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깨형태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4초

파워 숄더 재킷의 디자인 및 패턴전개 방법 (Pattern Making Method and Design of Power Shoulder Jackets)

  • 박상희;이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31-140
    • /
    • 2013
  • 여성복에 있어서 09/10년 시즌에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파워 숄더 룩이다. 파워 숄더 룩은 단순히 패션니스타들에서만이 아니라 당당히 스트리트 패션의 하나로 자리 잡았으며 파워 숄더 룩의 50%이상을 차지하는 재킷이 여성복의 핵심 아이템의 하나로 부활하면서 재킷의 어깨 각도는 0도에서 30도 이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다양한 어깨 각도 중 10도, 15도, 20도의 형태가 7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패턴의 형태는 몸판의 어깨선을 자연스럽게 올리고 확장한 어깨변형 패턴, 어깨선과 함께 소매산 부분을 절개한 소매산 변형 패턴, 몸판과 소매가 연결된 패턴이 주를 이루고 있다. 파워 숄더 패턴 전개는 어깨 각도가 높아질수록 각이 시작되는 점이 목옆점에 가깝게 하고 어깨끝점이 확장되어야 소매의 외관형태가 편안하고 피트성이 좋아진다. 어깨 변형의 경우 앞뒤 진동선의 시작점인 어깨점과 소매산의 정점 부분의 선이 완만하게 이어지도록 S라인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소매산의 ease분량이 일반 재킷 소매보다 많아야 파워 숄더 실루엣이 자연스럽게 연출된다. 소매변형 패턴은 중심쪽 소매의 소매산 높이는 기본소매 소매산높이의 1.5cm를 외곽 소매분량으로 처리한 것을 고려하여 소매산 높이를 설정하고 어깨 각이 커질수록 외곽소매의 소매산 폭을 크게 함으로서 소매의 어깨점이 목옆점 방향으로 휘지 않고 각이 선 파워 숄더가 완성된다. 소매변형과 소매와 몸판연결 패턴의 경우 어깨점과 상완이 연결되는 부분에 충분한 여유가 필요하며 어깨각도도 다른 형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보인다. 이와 같이 파워 숄더 재킷 패턴은 패턴 제작시 디자인적인 요소를 충분히 감안한 패턴 설계와 함께 소매의 달림선 위치, 어깨너비, 어개 높이 확장량, 소매통의 여유량 등을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복설계를 위한 상반신체표면특성 연구 -60세 이상 노년여성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pper-Body Surface for Clothing Construction: Focus on Women Aged 60 or Older)

  • Haekyung Shin;Lee, Youn-Soo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801-1808
    • /
    • 2001
  • 본 연구는 노년여성을 위한 의복 원형을 설계하기 위하여 60∼80세 의 노년여성을 대상으로 직접 계측을 실시하여 체형을 유형화하고 동작에 따른 체표면 특성을 분석하였다. 인자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반신 비만요인, 높이요인, 상반신 앞면길이, 어깨 형태, 상반신 뒷면 길이, 어깨 경사도, 목형태, 진동깊이의 8개 인자가 추출되었다. 군집분석에 의한 체형분류 결과, 유형 1은 상반신의 골격이 가장 작고 왜소하며 가슴의 하수가 작은편의 앞으로 굴신된 체형이며, 유형 2는 키가 작고 보통인 체형으로 상반신의 앞뒤면 길이가 짧으며 가슴의 하수가 크고 어깨가 넓고 약간 앞으로 숙여진 체형이다. 유형 3은 키가 가장 크고 등과 어깨가 두꺼운 골격이 큰 체형이다. 유형 4는 키가 약간 크고 마른 체형에 상반신 앞면길이 인자가 큰 유형으로 약간 뒤로 젖혀진 체형이라 할 수 있다. 동작에 따른 체표면의 변화를 델마토그래프법 (Dermatograph method)에 의해 측정 한 결과, 가로 방향에서 동작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기준선은 뒤목점-어깨끝점길이, 어깨 길이 및 앞가슴둘레선, 후액와선이며, 세로 방향에서는 어깨끝점-BP-허리중심점, 어깨중심에서 앞허리선까지의 앞길이 및 옆선길이로 나타났다.

