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약물지식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5초

재가노인의 약물지식과 약물오남용행위 및 사회적지지의 구조모형분석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model of social support for Drug Knowledge, and Drug Abuse in the Dwelling Elderly)

  • 성춘희;박미라;김영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160-2169
    • /
    • 2014
  •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약물오남용행위에 영향을 주는 약물지식과 사회적지지의 관계구조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D시에 거주하는 재가노인 177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13일부터 5월 25일까지 13일 간 설문지를 이용한 자료수집과 분석을 하였다. 연구모형의 3요인간의 모형접합도와 상관관계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첫째, 사회적지지가 약물지식에 미치는 효과는 ${\beta}$=.515(p=.0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둘째, 사회적지지가 약물 오남용행위에 미치는 효과는 ${\beta}$=-.769(p=.002)로 유의하였으나 간접효과는 ${\beta}$=.036(p=.671)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사회적지지에서 약물오남용에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옴으로 약물지식이 오남용에 대한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지지가 중요한 인자로 나왔지만 선행연구들에서는 약물지식이 약물오남용행위를 감소시키는 중요요인으로 언급되고 있어 효과검증을 위한 반복연구가 요구된다.

인공심장판막치환 환자의 와파린 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및 약물복용이행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Warfarin Related Knowledge, Self Efficacy and Medication Adherence of Patient with Prosthetic Heart Valve Replacement)

  • 길아람;신용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84-592
    • /
    • 2020
  • 본 연구는 와파린 약물 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약물복용이행도의 관계를 파악하여 와파린 약물복용이행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효율적인 맞춤형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2018년 2월 21일부터 9월 30일까지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심장판막 수술을 받고 와파린을 복용한지 6개월 이상 된 외래 통원치료 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와파린 약물관련 지식과 약물복용이행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r=.285, p=.004)를 보였다. 70세 미만에서 약물복용이행도는 와파린 약물관련 지식(r=.250, p=.046)과 자기효능감(r=.292, p=.019)에서 각각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70세 이상에서 약물복용이행도는 와파린 약물관련 지식(r=.358, p=.032)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약물복용이행도의 차이에서 70세 미만(7.24±1.30)과 70세 이상(7.09±1.00)에서 연령과 상관없이 큰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고령화에도 불구하고 약물복용이행이 비슷한 수준으로 잘 유지된 것으로 볼 수 있어 어떤 요소가 70세 이상의 고령 환자의 약물복용이행도를 높게 유지하는 지 후속연구가 필요하겠다. 따라서 약물복용이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 교육 측면으로 1:1개별 교육프로그램,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 연구 측면으로 각 분야의 다양한 전문가가 연계되어 와파린 복용 교육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시각적 측면으로 약물 교육에 대한 멀티미디어 효과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약물중독 환자의 병원 전 단계 처치에 관한 119 응급구조요원의 지식과 수행 태도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Prehospital Care among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orking at 119 Fire Safety Centers for Patients with Acute Drug Intoxication)

  • 이효철;이영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3호
    • /
    • pp.301-313
    • /
    • 2010
  • 2009년 3월 1일~4월 31일까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근무하는 119 응급구조요원 288명을 대상으로 병원 전 단계 에서 119 응급구조요원이 약물중독환자에게 실시하는 병원 전 응급처치의 지식과 수행 태도에 대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약물중독의 지식정도 평점은 10점 만점에 7.04점, 약물중독환자의 응급처치 수행 태도는 평점 4점 만점에 2.96점으로 응급처치 지식은 높으나 수행태도는 낮은 경향이었다. 또한 약물중독 환자에게 틀리게 응급 처치한 경우가 34.6%로서 환자의 생명에 직결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수행 태도의 4개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환자 상태파악 영역 3.52점$\pm$0.59, 환자처치 영역 2.95점$\pm$0.57, 환자예후 파악 영역 2.78점$\pm$0.75, 의료지도 업무수행 영역 1.67점$\pm$1.05의 순으로 의료지도 업무 수행영역이 가장 낮은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즉 병원 전 단계의 의료지도가 중요하므로 향후 응급실의 응급의학 전문의 중 1인이 응급구조사로 부터 환자상태를 보고 받으면 투약과 처치를 지도하는 병원-응급구조대 연계체계의 구축이 바람 직하다. 약물중독환자에 대한 지식은 연령, 성별, 지역별 근무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응급처치 수행 태도는 성별, 지역별 근무지, 교대 근무 형태, 학력, 올바른 응급처치, 연수 여부 별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인 119 응급구조요원의 약물중독 보수교육률과 연수률이 낮았고 약물중독에 관한 전문교육요구는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병원 전 단계 약물중독환자에 대한 응급구조사의 지식은 높지만, 수행 태도에서 환자 상태파악은 잘 하고 있었으나, 환자예후 파악과 의료지도 업무는 정확하게 수행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응급구조사와 119 응급구조요원에 대한 반복적인 술기 중심 응급처치 연수를 통한 응급구조사의 질 향상과 병원 전 단계 약물중독 환자 지침서 개발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Clinical Therapeutic Drug Monitoring

