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머니들

Search Result 54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RELATIONSHIP AMONG CHILD'S BEHAVIOR PROBLEMS,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아동의 정서 및 행동 문제와 어머니의 우울증,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계)

  • Lee, Young-Joon;Song, Won-Young;Choi, Yui-Gyum;Shin, Yee-Ji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14 no.2
    • /
    • pp.218-228
    • /
    • 2003
  • Objectives: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child's behavior problems,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in children with psychiatric diagnoses and their mothers, and the effect of these variables to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Methods:Seventy-three children(31 externalizing, 24 internalizing, 18 mixed) and their mother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mothers of three groups completed MMPI, KPI-C(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and PSI(Parenting Stress Index).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each variables, ANOVA, Pearson correlatio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ernal depression among three groups of children. In 2-Way ANOVA, main effect of maternal dep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depression, parent health, and relationship with spouse subfactor in parent domain, parent domain total, and overall parenting stress. But the main effect of child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distractability/hyperactivity subfactor in child domain only. In regression analysis, maternal depression explained the parent domain of parenting stress most effectively, and child's hyperactivity and anxiety explained the child domain of parenting stress significantly. Conclusion: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intervene maternal depression to reduce the parenting stress, along with the treatment of the child's behavior problems.

  • PDF

발달장애자녀 양육경험이 중년기 어머니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자기이해의 조절효과

  • 이금자;변상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151-156
    • /
    • 2023
  • 대부분의 발달장애를 돌보는 어머니의 양육경험 속에는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 정서 및 우울증을 포함하지만, 어떤 어머니들은 장애자녀로 인해 가족 및 사회적 친화력을 높이고 긍정적인 정서경험을 통해 자신 및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나간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를 돌보는 중년기 어머니들의 양육경험과 우울증의 상관관계에 있어 어머니의 자기자비와 중년기의 신체 및 심리적 특성에 대한 자기이해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수행에 필요한 자료 수집을 서울, 경기를 포함한 전국에 사는 발달장애 중년기 어머니 700명을 대상으로 하며, 자료는 SPSS PC+ Ver 28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주요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변인 간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행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발달장애인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줄이고 건강한 가족회복을 위해 어머니의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자비의 역할과 중년기에 대한 자기이해를 강화하도록 도울 수 있는 장애인 가족지원 정책 및 사회 서비스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Mothers' Experience of Treatment Services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아동을 둔 어머니들의 ADHD 치료 및 서비스 경험에 관한 연구)

  • Choi, Mal O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8 no.2
    • /
    • pp.161-18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s in treatments and experiences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s (ADHD) for mothers parenting a child with ADHD. Using Giorgi's 4 stag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 of ADHD treatments for mot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14 to February 2015 for 3 months with a sample of 13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via in-depth interview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pproach. Dominant issues identified were: I (mother) need to be changed for my child; Through mothers' experiences of lack of self-determination about a child with ADHD, they realized ignorance, chaos, and anxiety. While they experience multiple negative feeling, there is a positive change with unresolved issues. The findings highlight the correct awareness of ADHD and incorporated therapies for mothers and children with ADHD to improve treatment retention. Also, specialized services would be developed for mothers to promote their positive attitude to life, which is vital to cultivating the correct self-awareness.

  • PDF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한 취학 전 아동과 어머니의 식습관 상호관련성 분석