  • PDF

퍼지 스트레칭과 SOM 기반 양자화를 이용한 어깨 초음파 영상에서의 인대 손상 영역 추출 (Tear Extraction from Ultrasonic Images of Shoulder using Fuzzy Stretching and SOM Based Quantization)

  • 김윤호;김민하;송유선;김광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1호
    • /
    • pp.9-1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어깨 초음파 영상을 분석하여 인대 손상(Tear)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초음파 영상에서 ROI(Region of Interest)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ROI 영역에서 사다리꼴 형태의 소속 함수를 적용한 퍼지 스트레칭 기법을 이용하여 명암 대비를 높인다. 명암 대비가 조정된 ROI 영역에서 밝기 평균 이진화 기법을 적용하여 ROI 영역을 이진화한다. 이진화가 적용된 ROI 영역에서 워터쉐드 기법을 적용하여 연골과 힘줄의 후보 영역들을 추출한다. 추출된 연골과 힘줄의 후보 영역들 중에서 위에서 아래로 스캔하여 수평 너비가 가장 큰 영역에 해당하는 힘줄 영역의 상단 경계선을 추출한다. 그리고 아래에서 위로 스캔하여 수평 너비가 가장 큰 영역의 상단 경계에 스플라인 곡선을 적용하여 연골 영역의 상단 경계선을 추출한다. 힘줄 영역의 상단 경계선과 연골 영역의 상단 경계선 양 끝에 2차 함수 곡선을 적용하여 곡선 사이의 양자화할 영역을 추출한 후, SOM 기법을 적용하여 인대 손상 후보 영역을 양자화한다. 양자화된 인대 손상 후보 영역을 분석하여 어깨 힘줄의 손상 영역과 비손상 영역을 구분하고 인대 손상(Tear) 영역을 추출한다. 제안된 방법을 어깨 힘줄이 있는 초음파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인대 손상(Tear) 영역이 비교적 정확히 추출되었다.

  • PDF

성인남자 목부위의 연령별 형태변화에 관한 연구(제1보) -슬라이딩 게이지법에 의한 분석- (Observation on Neck Form Changes Related to Aging in Men(Part I) -Using the Sliding Gause Measurement Method-)

  • 이영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52-262
    • /
    • 1994
  • 성인 남자 목부위의 연령별 형태 변화를 슬라이딩 게이지법에 의하여 측정하고자 하였으며,피험자는 20대 청년층 15명, 40대 중년층 11명, 60대 노년층 11명으로 하였다. 측정 부위는 후두융기점, 목뒷점, 목앞점, 어깨점을 지나는 목부위의 수평단면형태로 하였으며, 목부위의 측면형태, 각 수평단면의 둘레, 수평단면의 전후$\cdot$좌우길이에 대하여 연령별 특징을 파악하였다.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목뒷점에서 수평으로 인체의 전방을 향하여 그으진 수평선에 대한 후두융기점의 위치로서 목의 측면 형태를 분석하였으며, 20대에서는 피험자 15명중 14명이 자세I과 자세II에 속하므로서 경부 자세가 바른 체형을 보여 주었으며, 40대에서는 피험자 11명중 자세II에 속하는 피험자가 3명이었으며 나머지 8명은 경부 자세가 앞으로 수그러진 체형인 자세III에 속하였다. 60대에서는 피험자 11명 모두가 자세III에 속하였다. 2. 후두융기점, 목뒷점, 목앞점, 어깨점을 지나는 각 수평 단면도의 특징에 대하여 보면,목뒷점 수평단면의 형태는 젊은층은 원형을, 중년층과 노년층으로 갈수록 타원형의 모양으로 변화하는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후두융기점의 위치가 앞으로 수그러지면서 후두융기점 을 지나는 수평단면도의 형태 역시 나이가 들수록 청년층에 비하여 뒷목 부위가 크게 되어지는 경향을 볼수 있었다. 목앞점을 지나는 수평단면은 나이가 들수록 청년층에 비하여 단면의 전후$\cdot$좌우길이가 커지는 경향을 볼 수있었으며 40대가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어깨점을 지나는 수평단면의 특징은 나이가 들수록 전후길이(두께)는 증가하고 좌우길이(너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파워 숄더 재킷의 어깨 형태 변화에 따른 감성 이미지 (Sensibility image on power shoulder jacket according to the shoulder shape)