  • 윤영란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3-106
    • /
    • 1997
  • 약물 투여 후 약효의 출현은 흡수, 분포 등의 약동학적 단계(pharmacokinetic phase)를 거쳐 수용체 부위에서 약물과 수용체 사이의 약력학적(pharmacodynamic)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난다. 따라서 약물요법 시 약효나 독성 발현의 큰 개인차는 약동학적 또는 약력학적 개인차에 의해 나타나며, 많은 약물에서 약효의 개인차는 흔히 약동학적 차이가 주역할을 함이 알려져 있고, 약물의 특성에 따라 약물의 대사 및 배설과 관련 있는 신장, 간장 및 심장 질환자에서는 현저한 약동학적 변화로 용법 조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약동학적 개인차는 안전역이 좁은 약물에서 더욱 문제가 되며 이러한 약물의 적정 요법을 위해서는 수용체 부위와 평형을 이루고 있는 혈장약물농도를 적정 유지하는 것이 약동학적 개체차를 배제할 수 있는 한 방안이다. 근자에 이르러 체액내 약물 및 이의 대사물을 측정하는 분석 화학의 발전과, 임상 약물 동태학(clinical pharmacokinetics)의 도입 등으로 개개 환자에서의 적정 약물요법을 위한 TDM (Therapeutic Drug Monitoring)이 구미에서는 이미 보편화되어 있다 또한 국내에서도 이러한 새로운 의료분야의 연구 및 임상응용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발맞추어 본 지면을 통하여 임상약리학적 지식을 이용한 혈장 농도 데이터의 분석을 통하여 개개인에서의 적정 약물요법을 제시하는 TDM에 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혈액투석환자를 위한 약물교육프로그램이 약물에 대한 지식과 약물복용 이행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Structured Drug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and Medication Compliance for Hemodialysis Patients)

  • 소향숙;김애영;김은아;김수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1135-1144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effects of a structured drug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and medication compliance for hemodialysis patients. Method: Hemodialysis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a kidney center, at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 city, Korea. Thirty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intervention and 30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structured drug education program.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medication knowledge and medication compli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is education program for hemodialysis patients increased knowledge and medication compli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structured drug education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icient nursing intervention for hemodialysis patients.

호르몬 약물 지식과 시장의 형성: 운동선수들의 합성 호르몬 사용과 소비 (Shaping of Hormone drug Knowledge and drug market: Athletes use and consumption of synthetic hormones)

