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목시실린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6초

아목시실린, 클라불란 산 및 시판 아목시실린-클라불란 산 복합제제의 안전성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Stability of Amoxicillin, Clavulanic Acid and its Commercial Combination Products)

  • 한상덕;김종국
    • 약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392-398
    • /
    • 2005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stability of amoxicillin (AMX) and clavulanic acid (CLA) in aqueous solution, and compared the stability of AMX and CLA in commercial combination products. In aqueous solutions, the degradation of AMX ($t_{90}=8.88\;day\;at\;10^{circ}C$) and CLA ($t_{90}=3.53\;day\;at\;10^{circ}C$) occurred rapidly. From the pH-rate profile, AMX and CLA were the most stable at the range of pH 5.5 and 6.0. After reconstitution of commercial dry syrups, the contents of AMX and CLA in suspensions were gradually decreased for 7 days. However, AMX and CLA in dispersible tablet were not changed at all. The contents of CLA in the dispersible tablet ($87.92\%$) and dry syrups (2.16 and $3.91\%$) were remained in the accel­erated stability test ($75\%\;RH,\;at\;40^{circ}C$) after 10 hours. And the colors of the dry syrups were rapidly changed from white to yellow.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dispersible tablet could overcome the stability problems of dry syrups.

식품 중 아목시실린, 암피실린, 옥소린산 및 플루메퀸의 분석 (Analysis of Amoxicillin, Ampicillin, Oxolinic Acid, and Flumequin in Foods)

  • 김희연;최희주;김용훈;최선희;정소영;이화정;김재인;최계선;최재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490-497
    • /
    • 2009
  • 본 연구에서 확립한 분석법으로 총 393건의 시료를 분석한 결과 넙치에서 아목시실린 9건, 장어에서 옥소린산 4건과 플루메퀸 1건이 검출되었다. 아목시실린의 검출농도는 0.009-0.078 mg/kg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옥소린산의 검출농도는 0.02-0.20 mg/k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플루메퀸은 잔류허용기준(0.5 mg/kg) 이하의 농도로 장어 1건(0.03 mg/kg)에서 검출되었다.

혈청 알부민 나노입자를 이용한 항생제 흡착 (Adsorption of Antibiotics on Serum Albumin Nanoparticle)

  • 김현지;임성인
    • 청정기술
    • /
    • 제27권1호
    • /
    • pp.55-60
    • /
    • 2021
  • 항생제는 감염병 환자의 치료, 농수축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약물이다. 그러나 항생제 과용 및 낮은 생분해성으로 인해 상당량이 하수로 누출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하며 내성 박테리아 출현을 촉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혈청 단백질인 알부민을 항생제 흡착제로 사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혈청 알부민은 다양한 대사 산물과 호르몬을 모든 조직의 혈관 외 공간으로 운반하는 천연 혈액 단백질이다. 혈청 알부민은 수용성이 높지만 이온성, 친수성 또는 소수성 분자를 쉽게 수용하는 고유 결합 부위를 가지고 있어 나노 흡착제로 유망한 물질이다.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을 유도하기 위해 탈용매제인 에탄올을 알부민 수용액에 적가하여 150 ~ 170 nm 크기 범위의 알부민 나노 입자로 탈수화 및 액-액분리 하였다. 글루타르알데히드 가교제를 첨가할 경우 알부민 나노입자의 크기 안정성 및 동질성이 증가하였다. 항생제 아목시실린에 대한 알부민 나노입자의 흡착능 평가에서 가교제 사용 농도, pH에 따른 흡착능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한 알부민 나노입자의 단위질량당(mg) 최대 흡착능은 pH 4.0 수용액에서 아목시실린 12.4 마이크로그램(㎍)이다. 이러한 결과는 물에서 항생제를 제거하는 천연 나노 흡착제를 제조하기 위한 구성 물질로서 혈청 알부민의 잠재력을 보여준다.

항생제 처방 질 관리를 위한 항생제 처방 지침의 개발 (Development of antibiotic prescription guidelines for antibiotic prescription quality management)

  • 김혜성;오정규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5-54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치과 진료실에서 항생제 남용에 대처하기 위해 항생제 투여의 필요성을 결정하는 과정을 소개하고 적절한 항생제의 선택과 사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항생제 처방의 적절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병원의 가이드라인은 최신의 항생제 처방에 대한 연구 결과에 따랐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항생제 처방 가이드 라인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본 가이드라인에 의하면, 병력 검사에 의한 페니실린 알레르기 조사와 피부에서의 페니실린 알레르기 검사를 통해 아목시실린을 일차 선택적 항생제로 처방하였다. 증상의 경과에 대한 재평가 과정을 거친 후 아목시실린에 의한 약물 효과가 없다면 보다 광범위한 항생제로 대체하였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환자를 상급병원으로 전원하도록 설계하였다. 사과나무치과병원 직원은 정기적으로 항생제 처방에 대해 모니터링을 하였고 이 결과에 대해 주기적으로 교육을 받도록 하였다. 현재의 가이드라인은 지속적으로 보완되어야 하며, 항생제 남용의 제어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질 것으로 생각되며, 전반적 치과 진료의 흐름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결정다형이 아목시실린의 상대적 생체이용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seudopolymorphism on the Relative Bioavailability of Amoxicillin)