  • 이시백;어미경
    • 복식문화연구
    • /
    • 제24권5호
    • /
    • pp.617-625
    • /
    • 2016
  • In women's clothing the shoulders are distorted and exaggerated. Consequently, the wearers' bodies are transformed and interpreted according to modern standards. We therefore refer to this aspect of women's clothing as the power should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ensibility images on variations in the shoulder shape of power shoulder jackets. Nine samples were examined that involved combinations of three variations of the shoulder height and three variations of the shoulder width. The data was evaluated by 123 fashion design majors. Four factors were selected: attractiveness, personality, activity, and self-respect. Among these factors, attractiveness is the most important.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changes in shoulder height acted as a major effect that had an independent influence on all four factors. In contrast, changes in shoulder width acted as a major effect that had an independent influence on attractiveness, personality, and activity but not on self-respect. It also had an influence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attractiveness, personality, activity, and self-respect. We anticipate that this study will help individual customers select clothing that is suitable for their preference and body shape because it is now possible for them to estimate images of power shoulder jackets.

상지 근력 증강을 위한 외골격 로봇의 동작기법 연구 (A Study on the Exoskeleton Robot Operations to Assist the Upper Limbs Power)

  • 최재흥;오성남;추경호;손영익;김갑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1918-1919
    • /
    • 2011
  • 상체 지원 외골격 로봇은 크게 인간의 근력을 보조하는 형태와 인간의 근력을 증강하는 형태가 있다. 여기서는 인간의 근력을 증강하는 외골격 로봇을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이러한 외골격 로봇은 팔의 EMG (Electromyograph;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보다는 손의 힘을 직접 감지하는 방법을 통한 팔꿈치와 어깨의 엑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방식을 취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도 후자의 방식을 이용하여 손에 작용하는 힘을 분석하여 외골격 로봇을 움직이는 방식을 취하였다. 손의 힘 중에서도 인간을 중심으로 볼 때 위방향과 전진방향의 힘을 분석하기 위하여 2개의 F/T(Force/Torque) 센서를 사용하였으며 팔을 벌리는 동작은 엑추에이터 없이 자유롭게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러한 위방향 및 전진방향 힘의 크기를 팔꿈치와 어깨의 엑추에이터의 동작으로 바꾸어 인간의 동작을 도울 수 있고 힘을 증폭할 수 있는 외골격 로봇을 설계 제작하였다. F/T 센서는 손의 힘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주는 로드셀로 이루어지며 손의 힘을 최대한 잘 반영하기 위한 구조를 고안하였다. F/T 센서의 전기신호는 증폭기를 거쳐서 잡음을 제거한 후에 A/D 변환하여 processor에서 처리되어진다.

  • PDF

C-G Method를 이용한 고속도로 노면요철 포장의 교통사고감소 효과분석 (A Safety Evaluation of Shoulder Rumble Strips on Freeway Using C-G Method)

  • 이동민;강재홍;성낙문;정봉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77-87
    • /
    • 2007
  • 고속도로의 교통사고는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발생되고, 그중 운전자의 부주의는 가장 중요한 교통사고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주의 및 규제표지와 노면요철포장 등의 도로안전시설은 이러한 운전자 부주의를 막기 위해 설치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고속도로 일부구간에 설치된 길어깨-노면요철포장의 교통사고감소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C-G 방법 (Hauer에 의해 개발된 비교그룹을 이용하는 사전 사후 분석방법)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길어깨에 도로요철포장을 설치한 도로는 설치하지 않은 도로에 비해 차도이탈사고가 연간 2.43건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소율은 0.38(표준편차 0.21)인 것으로 나타났다. 차도이탈사고는 교통사고 중 길어깨-노면요철포장 설치에 가장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사고형태이다. 본 연구를 통해 서해안고속도로에 설치된 길어깨-노면요철포장은 교통사고 감소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차도이탈사고가 현저하게 감소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성인 남자 목부위의 연령별 형태변화에 관한 연구(제1보) (Observation on neck form changes related to aging in men(part 1))