  • 한광희;김병수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87-116
    • /
    • 2014
  • 이글은 불법적 호르몬 약물 소비행위라는 다소 이질적인 형태의 약물화(pharmaceuticalization) 현상에 주목한다. 운동선수들에게 아나볼릭스테로이드와 같은 호르몬 약물의 사용은 더 이상 생소한 일이 아니다. 거대한 근육을 획득하거나 힘을 증가시키기기 위해 운동선수들이 합성호르몬을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약물 사용 행위는 단순히 불법적인 것으로 볼 수 없다. 이들은 내분비계 전문의와 같은 의료전문가들과 대조되는 약물에 대한 지식을 형성하고, 합리적으로 약물을 소비한다. 의사들이 합성호르몬의 역할을 치료(treatment)에 한정지었다면, 약물 사용자들은 향상(enhancement)까지 확장시키고 있다. 합성호르몬의 새로운 역할에 가치가 부여되고 비공식적인 시장이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이글은 생명정치와 생의료화의 비공식적인 현상으로 호르몬 약물 사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이미지 활용 약물교육이 노인환자의 약물지식, 복약자기효능감 및 복약오류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Image-Use Medication Education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Misuse of Medication in Elderly Inpatients)

  • 김효정;김건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24권1호
    • /
    • pp.56-66
    • /
    • 2018
  • Purpose: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one to develop image-use medication education for older inpatients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n their knowledge, self-efficacy, and misuse of medication. Methods: Fifty nine elders (experimental group - 30, and control group - 29) received medication education once a week for 3 weeks. Data were collected before (pretest), right after (post 1), and 4 weeks after the program finished (post 2). Drug Use Knowledge Scale, Self-efficacy for Appropriate Medication Use Scale, and Drug Misuse Scale were used.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x^2$ test, repeated measured ANOVA. Results: Finding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of medication and drug misus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ime(pretest, post 1, and post 2). At post 1 and post 2, knowledge and self-efficacy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misuse scores were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elder-tailored medication education consisting of group education and individual guidance with images is effective and practical for medicine safety in elderly inpatients. Moreover, it could lead to a healthier life for elders, even elders with multiple chronic diseases and taking several medications.

약물부작용감시시스템에서 재현성 평가를 통한 마이닝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Mining model through reproducibility assessment in Adverse drug event surveillance system)

  • 이영호;윤영미;이병문;황희정;강운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83-192
    • /
    • 2009
  • 약물부작용감시시스템 (Adverse drug event surveillance system)은 약물부작용신호를 이용하여 약물의 부작용 여부를 식별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자발적 보고나 차트리뷰 보다 효율성이 뛰어난 시스템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약물부작용감시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임상데이터마트(GDM)를 구축하였다. 특히, 데이터 품질관리 기법을 적용하여 구축된 CDM에 지식 탐사 기법 중 비교사학습 기법으로 적용하여 모델의 재현성을 평가하여 최적의 약물부작용 군집화 개수(n=4)를 도출하였다. 군집화 개수(n=4)를 이용하여 약물부작용 판별을 위한 K-means, Kohonen, two-step clustering model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K-means 알고리즘이 가장 우수한 군집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질환별 교육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질병인식 및 약물지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ducation Program by Illness on Perception of Illness and Knowledge of Medication in Psychiatric Inpatients)

  • 전원희;박정순;정안순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7권2호
    • /
    • pp.110-116
    • /
    • 201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ducation program by illness on perception of illness and knowledge of medication in psychiatric inpatient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and non-synchronized control group design. For this research, a total of 50 subjects was selected at a psychiatric unit of C university hospital in U-cit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24 subjects and they received education program by illness 1 session per a week for 4 weeks. The remaining 26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y received standard services except the education program by illness. In data analysis, SPSS/WIN 15.0 program was used.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perception of illness and knowledge of medication. Conclusion: This study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 program by illness could be effective to improve perception of illness and knowledge of medication in psychiatric inpatients.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약물오용 영향요인: 약물지식 및 복약관리 교육요구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Medication Errors and Medication-related Educational Needs of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 정혜선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7-98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medication errors and the medication management educational needs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From February 20 to February 23, 2017, 150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were survey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A total of 85.7% of the older adults were taking medication, but their drug knowledge was found to be low. The medication error rate was 24.9%, and the score for medication management education requirement was 3.61 out of a possible 5points. Factors affecting medication errors were perceived health status and knowledge of medication,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43% in total.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nursing intervention is needed to reduce older adults' medication errors and to increase their knowledge of medication. Additionally, groups of older adults with high medication errors should be intensively educated, and when developing a medication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the contents of the sub-areas and items in which the participants' needs were high should be reinfor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