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육관련변인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초

부-모간 양육행동(Coparenting)의 관련 변인 : 부부관계의 질, 어머니의 인성 특성 및 아동의 초기 기질 (The Correlates of Coparenting : Marital Quality Mother’s Personality, and Childrens’Initial Temperament)

  • 김수진;도현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5호
    • /
    • pp.101-114
    • /
    • 2001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coparenting, marital quality, mothers’personality and children’s initial temperament. Subjects were 174 mothers of 4~6 year-old children, and they answered questionnaires regarding coparenting, marital quality, personality, and initial temperatment of their children. For mothers of both boys and girls, positive marital quality wass related positively to warmth, support, and integrity coparenting and negatively to conflict coparenting. Only for mothers of girls, higher warmth and integrity coparenting was shown when they were extroverted. while those who were neurotic showed higher conflict coparenting. For mothers of boys, support coparenting was low when their sons were emotional. Mothers of girls showed lower level of warmth and integrity coparenting when their daughters were avoidant. emotional and sensitive.

  • PDF

맞벌이 부부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 변인 탐색 (An Ecological Approach to Analysis of Variables in the Parenting Stress of the Dual-Earner Mothers and Fathers)

  • 김기현;조복희
    • 아동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5-50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act of demographic variables and ecological factors on the parenting stress of dual earner families. Subjects were 318 fathers and 405 mothers who completed the questionnaire on parenting stress and ecological factors. Results showed that mothers perceived high parenting stress compared with father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child care was a significant correlate of parenting stress. Demographic and ecological factors were also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variation in parenting stress of dual earner families.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formal child care systems and parent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for working parents.

  • PDF

어머니 양육행동의 관련변인에 대한 구조분석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for Mother's Child-Bearing Behavior)

  • 정현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5-90
    • /
    • 2003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hild's temperament, mother's parental satisfactio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 according to child's sex.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73 children and their's mothers of first-second grade selected from elementary schools in Busan. Han's questionnaires(1996) on child's temperament, Hyun's questionnaires(1994) on parental satisfaction, Choi's questionnaires(1994) on marital satisfaction and Hong's questionnaires(1996) on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with Manova, Pearson's correlation, Lisrel 8.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ccording to sex,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rearing behavior. The mothers of girls showed higher marital satisfaction. And boys perceived higher limit-setting and higher responsiveness. (2) For boys, mother's parental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revealed direct effect on mother's child rearing behavior. For girls, tempeament and parental satisfaction revealed direct effect on mother's child rearing behavior.

문제 해결을 위한 모-자 상호작용시 어머니 행동과 관련된 변인 : 결혼 만족도, 자녀양육 스트레스, 애착 안정성 (Maternal Behavior during Mother-Child Problem Solving :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Attachment Security)

  • 박경자;권연희
    • 아동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3-70
    • /
    • 2002
  • Maternal interactions during mother-child problem solving tasks were analyzed by marital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child attachment security. Forty 36-to 52-month-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observed at home. Mothers' rating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Attachment Q-set assessed child attachment security.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 attachment security were negative1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Marital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attachment security were related to maternal behaviors. The relations between child's attachment security and maternal behaviors were mediated by parenting stress. Stronger child attachment security was related to lower parenting stress, which in turn contributed to competent maternal behaviors during problem solving.

  • PDF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모-아 상호작용과 관련변인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Its Related Variables)

  • 정미라;이방실;권정윤;박수경;강은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15-728
    • /
    • 2012
  •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its related variables. A total of 49 toddlers and their mothers were participated and observed in the child lab during free pla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mother-toddler interaction, 'involvement' was frequently used in comparison with the 'rejection' was the hardly used in their interaction. Second, the mothers' sensitivity, parenting stress, and the mother-toddler interaction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mothers' job status or gender of toddlers. However, their parenting stress was lower in working mothers or mothers who have girls. Third, mother-toddler intera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mothers' sensitivity, parenting stress, parenting style, and the temperament of toddlers.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the implication related to the variables influencing mother-toddler interaction was discussed.

부모효능감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 이회성;유순화
    • 아동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5-5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research finding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it, as well as to produce results using meta-analysis. The following questions guide this study : Which variables are frequently conducted in research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What is the effect size of each variable? The 65 studies whose results are analyzed in this paper were collected via a search for investigations focusing on 'parenting efficacy'. The studies were used for meta-analysis in which eleven variables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a large effect size is produced by the parenting stress in a negative direction. A higher than medium effect size occurs on the basis of parenting beliefs in a negative direction. A higher than medium effect size is also caused by the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care and social support. A medium effect size is produced on the basis of children's temperament, and a small effect size is the result of the mother's academic background,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s income.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gender.

조손가족과 공동양육 조부모의 양육에 관한 질적 연구 내용 비교분석: 2000년 이후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on Experience of Grandchild Rearing between Grandfamily and Custodial Grandparents in Korean Journal since 2000)

  • 이영애;방은령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3호
    • /
    • pp.491-518
    • /
    • 2018
  •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발표된 국내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조손가족과 공동양육가족 조부모의 손자녀양육 관련 질적 연구 논문을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질적연구 논문 43편(조손가족 19편, 공동양육가족 24편)을 대상으로 기초사항(연도별 동향), 연구방법, 연구대상 특성, 연구내용의 범주에 대해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논문수는 조손가족의 경우 감소, 공동양육가족의 경우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둘째, 연구방법에서는 두 유형의 가족 모두 면접방법과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연구대상 특성에서 두 유형의 가족 모두 연구참여자 수는 6-10명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그 외 인구학적변인, 양육환경, 물리적 환경에서는 모두 큰 차이가 있었다. 넷째, 연구내용 범주에서는 두 유형의 가족의 조부모들이 느끼는 양육의 의미, 긍정적 요소, 갈등요소, 갈등 해결방법 모두에서 공통점도 나타났지만 그 구체적인 심리적 경험에는 차이점이 나타났다. 이러한 비교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조부모양육지원에 대한 실제적인 제안과 향후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이혼 가정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가구 소득의 조절효과 (Predictors of Positive Changes in Children with Divorced Parents: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Incomes)

