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약물흡수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8초

비펩타이드성 AII 수용체 길항제의 합성 생체내 특성 및 구조활성에 관한 연구

  • 유무희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제2회 추계심포지움
    • /
    • pp.99-104
    • /
    • 1994
  • Renin-Angiotensin계는 정상 및 질병시의 혈압조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이 밝혀지면서, 이 조절계의 특정단계를 간섭함으로써 새로운 고혈압치료제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일찍부터 시도되었다. (그림 1). 그 중에서 내인성 생리활성물질인 Angiotensin II의 합성을 차단하는 ACE 저해제는 임상적으로 고혈압 및 심부전치료제로서 유용성이 인정되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ACE 저해제는 종종 마른기침, 발적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나므로 이러한 부작용을 극복하려는 연구가 많이 있었으나 이는 작용기전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해결에 한계를 보여왔다. 그런데 1982년 일본의 Takeda사의 연구진은 S-8307, 8308이라는 효과가 매우 약하기는 하지만 Angiotensin II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비펩타이드성의 AII길항물질을 특허 출원하였다. 미국의 Du Pont사는 AII길항약물이 효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ACE 저해제들의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Takeda 화합물을 모핵으로하여, 많은 유도체들을 합성하면서 구조-활성 연구를 수행한 결과 비펩타이드성길항제인 Dup 753(Losartan, Cozaar$^{R}$) (2-N-butyl-4-chloro-5-hydroxymethyl-1-(2'-(1H-tetrazole-5-yl)biphenyl-4-yl) imidazole, potassium salt)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 Dup 753은 특별히 AII수용체중 혈압조절과 관련이 있는 AT1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데, 효력은 ACE 저해제인 captopril과 유사하며, 경구흡수가 잘되고 지속시간이 길어 하루에 한번 먹는 경구제제로 개발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Dup 753의 지속시간이 긴 것은 그 대사물인 Exp 3174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사체가 Dup 753에 비해 효력도 훨씬 더 높고 지속시간도 길어서, Dup 753은 일종의 prodrug적 개념이 들어있는 약물이라 할 수 있다.

  • PDF

발달학적 정신약물학 - 발달학적 약동학, 약역학 및 약물유전학 - (DEVELOPMENTAL PSYCHOPHARMACOLOGY - DEVELOPMENTAL PHARMACOKINETICS, PHARMACODYNAMICS AND PHARMACOGENETICS -)

  • 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4권2호
    • /
    • pp.157-173
    • /
    • 2003
  • 성인기에 비하여 소아의 정신약물학은 역사도 짧고 아직 체계도 잡혀 있지 않은 상태이다. 약물의 안정성, 효능, 장기 투여에 따르는 부작용에 대한 연구도 아직 초보적인 수준이다. 임상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항우울제, 항정신병약물, 중추신경흥분제 등에 대한 반응이 성인기와는 일부 다른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연구분야에 있어서도 연구 윤리상 성인기에 비하여 많은 제한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발달학적 약역학에서는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및 배설과정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특정 약물(항정신병약물, 항우울제, lithium, 중추신경흥분제, 항경련제 등)의 약역학에 대하여도 그 특성을 논하였다. 발달학적 약동학에서는 주요 수용체의 개체발생적인 과정과 그 과정이 갖는 임상적인 의미에 대하여 논하였다. 약물유전학적 측면에서는 약물유전학의 약역학적 측면, 약동학적 측면에 대하여 논하였다. Dopamine 관련 대립인자와 관련된 연관연구들에 있어서는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뚜렛증후군에 대한 연구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대립인자와 관련된 약물유전연구에 있어서는 dopamine 수용체의 다형성과 clozapine, bromocriptine, haloperidol, methylphenidate에 대한 반응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serotonin 관련 수용체의 다형성과 약물반응과의 연관성에 대하여도 함께 논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향후 소아 또는 청소년기의 약물투여에 있어서 발달학적인 특성과 함께 개인적인 특성이 고려된 투약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항생제-스멕타이트 복합물 유도 및 소화기계 약물전달체로의 가능성 (Development of Antibiotic-intercalated Smectite Composites and Its Drug Delivery Potential in Gastric System)

  • 송윤구;정동훈;송영구;최우현
    • 자원환경지질
    • /
    • 제48권3호
    • /
    • pp.199-20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흡수성 항생제인 Amoxicillin과 Clarithromycin, 그리고 아미노글루코사이드 (Aminoglucoside) 계열 비흡수성 항생제인 Gentamicin, Tobramycin 및 Netilmicin의 스멕타이트 층간 유도를 통해 항생제-스멕타이트 복합물을 합성하고, 이 중 Clarithromycin-스멕타이트 복합물 대상 예비 용출실험을 통해 소화기계 항생제 약물전달체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5종의 항생제 모두 수용액 상태에서의 교환반을을 통해 스멕타이트 층간에 유도되었다. Clarithromycin에 대하여 스멕타이트 층간 최대 유도 량을 결정하기 위한 농도별 평형반응실험 결과 Langmuir isotherm을 따르며, 층간 최대유도 량은 1.811 mmole/g으로 계산되었다. Clarithromycin-스멕타이트 복합물 대상 pH=2, 3 및 4 용출용액을 이용한 예비 용출실험결과 모든 용출용액에서 지속적인 용출이 일어났으며, pH 증가에 따라 용출량은 감소하였다.

