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Mother's Acceptance Parenting Attitude and Optimism on Children's Self-Regulation

어머니의 낙관성 및 수용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 Kim, Mi Hyang (Dept. of Childhood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
  • Lee, Hyeon Jin (Dept. of Childhood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 김미향 (영남대학교 유아교육과) ;
  • 이현진 (영남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9.04.30
  • Accepted : 2019.06.12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s acceptance parenting attitude and optimism on children's self-regulation including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361 3, 4, 5 - year -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 attended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find out age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Th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 mother's optimism could predict their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 mother's acceptance parenting attitude could predict their children's self-regulation. Results: As for the self-regulation, there were significant age differences in the cognitve regulation and the behavioral regulation, but not in the emotional regulation. It implies that the abilities of cognitive and behavioral regulation increase as the age level goes up. As for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optimism and their children's self-regulation, only the permanence factor of the mother's optimism predicted children'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 As for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acceptance parenting attitude and their children's self-regulation, two components of mother's acceptance parenting attitude (unconditionally love & right) could predict children'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 The component of unique could predict the cognitive and emotional regulation.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ther's optimism and acceptance parenting attitude positively affect on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ability in children.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낙관성 및 수용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유아교육기관 재원 중인 만3, 4, 5세 유아 361명과 그들의 어머니 361명이었다. 어머니의 낙관성 및 수용적 양육태도는 자기 보고식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자기조절(인지조절, 정서조절, 행동조절)은 부모 평정을 통하여 측정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이 연령에 따라 변화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인지조절과 행동조절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정서조절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 낙관성의 하위요인이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조절의 하위요인별로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낙관성 하위요인 중 지속성만이 자기조절 하위요인 모두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어머니 수용적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이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조절의 하위요인별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수용적 양육태도 하위요인인 애정성과 권리가 자기조절의 하위요인 모두에 영향을 주었다. 독특성은 인지조절과 정서조절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긍정적인 심리적 태도와 자녀에 대한 수용적인 자세가 유아의 자기조절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시사해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민(2013). 실행기능과 기질이 유아의 상황에 따른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문선정(2017).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박희진(2017). 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정서조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신경은(2004). 어머니의 낙관성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
  5. 유종남, 오인수(2015).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질, 자아존중감 및 자기조절능력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46(2), 79-103. doi:10.15854/jes.2015.06.46.2.79
  6. 이정란(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장혜인, 박형인(2015). 아동의 자기조절과 심리사회적 적응: 국내 연구의 메타분석적 개관 .한국발달심리학회, 28(1), 1-32.
  8. 정영숙(1992). 가족의 사회심리적 환경과 아동의 사회적 역량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정은주(2005). 유아의 행동적.정서적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채경진, 유연옥(2015). 유아의 활동성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관계. 열린부모교육학회, 7(1), 19-34.
  11. 최은아(2013). 유아의 발달적 변화에 따른 인지적 실행기능 및 정서적 실행기능과 자기조절 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최정은(2016).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Bronson, M. B. (2000). Recognizing and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in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55(2), 32-37.
  14. Calkins, S. D., & Fox, N. A. (2002). Self-regulatory processes in early personality development: A multilevel approach to the study of childhood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4(3), 477-498. doi:10.1017.S095457940200305X https://doi.org/10.1017/S095457940200305X
  15. Eisenberg, N., Smith, C. L., & Spinrad, T. L. (2013). Effortful control: Relations with emotion regulation, adjustment, and socialization in childhood. In K. D. Vohs & R. F. Baumeist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2nd ed. pp. 263-283). New York: Guilford Press.
  16. Fang, Z., & Cox, B. E (1999). Emergent metacognition: A study of preschoolers' literate behavior.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13(2), 175-187. doi:10.1080/02568549909594738
  17. Kopp, C. B. (1982).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99-214. doi:10.1037/0012-1649.18.2.199
  18. Olson, S. L., & Kashiwagi. K. (2001). Teacher ratings of behavioral self-regulation in preschool children: A Japanese/ U.S. compariso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1(6), 609-617. doi:10.1016/S0193-3973(00)00056-3
  19. Porter, B. M. (1954). Measurement of parental acceptance of children. Journal of Home Economics, 46, 176-182.
  20.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doi:10.2190/DUGG-P24E-52WK-6CDG
  21. Seligman, M. E. P. (1991). Learned optimism: How to change your mind and your life [sound recording]. New York: Simon & Schuster Audio.
  22. Shields, A., & Cicchetti, D. (1997). Emotion regulation among school-age childre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criterion Q-sort scale. Developmental Psychology, 33(6), 906-916. doi:10.1037/0012-1649.33.6.906
  23. Shore, R. (1997). Rethinking the brain: New insights into early development. New York: Families and Work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