 연구. 수탁연구 CR2000-1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 박경희, 서혜애 (2007).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탐색 연구. 영재교육연구, 17(1), 77-98.
  7.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8. 소경희(2003). '교사 전문성'의 재개념화 방향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과정연구, 21(4), 77-96.
  9.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 (2009). 최신 영재교육학 개론. 서울: 학지사.
  10. 이윤옥, 김현철, 이정규 (2007).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자질 및 교수능력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연구, 16(3), 221-233.
  11. 장영숙, 강경석 (1999).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 향상 및 전문성 개발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9(2), 1-22.
  12. 정우현 (1977). 현대교사론. 현대교육전서 1권, 서울: 배영사.
  13. 조석희, 박경숙, 김홍원, 김명숙, 윤지숙 (1996). 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사용 연수자료 (CR96-28).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4. Baldwin, A. Y. (2008). 문화적으로 다양하고 소외된 영재학생 [성희진, 전미란, 역]. 서울:학지사. (원본출간년도: 2004).
  15. Chan & David, W. (2001). Characteristics and Competencies of Teachers of Gifted Learners. The Hong Kong Teacher Perspective, 23(4), 197-202.
  16. Croft, L. J. (2003). Teachers of the gifted: Gifted teachers. In N. Colangelo & G.A. Davis(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Boston: Allyn & Bacon.
  17. Feldhusen, J. F., & Hoover, S. M. (1986). A conception of giftedness: Intelligence, self concept and motivation. Roeper Review, 8(3), 140-143. https://doi.org/10.1080/02783198609552957
  18. Landrum, M. S., Callahan, C. M., & Shaklee, B. D. (2001). Aiming for excellence: Annotations to the NAGC pre-K-grade 12 gifted program standards. Waco, Texas: Prufrock Press, Inc.
  19. Silverman, L. K. (1993). Counselling the gifted and Talented. New York: Love Publishing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