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악취농도

Search Result 25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지렁이 분변토와 주정슬러지 혼합 배양액을 이용한 Biofilter에서의 고농도 악취제거 (Removal of High Odor Concentration with Biofilter using Mixture of Earthworm Cast and Distillery Sludge)

  • 박종웅;장석조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27-136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moval of high odor concentration from swin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by full scale biofilter using liquid with deodorant mixed with earthworm cast and distillery sludge. Methods: The supply of the culture liquid to the microorganism on the media in the biofilter increases the activity and growth of biomass. The experimental equipment was biofilter tower with treatment capacity of 90 m 3/mi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ed gas flow of $60m^3/min$, retention time of 20 sec, and gas/liquid ratio of 67. Results: With changing season from winter to summer, the inlet odor concentration of ammonia increased from 2.5 ppm to 29 ppm, and of hydrogen sulfide from 21 ppm to 91 ppm, respectively. The odor treatment system with biofilter using the culture liquid was stable when the high loading rate increased and showed excellent removal grade with an average of 96.7% for ammonia, and an average of 93.7% for hydrogen sulfide. The pH and SCOD in the recirculating culture liquid near the bottom of the biofilter tower decreased with operation time, but its influence on the odor removal rate was negligible, because the organic matter (SCOD) was replaced by some culture liquid supplied 2-4 times per day. Conclusions: The biofilter using culture liquid could successfully remove high odor concentration which was generated from swin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발효조건에 따른 동물성 유기물의 분해 특성

  • 정광화;김태일;곽정훈;양창범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9-84
    • /
    • 2003
  • 1.퇴비 온도의 상승에 비례하여 폐사계 체내의 온도도 상승하여 퇴적식 퇴비단의 경우 $55^{\circ}C$내외의 고온지속기간이 약 30일정도 유지되었다. 반면에 토양 중에 매립된 폐사계의 체내 온도는 발효 전 기간 동안 $30^{\circ}C$ 이상으로 상승하지 못한 채 주변토양 온도와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토양온도는 외기온의 변화에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2. 시험용 발효조 내에서의 송풍여부에 따른 퇴비의 발효온도 변화추이는 송풍 처리구에서는 퇴비화 3일째에 최고온도 $68^{\circ}C$를 기록한 반면에 무송풍구에서는 퇴비화 5일째에 최고온도 $72^{\circ}C$를 기록하였다. 3. 퇴비단 표층에서 채취된 시료에서 검출된 $H_2S$$CH_3$SH 농도는 송풍 처리구에 있어서는 퇴비화 개시 후 20일 경과 후 각 각 28.5, 16.0 ppb 수준을 나타냈고 35일 경과 시에는 각각 57.7, 11.7 ppb, $CH_3SH$의 경우에는 23.7, 9.9 ppb 수준의 발생량을 기록하는 등 전반적으로 송풍처리구가 무송풍 처리구에 비해 악취가스의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4. 폐사계를 밀폐용기 내에서 발표 시 수거된 침출수 중의 미생물 수가 토양매립 상태 하에서 수거된 침출수 중의 미생물 수보다 더 적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5. 퇴비단 내에서 발효에 따른 폐사계 중량은 최초 3일간에 급격히 감소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감소속도는 줄어든다.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조직의 분해속도가 빨라지고 폐사계의 중량감소 속도도 빨라졌다. 6. 일반 퇴비와 폐사계를 발효시킨 퇴비 사이에 비료성분과 중금속 함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 PDF

생물학적 복구법(Bioremediation)의 원리와 응용 (The Principle and Application of Bioremediation)

  • 정재춘;박창희;이성택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3-13
    • /
    • 1996
  • 생물학적 복구법의 효율은 미생물 균수의 계수, 호흡율, 분해율 등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부작용 시험은 Daphnia,굴의 유충, 무지개 송어 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On-Site처리에 있어서는 산소 전달이 문제가 되는데 이에는 과산화 수소가 사용될수 있으며(벤젠계통의 용매), 유류오염 방제시에는 친유화적 질소 및 인을 첨가할 수 있다. 접종균주는 혼합균주 또는 순수 균주가 사용되는데 후자에는 Pseudomonas와 Phaneochate 등이 있다. 때로는 효울을 높이기 위해 효소를 첨가 하거나 광분해법과 병용되기도 한다. 토양의 유류오염물질, 예컨대 폐윤활유, 기계유, 오일 슬러지들을 처리할때는 토양상부 15∼20cm를 갈고 유류오염물질을 5%의 농도로 주입한다. 이 때 적정 pH는 7∼8, 탄화수소 질소 = 100 : 1, 탄화수소 : 인 = 800 : 1이며 적절한 배수가 필요하다. 지하 유류오염물질의 처리에 있어서는 특히 다량의 산소가 필요하며 해양유류오염물질의 처리에 있어서는 친유화성 비료를 첨가하면 효과가 있다 생물학적 복구법에 의해 대기오염물질 특히, 악취 물질을 처리할 수 있는데 반응기로는 생물여과법과 생물세정기가 쓰인다.

