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머니 역할

Search Result 24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ifferences in Maternal Role Attainment for Breastfeeding and Bottlefeeding Mothers at Four Months after Delivery (모유수유 유무와 산후 4개월된 어머니의 모성역할 획득정도 차이)

  • Lee, Hae-Kyung
    • 모자간호학회지
    • /
    • v.4 no.1
    • /
    • pp.33-40
    • /
    • 1994
  • 모유수유 유무와 아기의 신체적, 정서적 발달과의 관계, 모유수유 성공에 영향을 주는 요소, 모유수유를 성공시키기 위한 전략 등 모유수유를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 졌다. 이에 비하여 모유수유가 어머니의 모성행위, 어머니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등 모유수유 유무가 어머니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많은 모성간호사들은 모유수유 어머니가 인공수유 어머니보다 아기 양육에 더 자신감을 갖고 있고, 어머니로서의 역할에 더 만족한다고 믿고 있다. 또한 피치못할 사정으로 인공수유를 하는 어머니들 스스로도 모유수유를 하지 못함 때문에 아기에 대한 죄의식을 갖고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생후 4개월된 아기를 갖고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유수유 유무와 어머니의 모성역할 긴장과 모성역할 획득 정도에 차이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모유수유 유무에 따라 모성역할 획득정도에 차이가 없었으며, 모성역할 긴장에도 차이가 없었다. 또한 남편의 지지와 친척 및 친구의 지지를 공변량으로 처리하여 모유수유 유무에 따라 모성역할 획득정도에 차이를 알아 본 결과 모유수유 유무에 따라 모성역할 획득 정도에 차이가 없었고, 모성역할 긴장 역시 차이가 없었다.

  • PDF

Effect of Employed Mother's Work-mother Role Conflict on Parenting Stress: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Satisfaction (취업모의 일-어머니 역할 갈등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모역할만족도의 매개효과)

  • Kim, An-Na;Kwon, Young-S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0
    • /
    • pp.375-384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parental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mother role conflict and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mothers. Participants were 515 mothers of children aged 2 to 5 recruited from companies in Gyeonggi Province, Korea.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5 to March 20, 2013.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mong study variables. As a result, work-mother role conflict and parental satisfaction directly influenced parenting stress. Work-mother role conflict directly influenced parental satisfaction. The indirect effect of work-mother role conflict, with parental satisfaction as a mediator was verified on parenting stress. Therefore, to relieve the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mothers, diverse programs to improve parental satisfaction need to be utilized along with decreasing work-mother role conflict through the settlement of child care policy.

The Influence of Maternal Childhood Experiences, Parental Reflection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upon Mother's Reaction to Negative Emotions of Preschoolers: Mediated Moderation Effect Verification (어머니의 아동기 수용경험, 부모성찰, 부모역할만족도가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에 미치는 영향: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 Oh, ji hyun;Choi, a young
    •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 /
    • v.21 no.4
    • /
    • pp.427-448
    • /
    • 2018
  •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ed-moderation effect of parental reflection levels from maternal childhood experiences by the parents to mother's reaction to negative emotions of their preschoolers by examining it through the lens of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27 mothers who and their infants aged 3-6 years.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on the maternal childhood experiences scale, parental reflection scale, parental role satisfaction scale and mother's reaction to negative emotions of their preschoolers scale.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 mediating model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childhood experiences by parents and mother's reactions to negative emotions of their preschoolers was mediated by parental role satisfaction. Second, the results revealed the moderation effect of parents reflection leve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childhood experiences by parents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Finally, parental reflection levels were also seen to have a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parental reflection level from maternal childhood experiences to mother's reaction to negative emotions of their preschoolers through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parental reflection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Mental-state Talks of Mothers with 2-year-olds in Pretense/Role-play and Book Reading Contexts (만 2세 영아의 어머니가 가상/역할 놀이와 책읽기 맥락에서 사용하는 정신 상태 용어)

  • Kim, Hee Jin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10 no.2
    • /
    • pp.133-15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aternal mental-state talks while mothers and their 2-year-old children interacted in two contexts which were pretense/role-play and shared book reading contexts. Thirty-six dyads of mothers and their 2-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thers made more references to mental-state in the pretense/role-ply context than in the book reading context, but the ratio of using the three types of mental state talks(i.e., desire, feeling, and cognition) did not vary with the contexts. The most frequently used mental-state talk by the mothers was 'desire' in both contexts and the tendency to use the three types of mental-state talks in the two contexts was re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implications for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on the role of mother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theory of mind.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martphone Overdependence, Parental Role Intelligence.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 부모역할지능의 관계)

  • Choi, Dea-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169-170
    • /
    • 2019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부모역할지능의 관계를 확인하여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교육이 필요하다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충북 청주시의 15개소의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0~2세 어머니 220명이다. 연구도구는 스마트폰 과의존척도, 부모역할 지능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부모역할지능과 부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발달적 자극, 양육 및 지지, 관리의 하위요인 모두에 부적상관이 있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스마트폰 과의존과 부모역할지능 및 하위요인 모두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바람직한 영유아의 양육을 위하여 어머니를 위한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A Comparison of Primiparous and Multiparous Mothers on Maternal Role Strain and Maternal Role Attainment (산후 4개월된 초산모와 경산모의 모성 역할 긴장 및 모성역할 획득정도 차이)

