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머니의 낙관성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어머니의 낙관성 및 수용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ther's Acceptance Parenting Attitude and Optimism on Children's Self-Regulation)

  • 김미향;이현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7-12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낙관성 및 수용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유아교육기관 재원 중인 만3, 4, 5세 유아 361명과 그들의 어머니 361명이었다. 어머니의 낙관성 및 수용적 양육태도는 자기 보고식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자기조절(인지조절, 정서조절, 행동조절)은 부모 평정을 통하여 측정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이 연령에 따라 변화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인지조절과 행동조절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정서조절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 낙관성의 하위요인이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조절의 하위요인별로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낙관성 하위요인 중 지속성만이 자기조절 하위요인 모두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어머니 수용적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이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조절의 하위요인별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수용적 양육태도 하위요인인 애정성과 권리가 자기조절의 하위요인 모두에 영향을 주었다. 독특성은 인지조절과 정서조절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긍정적인 심리적 태도와 자녀에 대한 수용적인 자세가 유아의 자기조절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시사해준다.

어머니의 낙관성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낙관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Optimism, Parenting Behaviors and Their Child's Optimism and The Effects on a Child Subjective Well-being)

  • 주지영;박성연
    • 아동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1-3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h model of mothers' optimism, parenting behaviors and a child's optimism and the effects on their child's subjective well-be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31 pairs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 from 5th and 6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Data were gathered via four questionnaires on mothers' optimism reported by mothers and their parenting behaviors, child optimism, and child subjective well-being as reported by the children. Data were analys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19.0. The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the hypothesized model yielded an acceptable model fit and most of the hypothesized path coefficien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Specifically, mothers' optimism and parenting behaviors influence their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indirectly through children's optimism. It is concluded that the more optimistic the mothers, the more likely the children themselves will share that optimism and in turn, they will also have higher levels of subjective well-being.

당뇨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안녕감의 관계에 미치는 낙관성의 매개 및 조절효과 (Stress and Well-Being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abetes Mellitus : The Mediating or Moderating Effect of Optimism)

  • 김동원;주현옥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0-168
    • /
    • 2017
  • Purpose: Optimism is an important psychological variable that functions positively in stress adaptation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ither a mediating or moderating effect of optim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well-being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diabetes mellitus. Methods: A sample of 109 mothers of children with diabetes mellitus was recruited in a tertiary hospital in B city and they complet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ls were used to test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optim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well-being. Results: The results of the multipl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ole of optimism was examined a partial mediator of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well-being, not a moderator. Increased stress was associated with decreasing optimism and well-being, and increased optimism predicted increased well-being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diabetes mellitus. Conclusion: Optimism is more likely to play a role as mediator, rather than as a moderator. This finding suggests the importance of optimism in improving the well-being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abetes mellitus.

가족 구성원의 의사소통 능력, 내외 통제성, 충동성, 낙관성이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amily Members' Communication Competence, Locus of Control, Impulsivity, and Optimism on Their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 한주리;허경호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8권
    • /
    • pp.251-282
    • /
    • 2005
  • 이 연구는 최근 이혼이나 청소년 가출 등 가족해체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행복한 가정생활의 지표라 볼 수 있는 가족관계 만족도를 언론학적 시각으로 접근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 능력 및 내외 통제성, 충동성, 낙관성과 같은 성격변인이 가족관계 만족도와 갖는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들 중 어떤 변인이 가족관계 만족도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를 고찰해 보고 이를 통해 가족관계 만족도를 설명해 보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가족 성원들간의 대화시간 등 가족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통제 변인들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의사소통 능력, 내적 통제성, 낙관성이 높을수록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충동성이 높을수록 가족관계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어떠한 변인이 가족관계 만족도와 가장 깊은 관련성을 갖는지 살펴본 결과 자녀의 경우는 본인의 의사소통 능력 및 충동성, 아버지와의 대화시간, 부모의 충동성 순으로, 아버지의 경우는 본인의 의사소통 능력, 아내의 충동성 및 낙관성, 자녀와의 대화시간 순으로, 어머니의 경우는 본인의사소통 능력 및 교육 수준 순으로 본인의 가족관계 만족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하여 가족관계 만족도를 설명하는 데 있어 성격뿐만 이니라 의사소통 능력 및 대화시간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