  • 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65-47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이혼 가정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혼 가정 한부모의 지각된 사회적 차별 경험, 양육 어려움, 자녀와의 대화시간, 자녀의 인터넷 사용문제, 이혼 후 자녀의 긍정적 변화 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확인하고, 가구 소득에 따른 구조적 관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5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자료의 한부모 1,114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부모가 지각한 차별 경험은 양육어려움(${\beta}=.354$), 인터넷 사용문제(${\beta}=.234$)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부모가 지각한 양육 어려움은 자녀와의 대화시간(${\beta}=-.192$), 자녀의 긍정적 변화(${\beta}=-.218$)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 자녀의 인터넷 사용문제(${\beta}=.440$)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녀의 인터넷 사용문제는 부모의 이혼 후 자녀의 긍정적 변화(${\beta}=-.199$)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한부모가 지각한 차별 경험은 자녀와의 대화시간, 양육 어려움, 인터넷 사용문제를 매개로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beta}=-.167$)가 확인되었다. 셋째, 다집단 분석 결과, 가구 소득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로계수의 크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이혼 후 자녀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기 위해서는 한부모가 차별을 느끼지 않을 수 있는 사회적 문화 형성과 한부모의 양육 과정에 대한 공식적, 비공식적 지지가 중요하며, 한부모 가정 자녀의 인터넷 과다 사용을 예방하고 줄이기 위한 실천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어머니의 특성에 따른 아동의 애착안정성 형성 발달경로 (A Developmental Pathway of Child Attachment Security through Maternal Characteristics)

  • 이경혜
    • 아동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3-171
    • /
    • 2002
  • 영아기의 애착형성이 어머니의 특성에 따른 상호작용에 의해 안정애착 혹은 불안정 애착으로 발달된다는 이론이 널리 알려지면서 불안정 애착에 대한 예방과 치료중재의 필요성이 고취되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결정적인 문제인 어머니의 어떤 특성들이 아동의 불안정애착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어머니와 아동간의 세대간 애착순환을 재검증함과 동시에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아동 불안정 애착전이를 예방 및 중재시킬 수 있는 매개변인이 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영아기 이후의 애착형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기 위한 시도에서, 30개월에 달한 아동과 어머니 53쌍이 조사 관찰되어졌고, 이는 아동발달의 관점에서 이 아동들이 49개월에 달했을 때 다시 조사 관찰되어졌다. 아동양육과 관련된 어머니 특성들을 측정하기 위하여 the Attachment Style Questionnaire와 the Parental Stress Inventory를 사용하였고, 아동애착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the Separation-Reunion Classifications (1차)와 the Attachment Q-set (2차)이 사용되어졌으며, 이를 분석하기 위해 Amos structural equation 통계분석법이 사용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결과는, 아동애착안정성은 어머니 애착유형과 유의미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단 이러한 관계는 어머니 스트레스 형태를 통하여 전달 형성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더욱이 본 연구는 어머니-아동 애착 형성의 순환에 있어서 직접적인 경로가 없다는 것을 밝혀 줌으로서, 세대간 불안정애착 유형 순환 붕괴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어머니의 식생활 환경과 취학 전 아동의 식생활 행동 및 과잉 행동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Maternal Food Environment on Food Behavior and Hyperactivity of Preschoolers)

  • 김정현;이성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99-113
    • /
    • 2004
  • 어머니의 식생활 환경인 식생활에 대한 가치관과 식생활 행동이 아동의 식생활 행동과 과잉 능력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지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취학 전 아동(5-6세) 330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취학 전 아동 변인인 경우 동일한 아동에 대해 어머니와 교사가 조사에 응답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식생활 가치관은 영양을 우선시하는 것에 두고 있었으며, 식생활 행동은 양호의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며, 식생활 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어머니 자신의 취업 유무(p<0.001) 그리고 양육 태도(p<0.05) 및 어머니의 식생활 가치관(p<0.05)이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아동의 식생활 행동은 어머니가 평가한 결과보다는 교사가 평가한 결과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아동의 식생활 행동과 아동의 과잉 행동과의 상관성 분석을 한 결과 교사가 측정한 아동의 식생활 행동이 양호할수록 아동의 과잉 행동은 유의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p<0.05). 이러한 현상은 동일한 아동일지라도 어머니가 평가한 아동의 식생활 행동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어머니의 학력 수준이 낮을수록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권위적인 경우, 아동의 과잉 행동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어머니의 식생활 환경 변인과 아동의 과잉 행동과의 상관성 분석을 한 결과, 어머니의 식생활 가치관이 확립될수록(p<0.001). 그리고 어머니의 식생활 행동이 양호할수록 (p<0.05), 교사와 어머니가 측정한 아동의 식생활 행동은 유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과잉행동은 유의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어머니의 식생활 환경 변인은 아동의 식생활 행동은 물론 과잉 행동에 직, 간접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식생활 환경은 아동의 영양 관리 및 아동의 성장, 발달 및 행동과 학습 행동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의 식생활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여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