  • 이혜경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4 no.2
    • /
    • pp.241-250
    • /
    • 1994
  • 어머니와 아기의 관계는 가장 기초적인 인간관계로서 아기의 탄생은 한 가족의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아기 출산후 어머니들이 겪는 변화는 초산모와 경산모가 달라 새로 태어난 아기의 양육도 책임지며, 다른 자녀와의 관계도 유지해야하는 경산모는 초산모보다 더 많은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Rubin(1967)은 이것을 다자손(poly-Progeny)의 문제라고 서술하면서, 경산모의 어려움을 언급하였다. 그러나 사회에서나 간호현장에서는 처음 어머니가 된 초산모를 어떻게 도와야 하는가에 주로 관심을 갖고 있으며, 그동안 이루어진 연구도 초산모를 대상으로 하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후 4개월된 초산모와 경산모의 모성역할 긴장과 모성역할 획득정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모성역할 획득 중 모성역할 수행과 모성 정체감은 초산모와 경산모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아기와의 상호작용은 초산모가 경산모보다 더 많이 한다고 보고 하였다. 모성 역할 긴장은 경산모가 초산모보다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연령과 남편의 지지를 공변량 처리하여 보았을 때도 경산모가 초산모보다 모성역할 긴장을 더 느끼고 있었다.

  • PDF

The Relations of Maternal Beliefs about Employment and Characteristics of Infant Child Care to Maternal Well-Being (취업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와 영아의 보육이 어머니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 Chang, Young Eun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27 no.3
    • /
    • pp.101-116
    • /
    • 2006
  • 본 연구는 모성취업에 대한 태도에 따른 영아보육의 특성과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했다. 취업 중이거나 학교를 다니는 809명의 미국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자녀가 생후 1개월, 6개월, 그리고 15개월일 때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모성취업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어머니들은 그렇지 않은 어머니에 비해 더 나은 심리적 복지감을 보였으며, 개별 보육보다 시설 보육을, 그리고 더 많은 시간의 보육을 이용하였다. 이들 어머니들은 자녀들이 친인척에 의해 보육되는 경우(relative care)보다 보육시설(child care center)을 이용할 때 더 낮은 수준의 역할 긴장과 높은 수준의 취업결정 만족감을 나타냈다. 보다 부정적 태도를 가진 어머니들은 가정보육(child care home) 이용시 역할긴장 수준이 낮았다. 영아들이 생후 6개월 무렵 두 집단의 어머니 모두 보육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취업 결정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으나 15개월에는 부정적 태도의 어머니에게만 이 관계가 유의했다.

  • PDF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al Intelligence on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and Peer Acceptance (어머니 역할지능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또래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 Bae, Jo Kyoung;Shin, Hae Young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8 no.3
    • /
    • pp.91-11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al intelligence on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and peer acceptance. The participants were 197 fiveyear-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of six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Choi & Shin, 2008), the Peer Rating Scale(Asher et al., 1979), and the Parental Intelligence Scale(Hyon, 2004) were used as measur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higher scores in mothers' parental intelligence of encouragement, enhancement, rational authoritativeness, acceptance, control, and avoiding rejection roles, the more the children's positive behaviors were exhibited during the peer play. Secondly, children whose mothers provided higher levels in parental intelligence of empathy, encouragement, rational authoritativeness and enhancement roles were rated as displaying higher levels of children's peer acceptance. On the other hand, children whose mothers expressed higher parental intelligence level of the rejection role tended to have lower levels of peer acceptance.

Employed Mother's Work-mother Role Conflict According to Mother's Work Variables and Parenting Time (취업모의 직장환경, 양육시간에 따른 일-어머니 역할갈등)

  • Choi, Yeun Hwa;Cho, Bok Hee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3 no.1
    • /
    • pp.1-15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ployed mother's work-mother role conflict according to the mother's work variables and parenting time. For this purpose, 202 employed mothers in dual-income family answered the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sed by t-test, F-test, correlations and regres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1. Mother's role conflic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relationship in mother's work variables(flexibility of duty, irregular duty). 2. Mother's role conflic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relationship in mother's parenting time(mother-child activities, parenting time). 3. Employed mother's flexibility of duty and parenting time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mother's role conflict. Mother's irregular duty and mother-child activities were negatively with mother's role conflict. 4. Employed mother's work variables and parenting time influenced the mother's rolr conflict.

  • PDF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이 영유아의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 Jeong, Jeong-Yeon;Byeon, Sang-Ha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32-32
    • /
    • 2017
  • 영유아기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 사고를 바탕으로 남과 더불어 살아 갈 수 있는 능력의 기초를 이루는 사회 정서적 발달의 결정적 시기로서 영유아기의 발달이 성인기까지의 성공적인 삶에 영향을 미치지만, 잘못되는 경우 세대를 넘어서까지 전이되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영유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어머니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그 중에서도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그러나 양육자가 보이는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양육태도보다는 부모역할지능이 오히려 부모의 양육행동을 구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현실적인 도구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보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영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부모들이 점차 줄어드는 영육시간에도 불구하고 보다 성공적인 영유아 발달을 꾀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영유아의 보육시설에서도 영유아의 문제행동을 치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에도 유익한 정보를 활용되도록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