  • 윤진숙;정영혜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55-1056
    • /
    • 2003
  • 식습관이나 식품 기호도는 식품의 선택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이며 어릴 때 형성이 되는 어린이의 식품 기호도는 부모의 태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특히 유아기는 사회적, 인지적 능력이 발달하고 모방을 통하여 학습되는 시기이므로 이 시기의 식품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경험은 평생의 건강을 위해서도 부모의 역할은 중요하다. 근래 과잉 영양과 관련된 비만이 우려되고 있지만 아직도 유아에서는 부적절한 식사패턴으로 인한 영양소 결핍이 문제가 되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 유아나 어린이의 식습관이 부모, 특히 어머니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지적하고 있지만 상호 관련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또한 ‘무엇’과 ‘얼마나 많이’ 등이 중점이 되었던 양적 연구에서 이제는 ‘어떻게’ ‘왜’라는 것에 관심을 두는 사례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취학전 아동의 식습관과 영양상태에 관한 질적 연구로써 어머니와의 상호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구,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4∼7세 유아와 그 어머니(각 15명)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유아와 1:1면담을 실시하였다. 어머니들의 식품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어머니 자신의 기호도와 편리, 가치관으로 나타났다. 유아와 어머니의 식품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좋아하는 식품의 경우 두 군 모두 육류의 선호도가 높았다. 싫어하는 식품은 어머니의 경우에는 ‘없다’가 73%이었으나 유아의 경우에는 ‘야채류’가 73%이었다. 유아와 어머니의 식품 기호도 일치정도는 좋아하는 식품이 67%, 싫어하는 식품이 33%로 나타났다. 유아는 야채류를 싫어한다고 대답하면서도 건강에 좋은 식품을 ‘야채류’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유아의 특정 식품의 선호도나 거부의 주된 이유는 ‘맛’이었으며, 유아의 편식습관은 어머니가 간편성 위주, 가족의 기호도 만을 고려하여 식단을 구성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조사대상 유아의 33%가 비타민제, 47%가 칼슘제제를 복용하고 있었으며 27%가 근래에 보약을 복용한 경험이 있었다. 어머니들은 영양제나 보약이 유아의 건강 유지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여기고 있었고 어머니의 임신 중 식품섭취나 이유기의 식품경험정도가 어린이의 식품 기호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어머니가 식품구매시 질적으로 고려하는 부분은 건강과 관련된 무농약 식품, 인스턴트 식품 제한, 외식의 절제가 대부분 어머니의 관심사였다. 본 연구에서 어머니는 유아의 식습관과 식품기호도에 크게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으며, 유아 영양교육에서 어머니의 참여와 식품에 대한 인식 개선은 유아의 영양수준 개선에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 PDF

Examining Cultural Differences in Parental Control and Child's Emotional Outcome (부모의 양육 통제와 아동의 정서적 결과에 대한 비교 문화 연구)

  • Nahm, Eun Young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29 no.2
    • /
    • pp.1-13
    • /
    • 2008
  • 이 연구는 한국계 이민자 가정과 백인가정 사이의 부모의 행동적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정서적 행복감에 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미국 시애틀 지역의 8에서 9세 사이의 자녀를 둔 31한국계 가정과 31백인 가정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각 각의 부모들과 자녀들에게 질문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Acceptance/rejection and control 질문지 결과는 한국계 이민자 가정의 아버지들이 백인 아버지들보다 자녀들에게 전반적으로 더 많은 통제와 공격적 양육태도를 보여주었다. Child Regulation Index결과, 한국계 어머니들도 자녀들에게 더 많은 행동조절 지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아동들의 심리내적인 정서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Reynolds child depression scale에서 한국계 이민자 가정 아동들이 백인 부모의 자녀들보다 자기 자신에 대해 덜 행복하게 느끼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특히 전체적으로 어머니들의 통제가 아동의 심리내적 정서와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부모의 심리적 행동적 통제와 아동의 정서적 행복감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Perceptions for the Nuri Curriculum for 5-Year Olds between Mothers Whose Children go to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들의 만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비교)

  • Yu, Che;Hwang, Hye-Jung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9 no.4
    • /
    • pp.107-13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compare the perceptions of mothers about the Nuri curriculum for 5-year olds. The subjects were 382 mothers whose 3-5-year old children went to kindergartens (192 mothers) and daycare centers (190 mother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the mothers knew that the Nuri curriculum for 5-year olds started to be carried out in 2012, but many of them weren't told about the details at all. Second, the mothers considered the Nuri curriculum necessary, and were roughly satisfied with the ongoing Nuri curriculum for 5-year olds.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others'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factors required for the Nuri curriculum. Fourth, the mothers whose children went to kindergartens chose warm and enthusiastic character as important quality of teachers. The mothers whose children went to daycare centers chose friendly and caring character as important qualities of teachers. Fifth, the mothers perceived that the Nuri curriculum was relatively useful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Sixth, the majority of the mothers didn't have their children transfer to anothe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fter the Nuri curriculum for 5-year olds was carried out.