  • PDF

양산시 산업단지에서 측정한 악취물질의 농도 분포 특성 및 대기확산 모델링 (Characteristics of Malodor Pollutants and Their Dispersion Measured in Several Industrial Source Regions in Yangsan)

  • 송상근;손장호;김유근;박흥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103-1114
    • /
    • 2009
  • In this study, the environmental behavior of malodor pollutants (MPs: $H_2S$, $CH_3SH$, DMS, and DMDS) was investigated around areas influenced by strong anthropogenic processes based on observations and modeling study (a CALPUFF dispersion model). The MP emissio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from 8 industrial source regions (tire plants (S1-S3), waste water disposal plant (S4), and oil refinery (S5) in an urban center area and paper mill/incineration plant (S6) and livestock feedlots (S7-S8) in Ungsang area) in Yangsan city during a fall period in 2008 (21 October 2008). Overall, the most MPs emitted from the urban center area were found to affect the malodor pollution in their downwind areas during early morning (06:00 LST) and nighttime (18:00 and 21:00 LST), compared with those in the Ungsang area. For malodor intensity, the most MPs in the urban center area (especially S1 and S2) were found to be a significant contributor, whereas $CH_3SH$ and $H_2S$ in the Ungsnag area (especially S6) were the dominant contributor. The model study showed agreement in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simulated MPs with those of the observations. The largest impact of MPs in the urban center area on the malodor pollution in its residential areas occurred at S1, S2, and S3 sites during nighttime, while that of MPs in the Ungsang area occurred at S6 and S8 sites. This may be caused mainly by the high MP emissions and in part by wind conditions (prevailing northeasterly winds with low wind speeds of 2-3 m/s).

촉매-코로나방전을 이용한 NOx제거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NOx Removal Using Catalyst-Corona Discharge)

  • 고희석;박재윤;김종석;이수정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7-33
    • /
    • 2004
  • 우리가 생활하는 거의 모든 곳에서 발생하는 슬러지(sludge)는 악취, 토양오염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폐기물은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처리되고 있으나 슬러지의 경우 두 가지 방법 모두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대체 처리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슬러지를 NOx제거용 촉매 펠렛(Pellet)재료로 재활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수돗물 정수장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로 펠렛을 제작하여 $BaTiO_3$ 펠렛과 하이브리드 구조로 NOx제거용 플라즈마 반응기를 제작하였고, specific energy, 전압인가 방법, 슬러지의 양, 산소농도 변화에 따른 NOx제거 특성을 측정하고 슬러지 펠렛의 영향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배기가스순환시스템을 적용한 소멸 퇴비화장치의 효율검토 (Efficiency Investigation of Vanishing Composting Machine Us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 배재근;김종찬
    • 유기물자원화
    • /
    • 제7권2호
    • /
    • pp.93-104
    • /
    • 1999
  • 본 연구는 기존의 소멸화장치를 개선하여 에너지절감과 동시에 탈취효과를 극대화시키면서 유기물의 분해능력을 극대화시키는 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기존의 장치와 비교하여 3차에 걸친 열교환을 통하여 백금촉매탑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하여 이용하게 하였으며, 배기가스의 65%정도를 재순환하게 하였다. 또한 장치전체에 대해서는 감압을 유지하게 하여 수분의 증발을 원활하게 하였다. 미생물제재에 의하여 반응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했으며, 또한 분해매체제는 기존의 처리용량의 20배용적을 사용했으나, 본장치에서는 15배용적에 있어서도 미생물활성화가 가능하며, 호기성분위기를 효율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했다. 배기가스의 내부순환을 시스템을 사용함에 따라 얻어지는 효과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내부의 악취물질인 암모니아가스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했으며, 탈취탑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경감됨에 따라 전력비가1/3선으로 절감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내순환에 따라 최적공기량은 100kg처리용량에 대하여 $0.44m^3$로, 이 공기량의 변화에 따라 전력비가 비례하여 변화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 PDF

정수 슬러지를 재활용한 펠렛형 흡착제 상에서 염기성 악취 물질의 흡착속도상수 (Adsorption Kinetic Constants for Basic Odorant on Pellet-type Adsorbents Recycled from Water-treatment Sludge)

  • 김고운;박나영;배정현;전종기;이철호
    • 공업화학
    • /
    • 제25권2호
    • /
    • pp.167-173
    • /
    • 2014
  • 정수 슬러지를 재활용하여 제조한 펠렛형 흡착제의 트리메틸아민과 암모니아의 흡착 특성을 연구하였다. 펠렛형 흡착제를 $110^{\circ}C$에서 건조 처리 했을 때보다 $500^{\circ}C$에서 소성했을 때 BET 표면적과 기공 부피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수 슬러지를 재활용하여 제조한 펠렛형 흡착제는 브뢴스테드 산점과 루이스 산점을 보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흡착질 가스인 트리메틸아민과 암모니아가 일정한 농도로 흡착제 층으로 유입되고, 흡착제의 중량과 흡착질의 선속도를 변화시키면서 흡착질 가스의 파과시간을 측정하였다. Wheeler의 흡착속도식을 사용하여 트리메틸아민과 암모니아의 동적흡착용량과 흡착속도상수를 결정하였다. 동적흡착용량과 흡착속도상수가 흡착질 가스의 선속도에 따라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정수 슬러지를 재활용하여 제조한 펠렛형 흡착제 상에서, 다양한 흡착조건에서 트리메틸아민과 암모니아의 파과시간을 예측하기 위한 실험식을 도출하였다.