  • 손영택
    • 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38-443
    • /
    • 1995
  • Four different pseudopolymorphs of amoxicillin-trihydrate, dehydrate, monohydrate and anhydratewere prepared and characterized by UV spectrophotometry, DSC, and TGA. In vitro dissolution studies of four pseudopolymorphs were carried out in pH 6.8 phosphate buffer at $37^{\circ}C$ by means of a rotating disk method. The effect of four pseudopolymorphs on bioavauability of amoxicillin was studied in healthy 6 subjects using urinary excretion method. The dissolution result was shown in the sequence, trihydrate(95.5%)>monohydrate(83.5%)>anhydrate(67.6%)>dihydrate(15.8%). The urinary excretion rate of anhydrate could not be detected and the dissolution results agreed well with in vivo phannacoldnetic study results. The effects of storage conditions, milling and compression on the pseudopolymorpnc transformation were investigated by thermal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four pseudopolymorphs were not transformed and they were very stable.

  • PDF

국내 유통 축·수산물 중 페니실린계 동물용의약품에 대한 잔류실태조사 (Residue analysis of penicillines in livestock and marine products)

  • 송지영;허수정;주현진;김미옥;황정분;한윤정;권유진;강신정;조대현
    • 분석과학
    • /
    • 제25권4호
    • /
    • pp.257-264
    • /
    • 2012
  • 페니실린계 항생물질은 ${\beta}$-lactam 계열의 항생물질로서 인간과 동물에게 널리 사용되어지는 항생물질이다. 이러한 항생항균물질들의 오남용은 소비자가 항생제에 노출될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축 수산물을 대상으로 LC-MS/MS를 이용하여 페니실린계 동물용의약품 7종인 아목시실린, 암피실린, 벤질페니실린, 클록사실린, 디클록사실린, 나프실린, 옥사실린에 대한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특이성, 정밀성, 회수율, 직선성을 통해 시험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으며 아목시실린을 제외한 나머지 6종은 모두 76% 이상의 회수율을 보였고, RSD는 10% 이하로 나타내었다. 시료는 80% 아세토니트릴로 추출한 후 고체상 추출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정제 한 후 분석하였다. 축 수산물 225건을 대상으로 잔류량을 조사한 결과 벤질페니실린이 축산물에서 12건, 수산물에서 7건으로 총 19건이 검출되었고 나머지 6개 항목인 아목시실린, 암피실린, 클록사실린, 디클록사실린, 나프실린, 옥사실린은 검출되지 않았다. 벤질페니실린이 검출된 축산물은 우유와 알을 제외한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이었으며 검출 수준은 0.001~0.009 mg/kg으로 잔류허용기준(MRL)인 0.05 mg/kg 이하로 검출되었다. 수산물에서 검출된 7건은 잔류허용기준인 0.03 mg/kg 이하로 검출되었다. 본 연구사업에서 수행한 모니터링 결과 해당항목의 경우 대부분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어 비교적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향후 지속적인 잔류실태조사와 제도적인 관리지도를 통하여 동물용의약품의 오남용에 대한 안전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폐감귤박으로 제조한 활성탄을 이용한 수중의 항생제 Amoxicillin의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ntibiotics Amoxicillin in Aqueous Solution with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

  • 감상규;이민규
    • 공업화학
    • /
    • 제29권4호
    • /
    • pp.369-375
    • /
    • 2018
  • 폐감귤박 활성탄(WCAC, waste citrus peel based activated carbon)에 의한 항생제 아목시실린(AMX)의 흡착에서 온도, 초기농도, 접촉시간 및 흡착제 투여량과 같은 운전변수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회분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흡착 속도 및 등온 실험결과는 각각 유사 2차 속도식 및 Langmuir 등온 모델에 의해 잘 설명될 수 있었다. Langmuir 등온 모델로부터 계산된 WCAC에 의한 AMX의 최대 흡착량은 345.49 mg/g이었다. WCAC에 의한 AMX의 흡착은 흡착 과정에서 막 확산(외부 물질 전달)과 입자 내부 확산이 동시에 일어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흡착 속도는 WCAC의 입자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외부 물질 전달보다 입자 내부 확산에 의해 더 영향을 받았고, 입자 내부 확산이 율속 단계였다. 열역학적 파라미터는 WCAC에 의한 AMX의 흡착 반응은 흡열반응이고 자발적인 과정임을 나타내었다.