미백성분이 포함된 나노입자의 제조와 응용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Wnitening Ingredient Entrapped in Solid Lipid Nanoparticle [SLN])

  • 한성철;김연주;이기영;김동운
    • KSBB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178-186
    • /
    • 2004
  • 복합한방 재료인 옥용산에 대해 UV 흡수능, tyrosinase 저해활성 그리고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함으로서 미백활성을 검정하고 비교 시험군으로서 비타민C와 함께 Eudragit 이 코팅된 coconut oil을 이용한 SLN을 제조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 옥용산은 UV 영역에서 흡수능을 가지며 tyrosinase 저해 활성과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조된 E-SLN을 TEM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크기 50∼300 nm인 구형의 양호한 입자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 크기분포와 캡슐화 효율 분석을 통해 EUD의 농도가 2.0% (w/v), w/o 비율은 1 : 9, emulsion과 pour solution의 비율은 1 : 10, 그리고 실온에서 제조한 E-SLN의 캡슐화 효율이 가장 높고 크기의 분포가 가장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E-SLN을 이용하여 in vitro 방출시험을 실시한 결과 E-SLN은 pH와 온도 의존적으로 약물을 방출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제조된 E-SLN은 pH와 온도 의존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필요가 있는 계에 대한 약물전달 시스템으로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폐쇄 첩포시험과 자외선 조사에 의한 인공색소침착과 시료도포에 의한 미백효능 판정에 의한 임상시험 결과 옥용산과 비타민C,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E-SLN은 대조군의 경우와 비교하여 미백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기능성화장품에의 응용 가능성을 높여주었다.

Alzheimer형 치매치료제인 Tacrine의 경피 투과 특성 연구 (Percutaneous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Tacrine in Alzheimer-type Dementia Treatment)

  • 이한섭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52-560
    • /
    • 2012
  • 약물 전달 시스템은 약물의 방출 프로파일, 흡수, 분배 및 제품의 효율성과 안전성, 환자의 편의성과 협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거를 개선하는 명백하게 보호화된 공식화 기술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transdermal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기술을 사용하는 skin patch다. 다른 투약 방법과 달리, transdermal 시스템은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부작용이 생길 경우, 약물 투약의 중단이 가능하다. karaya gum and locust bean gum(LBG)/water-soluble chitosan oligomer(WSCO)과 같은 Polysaccharide를 TDS의 기본 물질로 선택하였다. 또한, 이 polymers들은 tacrine 물질, 강화제로 규정되어진다. 이러한 polysaccharide 중에서, karaya gum matrix의 침투율은 lipophilic drug in vitro 와 같은 tacrine 내에서 가장 빠르다. 우리는 glycerin, PEG 400, and PEG 800를 강화제로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transdermal의 tacrine 흡수율은 vehicle 구성을 바꿈으로써, 혹은 침투 강화제를 사용함으로써 향상되었을 것이다. 특히, vehicle이 스스로의 효과를 강화하는 것과 더불어, vehicle에 강화제를 첨가함으로써 높은 침투 효율이 얻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구호흡 소아환자에서 흡인도관을 이용한 $N_2O-O_2$ 진정 ([ $N_2O-O_2$ ] INHALATION SEDATION WITH SUCTION CATHETER IN FULL MOUTH BREATHING PATIENTS)

  • 윤형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89-594
    • /
    • 1999
  • 소아치과 환자에서 협조가 안 되는 환자의 진료시 여러 가지 방법의 진정요법이나 다른 방법이 이용된다. 이 중에서도 최근의 경향은 약물을 이용하여 진정을 시행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약물 투여방법 중에서도 흡입가스를 이용하여 진정을 유발하는 경우가 장점이 많아 최근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흡입가스를 이용한 경우 폐를 통해 약물이 흡수되므로 적절한 진정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호흡양상이 주 영향을 끼친다. 가스를 이용한 흡입진정 시에는 환자가 반드시 비호흡을 하여야 폐를 통해 흡수가 되므로 구호흡을 하는 경우는 정맥로를 이용한 진정이나 기관내삽관을 필요로 한다. 저자는 $N_2O-O_2$를 이용한 진정요법을 시행하는 중에 완전한 구호흡을 하는 환자를 기관내삽관을 하지 않고 끝 부분이 둥글고 유연한 흡인도관을 사용하여 아산화질소를 투여함으로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 한다.