양돈 슬러리에 첨가된 악취저감물질 수준별 휘발성 지방산과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 비교 (The Effect of the Addition Levels of Odor Reducing Contents on the Concentration of Volatile Fatty Acid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 in Pig Slurry)

  • 황옥화;양승학;전중환;김중곤;최동윤;조성백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1-108
    • /
    • 2013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dition levels of odor reducing contents on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odorous compounds. Slurry treatments included three levels mixture of horseradish powder (HP), mushroom waste (MW) and probiotics powder (PP), and non-treatment control (n=4 each group). Levels of odorous compounds were measured from the liquid slurry incubated in room temperature ($20{\sim}25^{\circ}C$) for 2 wk in chamber whose structure is similar to slurry pit. Concentration of phenols and indoles was lower (p<0.05) in level 1, which was mixed HP 0.01%, MW 0.4% and PP 0.004% (98.69, 1.87 ppm) compared to control. Short chain fatty acid (SCFA) and branched chain fatty acid (BCFA) was lowest (p<0.05) level 1 (6,557, 1675 ppm). Taken together, lower level are effective in reducing odorous compounds in pig slurry.

백상지 공정수가 백상지 물성에 미치는 영향

  • 이학래;함충현;이지영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59-159
    • /
    • 2001
  • 용수 다소비 산업인 제지산업은 날로 심해지는 환경규제에 대처하기 위해 청수사용 량을 줄이고 백수의 재활용을 극대화하며, 궁극적으로는 폐수를 배출시키지 않는 무방류화 공정의 실현을 위해 많은 연구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제지공정의 폐쇄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폐수의 처리를 통한 수질 개선 및 처리수의 재활용을 제고하는 방안을 채용할 수 있으나, 제지공정의 막대한 용수 사용량을 생각할 때 방출되는 공정수를 이와 같 은 방법으로 완전히 정화, 재사용한다는 것은 경제적으로 비현실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공정수의 정화 및 정화된 처리수의 재활용율 제고를 통하여 제지공정의 무방류화를 실현하 더라도 공정수의 수질 악화는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이에 대한 다각적인 대처 가 요청된다. 제지공정의 무방류화에 따른 수질의 악화는 용수 내 미세분 및 이온성 물질의 누적 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펠트 플러깅, 첨가제의 성능저하, 슬라임 및 악취 발생, 제품 의 품질저하 등 여러 가지 문제들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백상지 공정의 폐쇄화를 실험실적으로 재현하여 용수 내 미세분 및 각종 이온성 물질의 누적이 종이의 불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백상지 공정 수 내에는 도공파지의 유입과 다량의 충전제 사용에 의하여 상당량의 회분성분이 미세분으 로 포함되어 있다. 이에 백상지 공정의 폐쇄화 단계에 따라 용수 내 누적되는 회분의 특성 변화를 파악하고, 이것이 종이 물성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 백수의 재활용에 따른 각 종 이온성 물질의 누적이 종이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도 평가하였다. 이러한 이온성 물질의 대상은 칼습 경도 및 전기전도도에 영향하는 무기 이온성 물질과 COD 및 BOD에 영향하는 유기 이온성 물질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이후 계내에 존재하는 각 이온성 물질의 농도 증 가에 따라 종이를 제조하여 물성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 PDF

돈사 종류별 슬러리의 악취물질 농도 비교 (The Comparison of Concentration of Volatile Fatty Acids, Ammonia,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Pig Slurry)

  • 조성백;양승학;이준엽;김중곤;전중환;한만희;한덕우;정광화;곽정훈;최동윤;황옥화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5-32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e the concentration of odorous compounds in the piggeries. Piggeries for different types of pigs include piglets, growing pigs, gestating and lactating sows. Slurry from these piggeries was sampled every month for chemical analysis. Short chain fatty acid (SCFA) was 9,862 ppm (piglet), 8,410 ppm (growing pigs), 6,791 ppm (fattening pigs), 3,508 ppm (lactating sows) and 1,687 ppm (gestating sows). Branched chain fatty acid (BCFA) was 1,634 ppm (piglet), 1,206 ppm (growing pigs), 868 ppm (fattening pigs), 493 ppm (lactating sows) and 185 ppm (gestating sows). Concentration of phenols was 209 ppm (piglet), 166 ppm (growing pigs), 127 ppm (fattening pigs), 85 ppm (lactating sows) and 36 ppm (gestating sows). Indoles was 18 ppm (piglet), 14 ppm (growing pigs), 8 ppm (fattening pigs), 6 ppm (lactating sows) and 4 ppm (gestating sows). Altogether, concentration of odorous compounds was decreased as pigs got ag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