베나제프릴의 장관막 투과도와 흡수 클리어런스에 미치는 아목시실린의 영향 (Effect of Amoxicillin on the Intestinal Membrane Permeability and Absorption Clearance of Benazepril)

  • 주은희;김영만;고형석;이용복;나한광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8권1호
    • /
    • pp.25-33
    • /
    • 1998
  • Intestinal absorption of ${\beta}-lactam$ antibiotics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inhibitors has been shown to use the carrier-mediated transport system. In vitro experiments have established that the efficacy of uptake by enterocytes depends on an inwardly directed proton gradient. It was suggested that benazepril was mediated by tripeptide transport system and that amoxicillin was transported by dipeptide transport carri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nfluence of amoxicillin on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benazepril using in vitro diffusion chamber and in situ single pass perfusion technique in the rat in order to elucidate whether the above transport systems are competitive or not. We obtained the gastrointestinal pemeability coefficient of amoxicillin, benazepril and both of them using in vitro diffusion chamber. And also the gastrointestinal absorption clearance of amoxicillin, benazepril and both of them using in situ single-pass perfusion method at steady state were calculated. Amoxicillin and benazepril were analyzed by HPLC. The results by the use of diffusion chamber in vitro indicated that the apparent intestinal permeability coefficient of benazepril was significantly(p<0.01) decreased by amoxicillin(45.2%) and vice versa significantly(p<0.01) decreased(89.1%). The results by the in situ gastrointestinal single-pass perfusion method indicated that the intestinal absorption clearance of benazepril was significantly(p<0.05) decreased by amoxicillin (40.2%) and vice versa significantly(p<0.05) decreased(54.8%). These results might suggest that they share the same peptide carrier pathway for oral absorption.

  • PDF

파목신 캅셀(아목시실린 500 mg)에 대한 곰실린 캅셀의 생물학적동등성 (Bioequivalence of GomcillinTM Capsule to FamoxinTM Capsule (Amoxicillin 500 mg))

  • 이윤영;최미희;이경률;이희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4권4호
    • /
    • pp.311-317
    • /
    • 2004
  • A bioequivalence study of $Gomcillin^{TM}$ capsules (DAEWOONG Pharmaceutical Co., Korea) to $Famoxin^{TM}$ capsules (Dong Wha Pharm. Ind. Co., Korea)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Twenty four healthy male Korean volunteers received each medicine at the amoxicillin dose of 500 mg in a $2{\times}2$ crossover study. There was a one-week wash out period between the doses. Plasma concentrations of amoxicillin were monitored by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or over a period of 8 hours after the administration. $AUC_t$ (the area under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curve from time zero to 8 hr) was calculated by the linear trapezoidal rule method. $C_{max}$ (maximum plasma drug concentration) and $T_{max}$ (time to reach $C_{max}$) were compiled from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data. Analysis of variance was carried out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AUC_t$ and $C_{max}$. No significant sequence effect was found for all of the bioavailability parameters indicating that the crossover design was properly performed. The 90% confidence intervals of the $AUC_t$ ratio and the $C_{max}$ ratio for $Gomcillin^{TM}/Famoxin^{TM}$ were $log0.91\;{\sim}\;log1.03$ and $;log0.93\;{\sim}\;log1.10$,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within the acceptable bioequivalence intervals of $log0.80\;{\sim}\;log1.25$. Thus, our study demonstrated the bioequivalence of $Gomcillin^{TM}$ and $Famoxin^{TM}$ with respect to the rate and extent of absorption.

Amoxicillin trihydrate의 단독 경구투여 및 정맥투여에 따른 뱀장어, Anguilla japonica 체내 약물동태학적 특성 (Pharmacokinetics of amoxicillin trihydrate in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by single oral and intravenous administrations)

  • 전은지;서정수;김진도;정승희;김명석;황지연;박명애;지보영;김진우;김이청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57-367
    • /
    • 2010
  • 아목시실린(Amoxicillin trihydrate; Amox)을 뱀장어(평균 체중 $220{\pm}10\;g$)에 1일 1회 경구투여(40 및 80 mg/kg body weight) 및 정맥투여(1 mg/kg)한 다음, 경시적(0시간~720시간)으로 혈장내 Amox의 잔류농도를 분석하였다. 40 및 80 mg/kg 농도로 경구투여한 모든 시험구에서 투여 6시간째 각각 $3.3{\pm}0.5$$3.4{\pm}0.1\;{\mu}g/ml$로 최대혈중농도를 나타내었다. Amox의 모든 시험구는 투여 720시간째 혈중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Amox의 경구투여방법에 따른 뱀장어 체내 약물 혈중농도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WinNonlin program을 이용한 2-compartment model로 하여 Amox의 흡수, 배설, 반감기 등 약물동태학적 매개변수(parameter)를 조사하였다. 2-compartment model을 이용한 분석을 통하여 40 및 80 mg/kg Amox를 경구투여한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AUC)은 각각 464 및 $667\;{\mu}g{\cdot}h/ml$, 혈중최고농도의 도달시간(Tmax)은 2.1 및 3.6 hr, 혈중최고농도(Cmax)는 3.04 및 $3.4\;{\mu}l/ml$로 계산되었다. 1 mg/kg Amox을 정맥 투여한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AUC)은 $748\;{\mu}g{\cdot}h/ml$, 혈중최고농도(Cmax)는 $4.2\;{\mu}l/ml$로 계산되었다. 1일 1회 단독으로 40 및 80 mg/kg Amox를 각각 경구 투여시의 뱀장어내 생체내이용율(F%; bioavailability)은 각각 1.6, 1.1%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목시실린을 삼수화물 형태로 사용함에도 낮은 어류내 생체내이용율을 가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