  • PDF

알코올의 농도에 따른 실크 비드의 적외선 분광 특성 (Effect of ethanol concentration on the infrared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of silk beads)

  • 김성국;조유영;이광길;김기영;김현복;권해용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18-123
    • /
    • 2015
  • 알코올의 농도 변화에 따른 실크단백질의 구조전이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백옥잠 누에고치를 이용하여 실크단백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알코올의 농도를 100%, 70%, 50%로 조절하여 제조한 실크 비드의 적외선 분광 분석을 하였다. 고농도(100%) 알코올로 처리한 실크단백질은 전형적인 ${\beta}-sheet$ 구조를 반영하는 $1265cm^{-1}$ 부근에서 흡수대를 보였으며 모델 약물로 사용한 4HR의 특성 피크는 관찰되지 않았다. 알코올의 농도를 70%, 50%로 조절하여 처리한 경우에는 모델 약물의 흡수대인 $2933cm^{-1}$ 부근, $1069cm^{-1}$ 부근, 그리고 $973cm^{-1}$ 부근의 흡수대가 발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알코올의 농도에 따라 조성되는 실크단백질의 미세 구조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며, 보다 정밀한 실크단백질 구조 제어를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 우울증 환자에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가 우울증상, 통증 그리고 신체증상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son of Effect of SSRIs and SNRIs on Depression, Pain and Somatic Symptoms in Elderly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 한은희;김현;이강준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1호
    • /
    • pp.72-80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통증 및 신체증상이 동반된 노인 우울증 환자에서 기분증상 및 통증, 신체 증상에 대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와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erotonin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SNRI)의 치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 법 본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 시행된 전향적 개방연구로 DSM-5 진단기준에 의해 주요우울장애로 진단받은 총 43명의 대상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평균연령 : 72.53세, 여성 58.1%). 대상군은 SSRI, SNRI 두 군으로 분류되었고 우울, 통증 및 신체증상은 각각 한국판 해밀턴 우울증 평가척도(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K-HDRS), 시각적 비율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환자 건강 설문지(Patient Health Questionnare-15, PHQ-15)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이원배치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measure ANOVA)으로 약물 투여 전과 투여 후 6주의 KHDRS, VAS, PHQ-15 점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 과 SSRI군과 SNRI군에서 K-HDRS, VAS, PHQ-15 모두 약물 투약 전에 비해 6주 후의 점수가 유의하게 호전되었으며, 두 군 간에 호전 정도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노인 우울증 환자에서 SSRI, SNRI 모두 통증 및 신체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통증 및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노인 우울증 환자에게 약물치료를 시행할 때 선택할 수 있는 항우울제 처방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약물의 장기적인 효과에 대해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Dextran을 기초로 한 고분자 Matrix로 부터의 Silver Sulfadiazine의 방출 특성 (Release Characteristics of Silver Sulfadiazine from Dextran-based Polymeric Matrices)

  • 나재운;박영훈;김성현;김선일
    • 공업화학
    • /
    • 제7권4호
    • /
    • pp.735-742
    • /
    • 1996
  • 장시간에 걸쳐 약물의 흡수가 일어날 수 있는 고분자 matrix을 개발하고자, 글리세린과 증류수를 혼합 교반 시킨 후, 분자량이 서로 다른 세 종류의 dextran을 각각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silver sulfadiazine을 분산시켜 matrix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고분자 matrix로부터 약물 방출 양상을 규명하기 위해 인산염 완충용액 중에서 약물의 함유량 변화, dextran의 분자량 변화 및 글리세린의 농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하여 연구 검토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고분자 matrix내의 silver sulfadiazine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약물 방출 지속 시간은 11.2일, 14.0일 및 15.8일로 지연되었다. Dextran의 분자량 변화에 대해서는 약 14.0일로 거의 같은 약물 방출 pattern을 보임으로써 겉보기 방출속도상수 (K)값과의 관계와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글리세린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약물 방출 지속 시간은 각각 18.0일, 17.0일, 14.0일, 13.0일 및 10.0일로 감소하였다.

  • PDF

히아루론산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Scaffold의 제조와 약물 방출 거동에 관한 연구 (Synthesis of Hyaluronic Acid Scaffold for Tissue Engineering and Evaluation of Its Drug Release Behaviors)

  • 남혜성;김지흥;안정호;정동준
    • 폴리머
    • /
    • 제25권4호
    • /
    • pp.476-48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지지체를 만든 후 약물을 흡수시켜 방출 특성을 검토하는 기존의 방법에서 나타나는 초기 과다 방출이라는 단점을 보완하고 장기간에 걸친 약물방출이 가능한 고분자 지지체를 구축하기 위해 광반응 관능기를 갖는 히아루론산과 sodium alginate 유도체로 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약물을 함입한 미립자를 만들고 이를 성형가공한 고분자 지지체를 제작하여 약물 방출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지지체는 초기 방출이 억제되고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약물을 서서히 방출하였으며, 뿐만 아니라 천연고분자가 갖는 생체내 분해 특성으로 인하여 일정한 기간 동안 형태를 유지하며 지지체로 기능을 한 이후 분해되어 재생된 조직이 손상조직과 대체 가능하므로, 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유도하는 손상조직 대체용 고분자 지지체 본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