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Family Members' Communication Competence, Locus of Control, Impulsivity, and Optimism on Their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가족 구성원의 의사소통 능력, 내외 통제성, 충동성, 낙관성이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Han, Ju-Lie (Graduate Schoo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Kyung Hee University) ;
  • Hur, Gyeong-Ho (Schoo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Kyung Hee University)
  • 한주리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허경호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Published : 2005.02.07

Abstract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explain how family member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ersonality such as locus of control, impulsivity, and optimism influenced their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addition, we examined which variables among these would predict highly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by conducting the regression analyses. We also included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of offsprings, age and education level, and conversation time among family members as the control variables that may have influenced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nalness, and optimism were, the higher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whereas the higher the impulsivity was the lower the relationship was. for offspring, her/his ow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mpulsivity, the conversation time with her/his father, and the impulsivity of the parents in order were the best predictors of the their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For father, his own communication competence, wife's impulsivity and optimism, and the conversation time with his offsprings in order predicted his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For mother, her ow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ducation level were the strongest predictors of her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results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family member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onversation time among themselves as well as their personality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the their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lastly,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최근 이혼이나 청소년 가출 등 가족해체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행복한 가정생활의 지표라 볼 수 있는 가족관계 만족도를 언론학적 시각으로 접근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 능력 및 내외 통제성, 충동성, 낙관성과 같은 성격변인이 가족관계 만족도와 갖는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들 중 어떤 변인이 가족관계 만족도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를 고찰해 보고 이를 통해 가족관계 만족도를 설명해 보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가족 성원들간의 대화시간 등 가족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통제 변인들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의사소통 능력, 내적 통제성, 낙관성이 높을수록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충동성이 높을수록 가족관계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어떠한 변인이 가족관계 만족도와 가장 깊은 관련성을 갖는지 살펴본 결과 자녀의 경우는 본인의 의사소통 능력 및 충동성, 아버지와의 대화시간, 부모의 충동성 순으로, 아버지의 경우는 본인의 의사소통 능력, 아내의 충동성 및 낙관성, 자녀와의 대화시간 순으로, 어머니의 경우는 본인의사소통 능력 및 교육 수준 순으로 본인의 가족관계 만족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하여 가족관계 만족도를 설명하는 데 있어 성격뿐만 이니라 의사소통 능력 및 대화시간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