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머니의 반응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19초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학령전기 아동의 정서적 반응성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arental self-esteem on children's emotional responsiveness and attention: through the child's self-esteem)

  • 한정원;이한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28-636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7차 자료를 활용하여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학령전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정서적 반응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 7차 년도 조사의 본조사와 어머니, 아버지 설문조사에 모두 참여한 가족 1383 가구(부모 1383쌍과 아동 138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아동의 정서적 반응과 주의집중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아동의 정서적 반응과 주의집중에 직접효과가 있으며,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아동의 정서적 반응과 주의집중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정서적 반응성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학령전기 아동과 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학령전기 아동의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한 교육과 어머니의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형성과 유지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보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방식 관련요인 (Correlates of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 정윤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23-3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1) how mothers generally react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2) whether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3) whether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and their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4) whether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5) whether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were 246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It was found that emotion-focused socialization and problem-focused socialization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reactions by mothers to cope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ose between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and their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ose between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those between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y were all partially significant. Sex differences were found in some of the relationships found significant.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18~24개월 영아의 가정문해환경 및 어머니의 상호반응적 교수행동과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Mother's Teaching Behavior, and 18 to 24-year-old Infant's Vocabulary Ability According to SES of Families)

  • 박수진;김명순
    • 아동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5-27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mother's interactive teaching behaviors, and infant's vocabulary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3 infants between the ages of 18 to 24 months and their mothers. In order to measure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the questionnaire used by Han Chan-Hee (2006), which was partly modified from Shapiro (1979), was selected, and to analyze mothers' teaching behaviors, Barnard's NCAST Teaching Scale(1978) was used. The infant's vocabulary ability was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first used by Lim Yong-Soon(2002), which was partly modified from the MCDI used by Fenson et al(1991). In conclusion, this study, most importantly, suggests that the teaching behaviors of the mothers themselves as well as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can both be very important factors affecting infant vocabulary development.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영아의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s of Toddler'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on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Ability)

  • 김기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의 어휘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I시에 위치한 47개 어린이집의 18~24개월 영아 299명과 어머니이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의 기질과 어휘력의 관계를 기질의 구성차원별로 살펴보면, 접근-회피와 적응성, 기분은 이해 및 표현어휘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반응강도는 이해어휘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어휘력의 관계를 어머니 양육행동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교수적 양육행동과 긍정한계선 설정 양육행동은 이해 및 표현어휘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영아의 어휘력 발달에 대한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을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이해어휘에 대해서는 접근-회피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교수적 양육행동, 반응강도, 기분의 순으로 설명력이 나타났다. 표현어휘에 대해서는 교수적 양육행동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기분, 반응강도, 활동성 순으로 설명력이 나타났다. 영아 어휘력 발달에 있어서 이해어휘는 영아의 기질인 접근-회피가, 표현어휘는 어머니 양육행동인 교수적 양육행동의 영향력이 가장 큰 변임임이 밝혀져, 어머니는 영아의 이해어휘 발달을 위해 기질에 적합한 상호작용과 표현어휘 발달을 위해 사물과 사건의 특성에 대해 말로 표현해 주는 양육행동을 하여야겠다.

영아의 정서조절 전략과 어머니의 반응유형 간의 관련성 (Strategies for Emotional Regulation in Infancy and Maternal Responsiveness)

  • 곽금주;김민화;한은주
    • 아동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73-187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 between infants' strategies for emotional regulation and maternal responsiveness. Fifty 24-month-olds were observed for six kinds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during four negative emotion-eliciting tasks; their mothers were observed for five styles of maternal responsiveness during toy-centered free play. Infants used different strategies according to the kinds of negative emotioneliciting tasks; their strategies correlated with maternal responsive styles. In the anger-eliciting tasks, infants used "distraction" and "self soothing." In the fear-eliciting tasks, they used "avoidance" and "problem solving." Infants who received more negative feedback from their mothers used the "irritation" strategy. Infants who got received more positive feedback from their mother used the "getting reference" strategy.

  • PDF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ther′s Reaction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 한유미;손경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97-20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thers' reaction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e subject were 145 children(three to six-year-olds) and the instruments were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Scale by Eisenberg(1992) and Temperament Rating Scale by Chun(1992).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in general, used more positive reactions than negative reactions when their children showed negative emotions. Mothers' education, job, family type and income affected mothers' type of reaction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Mothers' reaction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reaction emotions were associated with their children's temperament but not with their children's age, sex and birth order.

