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Mothers' Parental Intelligence on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and Peer Acceptance

어머니 역할지능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또래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 배조경 (그루터기 심리상담센터) ;
  • 신혜영 (한양사이버대학교 아동학과)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al intelligence on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and peer acceptance. The participants were 197 fiveyear-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of six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Choi & Shin, 2008), the Peer Rating Scale(Asher et al., 1979), and the Parental Intelligence Scale(Hyon, 2004) were used as measur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higher scores in mothers' parental intelligence of encouragement, enhancement, rational authoritativeness, acceptance, control, and avoiding rejection roles, the more the children's positive behaviors were exhibited during the peer play. Secondly, children whose mothers provided higher levels in parental intelligence of empathy, encouragement, rational authoritativeness and enhancement roles were rated as displaying higher levels of children's peer acceptance. On the other hand, children whose mothers expressed higher parental intelligence level of the rejection role tended to have lower levels of peer acceptance.

본 연구는 어머니 역할지능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또래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어머니 역할의 영향을 세부적으로 규명하고 부모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 6개소 만 5세 학급의 유아 197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측정도구는 유아의 놀이장면을 토대로 한 교사평정용 또래놀이 상호작용 척도와 또래평가에 의한 또래수용도 척도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역할지능은 부모역할지능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문제별로 중다회귀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격려, 증진, 합리적 권위, 수용, 통제, 거부 지양에 대한 어머니 역할지능이 높을수록 유아는 놀이장면에서 또래의 놀이를 방해하거나 놀이로부터 단절되어 있는 부정적 상호작용보다는 긍정적 상호작용을 더 많이 나타냈다. 또한 공감, 격려, 증진, 합리적 권위, 거부 지양에 대한 어머니 역할지능이 높을수록 유아가 또래로부터 수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나현(2009).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이 또래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민주, 심미경(2011).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공감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32(4), 203-216.
  3. 강지혜, 이경님(2011). 유아의 개인적 요인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2), 159-180.
  4. 권수진(2007). 어머니의 부모역할과 유아의 놀이성,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경미, 안선희(2010).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가정환경과 유아의 학습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6(1), 15-26.
  6. 김미경, 김연화, 한세영(2008). 어머니와 유아의 분리불안과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7), 71-84.
  7. 김응자(2004). 부모역할지능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주년(1994).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개념 및 성취동기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진희(2007). 부모역할지능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도현심(1996). 부모의 온정성 및 통제성과 아동의 외로움. 대한가정학회지, 34(6), 1-11.
  11. 박수향(2006). 부모역할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박주희(2000).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송명자(1995).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14. 안은영(2006).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총신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윤세화(2008).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 및 아동의 정서지능과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이귀숙, 정현희(2006). 모의 양육태도, 아동의 유능감, 교사와의 관계 및 또래관계가 학령초기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7(2), 575-593.
  17. 이미라(2010).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피드백유형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자기격려,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이순복, 김문숙(2011). 어머니 부모역할지능 및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0(2), 171-186.
  19. 이지현(2006).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유능성.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이지희, 문혁준(2010).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외적요인에 대한 구조분석. 아동학회지, 31(3), 17-32.
  21. 이진희(2010). 유아의 외로움과 자아존중감, 또래유능성, 어머니 양육태도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임희경(2008).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유능성.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정지나(2006).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유능성: 유아 내적 표상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정태회, 박경자(2011). 유아학습행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 인지양식,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학습지원행동. 아동학회지, 32(1), 87-101.
  25. 조선일보(2012. 5. 16). 왕따...자퇴...가출...탈출구는 연쇄방화. http://news. 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5/16/2012051600068.htm. 2012년 5월 20일 인출.
  26. 중앙일보(20112. 4. 26). 24시간 학내 순찰, 폭행도 비리도 현장서 잡아낸다. http://article. 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8000600&cloc=olink|article|default. 2012년 5 월 20일 인출.
  27. 최혜영, 신혜영(2008). 아동 또래 놀이 행동 척도(PIPPS)의 국내적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9(3), 303-318.
  28. 허묘연(200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 척도 개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현미숙(2004). 유아기 부모를 위한 부모역할지능척도(PIS)의 개발. 아동학회지, 25(6), 15-34.
  30. 황영미(2009). 유아의 또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및 어머니 변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1. Asher, S, R., Singleton, L. C., Tinsley, B R., & Hymel, S. (1979). A reliable sociometric measure for preschool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15, 443-444. https://doi.org/10.1037/0012-1649.15.4.443
  32. Belsky, J., & Rovine, M. (1990). Patterns of marital change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 5-19. https://doi.org/10.2307/352833
  33. Black, B., & Logan, A. (1995). Links between communication patterns in mother-child, fatherchild and child-peer interactions and children's social status. Child Development, 66, 255-271. https://doi.org/10.2307/1131204
  34. Buhs, E. S., & Ladd, G. W. (2001). Peer rejection as antecedent of you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 examination of mediating processes. Developmental Psychology, 37, 550-560. https://doi.org/10.1037/0012-1649.37.4.550
  35. Campbell, S. B., & Cluss, P. (1982). Peer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 with behavior problems. In K. H. Rubin & H. S. Ross (Eds.), Peer relationships and social skills in childhood (pp.323-352). New York: Springer-Verlag.
  36. Coie, J. D., Dodge, K. A., & Kupersmidt, J. B. (1990). Peer group behavior and social status. In S. R. Asher & J. D. Coie (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pp.17-59).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Crick, N. R. (1996). The role of overt aggression, relational agg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prediction of children's future socia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 2317-2327. https://doi.org/10.2307/1131625
  38. Dumas, J. E., & LaFreniere, P. J. (1993). Mother-child relationships as sources of support or stress: A comparison of competent, average, aggressive, and anxious dyads. Child Development, 64, 1732-1754. https://doi.org/10.2307/1131466
  39. Hartup, W. W. (1983). Peer relations. In E. M. Hetheringto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vol. 4, pp.103-196). New York: Wiley.
  40. Holden, G., & Richie, K. L. (1988). Child rearing and the dialectics of parental intelligence. In J. Vasiner (Ed.), Parental cognition and adult-child interaction(pp.30-59). New Jersey: Ablex.
  41. Howes, C. (1987). Peer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3 (Serial No.217).
  42. Hurlock, E. B. (1983). Child Development. NY: McGraw-Hill.
  43. Kail, R., & Pellegrino, J. W. (1985). Human intelligence: Perspectives and prospects. New York: Freeman.
  44. KBS (2012). 美 대학 총기 난사 용의자, 집단 따돌림 당해. http://news. kbs.co.kr/world/2012/04/04/2458 740.html. 2012년 5월 20일 인출.
  45. Parker, J. G., & Asher, S. R. (1987). Peer relations and later personal adjustment: Are lowaccepted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02(3), 357-389. https://doi.org/10.1037/0033-2909.102.3.357
  46. Parker, J. G., & Asher, S. R. (1993). Friendship and friendship quality in middle childhood: Link with peer group acceptance and feelings of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9, 611-621. https://doi.org/10.1037/0012-1649.29.4.611
  47. Putallaz, M., & Heflin, A. H. (1990). Parent-child interaction. In S. R. Asher & J. D. Coie (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pp.189-216).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