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알지네이트 모델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Poly(N-isopropylacrylamide-co-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가 고정화된 알지네이트 비드 제조 및 방출 특성 (Preparation and Release Property of Alginate Beads Immobilizing Poly(N-isopropylacrylamide-co-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

  • 강미경;김진철
    • 폴리머
    • /
    • 제34권1호
    • /
    • pp.79-83
    • /
    • 2010
  • Poly(N-isopropylacrylamide-co-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P(NIPAM-co-DMAEMA))가 고정화된 알지네이트 비드를 제조하였다. 알지네이트와 P(NIPAM-co-DMAEMA)의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하여 P(NIPAM-co-DMAEMA)로 코팅된 알지네이트 비드와 P(NIPAM-co-DMAEMA)을 함유한 알지네이트 비드를 제조하였다. P(NIPAM-co-DMAEMA)은 자유 라디칼 반응으로 제조하였고 핵자기 공명분광기를 통해 확인하였다. 비드의 온도 민감성 방출 거동을 관찰하였으며, 모델시약으로 blue dextran과 fluorescein isothiocyanate-dextran을 사용하였다. P(NIPAM-co-DMAEMA)가 고정화된 알지네이트 비드로부터의 방출 정도는 온도 의존성이 낮았고, 방출모델시약의 분자량이 작을수록 더 높았다.

혼합 방법과 보관 시간이 알지네이트 인상재의 체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ixing method and storage time on dimensional stability of alginate impressions materials)

  • 방현지;심현아;조영은;박은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86-94
    • /
    • 2020
  • 목적: 전통적인 알지네이트와 체적 안정성을 개선한 두 종류의 extended-pour 알지네이트에서 혼합 방법과 보관 시간에 따른 체적 안정성 차이를 평가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금속 주모형을 제작하여 한 종류의 전통적인 알지네이트와 두 종류의 extended-pour 알지네이트로 군 당 40개 씩(수동 혼합 20개, 자동 혼합 20개) 인상 채득 후 즉시, 2일, 5일, 6일 보관 기간에 따라 군당 5개씩의 석고 모형 제작하였고, 3D 테이블 스캐너로 모델 스캔 후 스캔 데이터를 중첩하여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으로 일반선형모형을 사용하였고 Tukey의 방법으로 사후검정 시행하였다 (P < .001). 결과: 혼합 방법에 따른 정확도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모든 군에서 즉시 석고 주입한 경우 가장 적은 부피 변화를 보였다. 2일 보관 후 석고 주입 시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보관 5일 후 extended-pour 알지네이트의 경우 전통적인 알지네이트에 비해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전통적인 알지네이트는 2 - 5일에서, extended pour alginate의 경우 5 - 6일에서 급격한 부피 변화를 보였다. 결론: 알지네이트의 혼합 방법은 체적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extended-pour 알지네이트가 전통적인 알지네이트보다 장시간 체적 안정성이 우수하나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석고를 주입하는 것이 권장된다.

Phosphorous의 효율적인 제거를 위한 $TiOSO_4$ 고정화 Calcium Alginate Bead의 제조기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Calcium Alginate Bead Immobilized with $TiOSO_4$ for the Efficient Removal of Phosphorous)

  • 최재우;이승연;정승건;이상협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62-166
    • /
    • 2011
  • 인위적인 배출에 기인한 인의 축적은 지표수에서 발생하는 부영양화의 가장 큰 원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titanium oxysulfate-sulfuric acid 분말을 이온교환 물질로 하여 알지네이트 겔에 고정화시켜 수용액 상에 존재하는 인 제거 효율을 정량화하여 보았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흡착물질의 고정화 기법은 1) 알지네이트 수용액에 흡착물질을 주입한 후 고정화시키는 것, 2) 초음파를 이용한 흡착물질의 분산 기법, 그리고 3) 수용액 상태의 흡착물질을 알지네이트 수용액과 반응시켜 고정화시키는 방법 등이다. 평형과 비평형 흡착 실험은 3가지 다른 기법으로 제작한 담체를 적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흡착 용량과 시간에 따른 인의 제거율을 구득할 수 있었다. 평형배치 실험 결과는 Langmuir 흡착 등온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수용액 기법을 적용하여 담체를 제작하였을 때 92.26 mg/g으로 가장 높은 인 제거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비평형 배치 실험 결과는 pseudo-second-order kinetic 모델을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평형 배치와 유사하였다. 본 실험에서 제작한 티타늄 분말을 고정화한 담체는 기반물질의 경제성 확보와 담체 제조 기법 가운데 수용액 기법의 높은 흡착능 유지를 통하여 하 폐수에 존재하는 인을 경제적으로 제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oly(D,L-lactide)를 외부 껍질로 하고 Alginate 또는 Chitosan을 내부 코어로 구성한 이중미립구 담체의 약물방출 특성 (Drug-release Properties of Double-layered Microspherical Carriers which Consist of Outer Shell of Poly(D,L-lactide) and Inner Core of Alginate or Chitosan)