마인드맵을 활용한 노래가사분석(Lyric Analysis) 활동을 통한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관한 연구 (Study of Lyric Analysis Using a Mind-map on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 김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7권2호
    • /
    • pp.23-45
    • /
    • 2010
  • 본 연구는 마인드맵을 활용한 노래가사분석 활동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양육스트레스 검사의 수치가 높은 장애아동 어머니 6명을 선별하여 노래가사분석 중심의 활동을 실시하였다. 총 14회기 진행 전후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QRS(Questionnaire on Resource and Stress)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대상자의 상세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회기평가 설문지 실시 및 프로그램 진행 과정 중 마인드 맵핑에 나타나는 대상자들의 언어적, 행동적 반응 변화를 분석하였다. 마인드맵을 활용한 노래가사분석 활동 중재 이후 통계학적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특히 세션 중 나타난 대상자의 반응 분석결과, 각자의 생각을 정리하고, 다른 동료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마인드맵을 활용한 노래가사분석 활동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유아의 사회적 위축성과 관련된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및 정서표현성 (Children's Social Withdrawal in Relation to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and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 권연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13-24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others' reactions toward children's negative emotion as well as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on children's social withdrawal. 206 children (103 boys, 103 girls; aged 4-5 years old)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Mothers reported their reactions to their child's negative emotion along with their expressivity. The teachers completed a rating scale to measure children's social withdrawa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showed a relation between mothers' distress reactions and punitive responses and children's social withdrawal. A mother's positive expressiv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a child's social withdrawal.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s of mothers' punitive responses and minimization responses on children's withdrawal were moderated by a mother's positive expressivity. Mothers' punitive responses and minimization respons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social withdrawal, especially for children who had the lowest level of mother's positive expressivity.

반응성애착장애아의 어머니-아동 관계 (MOTHER-CHILD 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 신의진;이경숙;박숙경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1호
    • /
    • pp.22-33
    • /
    • 1997
  • 본 연구는 반응성 애착 장애 아동(Reactive Attachment Disorder, 이하 ‘RAD’)의 혼란된 부모-아동 관계를 애착이론의 입장에서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4년 8월에서 1995년8월 사이 소아정신과에 내원한 RAD 아동과 어머니 20쌍과 비교집단으로 정상 아동과 어머니 20쌍을 대상으로, 아동에 대한 내적 실행 모델 면접(Working Model of Child Interview, 1986)과 낯선 상황 절차(Strange Situation Procedure, 1978), 부모-아동 상호작용 척도(Dyadic Parent-child Interaction Coding Scales, 1983)을 실시하여 어머니의 아동에 대한 내적 표상과 어머니의 내적 표상 유형과 아동의 애착 유형과의 관계, 내적 표상 유형에 따른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1) 대상 어머니들을 3가지 내적 표상 유형으로 분류해 본 결과, 비교 집단 어머니는 모두 균형된 표상으로 분류되었고 RAD 집단 어머니는 비개입된 표상(55%), 왜곡된 표상(45%)으로 분류되었다. 2) 어머니의 아동에 대한 내적 표상 유형은 아동의 애착 유형과 체계적으로 연관되었다. 균형된 표상의 어머니의 아동은 모두 안정 애착이었고 비개입된 표상 어머니의 82%는 그 아동이 불안/회피 애착으로 분류되었고 왜곡된 표상 어머니는 56%가 그 아동이 비조직/비일관 애착, 33%는 불안/저항 애착으로 분류되었다. 3)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에서, 비개입된 표상의 어머니는 아동 중심 놀이에서 균형된 표상의 어머니에 비해 묘사적 진술, 반영적 진술, 묘사/반영적 질문을 적게 사용하였고 왜곡된 표상의 어머니는 균형된 표상의 어머니에 비해 직접 명령과 간접 명령을 많이 사용하였다. 장난감 정리하기 과제에서 비개입된 표상과 왜곡된 표상의 어머니는 균형된 표상의 어머니보다 직접명령, 간접명령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위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어머니의 아동에 대한 내적 실행 모델은 아동과의 애착 관계와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에 중요한 요인으로서 혼란된 어머니-아동 관계를 이해하는데 효율적인 접근을 제공하며 아동에 대한 치료적 개입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