Maternal Self-Efficacy: A Mediational Model of Quality of parenting (양육효능감: 자녀양육행동 매개 모델)

  • Seo, So-Jung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2 no.4
    • /
    • pp.11-27
    • /
    • 2004
  •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어머니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들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양육효능감이 어머니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들과 자녀양육 행동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인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양육효능감, 자녀 양육행동, 아동 발달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미국 내 거주하는 Early Head Start 프로그램 의 수혜 자인 저 소득층의 어머니와 영 아들을 (출생∼36개월) 대상으로 한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어머니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들로 어머니의 연령, 소득수준, 양육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효능감은 어머니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 특히 어머니의 연령과 양육행동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효능감, 양육행동, 아동발달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서만 유의한 정적인 강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과는 맥을 같이하는 연구결과이지만, 저소득층(high-risk families)의 어머니와 영아를 대상으로 양육효능감을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는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나아가, 이 연구의 결과는 저소득층을 위한 아동 및 가족의 통합적 복지사업을 실천하는데 있어 의미가 있는 것으로 시사된다. 사회 경제적 자립을 위한 기회 제공과 자녀양육을 하는데 있어서 전문가의 직접적인 모델링을 통한 부모교육을 통해서 양육효능감을 향상시켜나갈 때, 아동 및 가족 복지 실현의 궁국적 목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A Developmental Pathway of Child Attachment Security through Maternal Characteristics (어머니의 특성에 따른 아동의 애착안정성 형성 발달경로)

  • Lee, Kyung Hye;Parent, Sophie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23 no.1
    • /
    • pp.153-171
    • /
    • 2002
  • This research addressed the issue of how mothers' representations of attachment are transmitted to children, focusing on post-infancy attachment and on maternal stress as a mediator between mother's attachment style and child attachment security. Fifty-three mother-child dyads participated in a lab visit when the children were 30 months (T1) and 49 months (T2) of age. The Attachment Style Questionnaire and the Parental Stress Inventory were used to measure mothers' characteristics; the Separation-Reunion procedure and classification at T1 and the Attachment Q-set at T2 were used to measure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The models were analyzed by Analysis of Moment Structure Equation. Results confirmed evidence that no direct pathway exists between maternal attachment style and child attachment security : at T1 child attachment security formation was related to maternal stress, but there was no such relationship at T2.

  • PDF

Mental-state Talks of Mothers with 2-year-olds in Pretense/Role-play and Book Reading Contexts (만 2세 영아의 어머니가 가상/역할 놀이와 책읽기 맥락에서 사용하는 정신 상태 용어)

  • Kim, Hee Jin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10 no.2
    • /
    • pp.133-15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aternal mental-state talks while mothers and their 2-year-old children interacted in two contexts which were pretense/role-play and shared book reading contexts. Thirty-six dyads of mothers and their 2-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thers made more references to mental-state in the pretense/role-ply context than in the book reading context, but the ratio of using the three types of mental state talks(i.e., desire, feeling, and cognition) did not vary with the contexts. The most frequently used mental-state talk by the mothers was 'desire' in both contexts and the tendency to use the three types of mental-state talks in the two contexts was re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implications for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on the role of mother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theory of mind.

Gratitude Experience of Mothers who cares Child with Chronic Schizophrenia (만성조현병환자 어머니의 감사경험)

  • Hong, Ju-E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1
    • /
    • pp.199-209
    • /
    • 2020
  • This study was done to explore deeply the essence and meaning of gratitude experience of mothers who cares child with schizophrenia. This study was analysed through the use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Giorgi.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 and field records with five motheres who cares child with schizophrenia. Data analysis revealed 18 sub-components, 5 components: 'I'm like fallen seed on barren soil without gratitude', 'gratitude coming into bud like sprout,' 'gratitude grown up into a tree through tolerance', 'gratitude bearing fruit of self-sufficiency and desire', and 'gratitude getting much richer with giving. The results from the study contribute to promoting understanding of the gratitude experience of mothers who cares child with schizophrenia and will be helpful for development of positive family nursing inter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