  • 이영숙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3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20-220
    • /
    • 1993
  • 체형은 남녀에 따라, 연령에 따라, 또 인종이나 시대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낸다. 특히, 인체의 목부위,허리둘레 등 연령에 따라 그 형태의 특징이 크게 변화해가는 부위들이 있으며, 이들 부위별 형태변화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 체형연구와 함께 그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남성복의 드레스셔츠 설계에 가장 중요한 이체 부위인 목부위를 중심으로 연령 별 형태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측정은 슬라이딩 게이지법을 이용하여 목.어깨부위의 수직. 수평단면을 채취하였다. 또한 피험자를 20대 청년층, 40대 중년층, 60대 노년층의 세집단을 대상 으로 하므로서 목부위 단면형태에 대한 연령별 변화의 범위를 추측, 가령에 따른 변화의 상태를 생체학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 PDF

학령기(만 7세-만 12세) 남아의 체형특성II-학령기별 상.하반식 체형구성인자특성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Somatotype for Boys of Elementary School Age II -Characteristics of factor for upper and lower half in Each Period of School Ages-)

  • 권영숙
    • 복식
    • /
    • 제49권
    • /
    • pp.25-48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fundamental data for classification of somatotype for boys of elementary school age. The subject were 458 elementary school boys aged from 7 to 12 living in Pusan, Data were collected by 57 anthropometric and 11 photographic measurements and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ccording to SAS package 1. Through the factor analysis by each period of school ages 6-7 factor were obtained in upper half and they are as followings: 1) Factor 1 is horizontal size of upper half in every period 2) Factor 2 is vertical size of upper half in every period 3) Factor 3 is shoulder shape in the first period and length of upper half in the middle and latter period 4) Facto 4 sis length of upper half in the first period and shoulder shape in the middle and latter period 5) Factor 5 is angle shape of the breast and back in the first period angle shape of the lower breast and back in the middle of period and angle shape of the upper breast and back in the latter of period 6) Factor 6 is angle of shoulder in the first period angle shape of the upper breast and back in the middle of period and angle shape of the lower breast and back in the latter of period 7)Factor 7 is angle of shoulder in the latter of period 2. Through the factor analysis by each period of school ages 5-6 factor were obtained in lower half and they are as followings: 1) factor 1 is horizontal size of upper half in every period 2) Factor 2 is vertical size of upper half in every period 3) Pactor 3 is angle shape of the belly and upper buttock in the first period and length of lower half in the middle and latter period 5) Factor 5 is angle shape of the lower buttock in the first period angle shape of the upper belly and buttock in the middle of period and angle of the side posture in the latter of period 6) Factor 6 is angle shape of the lower buttock in the middle of period and angle shape of the lower belly and buttock

  • PDF

절단장애 휠체어 탁구 스트로크의 운동학적 분석 (The Kinematics Analysis of Abscission Handicap Wheelchair Table Tennis)

  • 문건필;임정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1-59
    • /
    • 2008
  • 본 연구는 국가대표 절단장애 휠체어 탁구선수를 대상으로 절단장애 휠체어 탁구의 일반적 스트로크 운동형태를 알아보기 위해 실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절단장애 1명을 선발하여 10회에 걸쳐 스트로크 하는 영상을 수집하였다. 그 중 대상자와 코치가 지정하는 3개의 영상을 연구대상으로 정하였다. 스트로크 하는 팔의 팔꿈치의 굴곡신전, 어깨의 굴곡신전, 어깨의 회전, 그리고 허리의 회전을 분석하였다. 포핸드 스트로크는 일반적으로 치는 듯한 동작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으나 오른팔의 외측회전으로 만들어진 백스윙과 내측회전으로 만들어지는 회전에 의지하여 스트로크하고 있었다. 백핸드 스트로크는 예상대로 기시부인 몸통이 스트로크에 관여하지 않고 말초부인 오른팔이 내측회전 백스윙을 이루고 외측회전으로 임팩트를 이루는 미는 듯한 동작을 나타내고 있었다. 포핸드 스트로크 일반적인 스윙동작을 나타내는 다중분절시스템의 원리에 의해 치는 듯한 동작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지만 절단장애인인 대상자는 기시부와 말초부로 이어지는 연결구조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어깨의 회전폭이 스트로크 성공여부를 결정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