  • 김자원;송민정;이상민;임소령;정수진;김홍성
    • 폴리머
    • /
    • 제36권6호
    • /
    • pp.699-704
    • /
    • 2012
  • 경구투여를 통한 친수성 약물의 방출조절을 위하여 이중층으로 된 고분자 담체를 설계하였다. 생체고분자인 alginate와 chitosan은 각각 극성 흡수성분으로, poly(D,L-lactide)는 소수성 피막으로, 그리고 theophylline과 diclofenac sodium은 모델 약물로 사용하였다. 담체는 지연방출과 이어지는 지속방출을 위하여 외부 껍질은 poly(D,L-lactide)로, 내부중심은 약물과 함께 알지네이트 또는 키토산으로 구성되어진 이중층의 미립구 담체로 성형하였다. 담체와 약물간의 극성 조합으로 인한 담체의 모폴로지와 약물방출 거동을 조사하였다. 담체와 약물 그리고 pH 환경의 상대적 극성이 약물방출 특성에 상당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폐슬러지로부터 섬유형 생체흡착제 제조방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Manufacturing Method for a Fiber Type of Biosorbent from Sludge Waste)

  • 서지혜;김남규;박문식;이선경;박동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641-647
    • /
    • 2014
  • 연구에서는 폐기물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폐슬러지를 원료로 사용하여 섬유(fiber) 형태의 생체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유기성 오염물의 용출 문제 및 처리수의 고액분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Ca-alginate를 이용해 폐슬러지를 고정화하였으며, 제조의 용이성 및 흡착제로써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섬유 형태로 생체흡착제를 제조하였다. Alginate 사용량을 최소화 하면서 제조한 생체흡착제의 성능을 최대화 하기 위한 고정화 조건은 alginate 농도 10 g/L, 폐슬러지 농도 40 g/L, 생체흡착제 직경 0.3~0.4 mm로 결정하였다. 제조한 섬유형 생체흡착제는 2가 양이온 중금속인 Cd(II)에 대해 60.73 mg/g의 최대흡착량을 보였으며, Cd(II) 흡착 거동은 Psuedo-second-order 속도모델과 Langmuir 등온흡착모델로 잘 설명되었다. 결론적으로, 하폐수 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슬러지는 생체흡착제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저렴한 원료이며, 이렇게 제조한 생체흡착제는 산업폐수에 함유된 유독성 중금속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2종 전자근관장측정기의 일관성에 관한 in vitro 연구 (IN VITRO EVALUATION OF THE CONSISTENCY OF TWO ELECTRONIC APEX LOCATORS)

  • 황규용;노병덕;김의성;이승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1호
    • /
    • pp.20-27
    • /
    • 2008
  • 정확한 근관장 측정은 성공적인 근관치료를 위해 필수적이다. Kuttler는 근관협착부는 주근단공에서 0.5 mm 상방에 위치한다고 하였고 Lee는 상아백악질 경계점부위보다 주근단공이 재현성이 높고 임상적으로 관찰하기 용이하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alginate model상에서 2개의 전자근관장측정기를 사용하여 얻은 측정치의 정확성(accuracy)을 평가하고 각각 0.5 mark와 Apex mark 중에서 어느 지점에서 더 일관성(consistency)을 보이는지를 비교하고 또한 근관장을 측정할 때 파일을 전진시키면서 Apex mark를 측정한 값과 치근단부위를 지나친 후 다시 후퇴하면서 측정한 값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52개의 발거된 건전한 제 1, 2소구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Root ZX와 E-Magic Finder Deluxe를 이용하여 각각 26개중 13개는 파일을 전진하면서 0.5 mark에서 근관장을 측정하고 Apex mark에서 근관장을 측정한 후 0.5 mark에서 고정하였다. 나머지 13개는 0.5 mark에서 근관장을 측정한 후 Apex mark에서 근관장을 측정하고 다시 치근단 부위를 넘어선 후 후퇴하면서 Apex mark에서 근관장을 측정하고 고정한 후 치근단부 4 mm를 삭제하여 현미경상에서 파일 끝부터 주근단공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Root ZX와 E-Magic Finder 모두, 실험군 100%에서 주근단공과 file tip간의 거리가 임상적 허용범위인 ${\pm}0.5\;mm$내에 있었으며 0.5 mark보다 Apex mark에서 더 높은 일관성을 보였다. 주근단공에서 fie tip사이의 거리는 Root ZX의 0.5 mark에서 -0.18 mm, Apex mark에서 -0.07 mm이고 E-Magic Finder의 0.5 mark에서 -0.25 mm, Apex mark에서 -0.02 mm를 나타내었다. Apex hand는 0.04 mm였다. 따라서 Alginate model을 사용한 본 실험조건에서는 Apex mark에서 근관장을 측정한 결과 거의 주근단공과 일치하고 다른 여러 연구에서 주근단공에서 0.5 mm상방에 근관협착부가 위치한다고 보고하였으므로 임상적인 측면에서 Apex mark에서 측정한 근관장에서 0.5 mm를 빼서 근관장으로 사용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더 좋으리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