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동 양육태도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26초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의 양육태도간의 관계 연구

  • 박선혜;박혜원
    • 한국영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9-14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양육태도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창의적인 유아의 아버지양육태도와 일반 유아의 아버지양육태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자녀양육에 있어서 창의적인 유아로 키울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 9곳의 만 5세 96명(창의적인 유아 40명, 일반 유아 56명)과 아버지 96명이었다. 유아의 창의성검사는 Torrance 창의력 도형검사를 사용하였고, 아버지양육태도검사는 이종승, 오성심(1982)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0.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창의성과 아버지양육태도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으며,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양육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간에 전반적 창의성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로 분석시 유창성과 독창성, 개방성요인에서는 창의적인 유아가 일반 유아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두 집단간 창의성에 있어서 성차는 없었다. 둘째,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의 아버지의 자녀창의성 인식에서는 전반적 독창성 점수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유창성, 추상성, 정교성의 차원에서 인식의 차이를 보여 창의성수준을 부모들이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창의적인 유아에 대한 아버지와 교사의 인식에서는 창의적인 유아의 아버지보다 현장에서 유아를 가르치는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유아의 창의성수준을 더 높게 평가하였다. 그러나 아버지와 교사간 평가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는 아버지의 평가수준이 매우 객관적인 것은 아님을 시사한다. 셋째,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 아버지 양육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애정-적대요인과 자율-통제요인에서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 양육태도간의 상관관계분석결과 애정적 양육태도와 유창성, 독창성간의 상관이 유의하였다. 집단별 분석시 창의적인 유아를 둔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에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 유아의 아버지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의 상관에서는 아버지 양육태도의 성취-비성취 요인에서와 창의성제목의 추상성요인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일반 유아의 아버지와 보다 더 애정적이며 자율성이 높지만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집단내에서 창의성에 특별한 영향을 더 미치는 아버지의 양육방식은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일반 유아의 경우 아버지의 성취지향성이 낮을 때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양육차원은 애정성이나 비성취지향성으로 나타나고 있어 정서적인 측면의 지원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지역사회SES, 부모양육태도, 아동의 학교적응과 공격성 (Community SES, parenting styles, and children' school adaptation and aggression)

  • 정소희;권유경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3호
    • /
    • pp.379-402
    • /
    • 2010
  • 본 연구는 지역사회SES에 따라 부모양육태도와 아동의 학교적응 및 공격성에 차이가 있는지, 또 지역사회SES는 부모양육태도를 통제한 후에도 학교적응 및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지역사회SES는 대구시 30세 이상 인구대비 대학교 이상(수료 및 중퇴 포함) 재학 및 졸업자 비율을 기준으로 상, 중, 하 세 가지로 나누었고 연구대상은 이 세 지역의 초등학생 4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지역사회SES에 따라 민주적 양육태도와 허용적 양육태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SES가 중간 이상인 지역의 학생들이 학교에 더 잘 적응하며, 공격성의 정도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SES에 따른 학교적응과 공격성의 차이는 부모양육태도를 통제하고서도 여전히 나타남으로써 지역사회SES가 가족효과를 넘어 아동에게 독립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구강보건 행동의 관련성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Child's Oral Health Behavior)

  • 노은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40-145
    • /
    • 2020
  • 본 연구는 구강관리습관이 형성되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에게 부모의 양육태도가 구강보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저학년 366명으로 하였고 연구도구는 본 목적에 적합하도록 수정·보완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초등학교 저학년 구강보건행동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애정적, 자율적, 합리적 양육태도가 구강보건행동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구강보건행동 영향 요인 확인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 하위변수인 애정-적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따라서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구강건강행동과 연관성이 있으므로 이를 접목하여 향상시킬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활성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혼가정자녀의 행동적응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과 아동의 이혼지각 분석 (Impact of Conflict and Nurturing Factors for the Divorced Parents on the Behavioral Adaptation of their Children)

  • 주소희;조성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4호
    • /
    • pp.215-238
    • /
    • 2004
  • 이혼가정자녀들의 부모이혼 후 적응방법을 찾기 위해 부모갈등, 부모양육태도 그리고 이혼에 대한 지각이 이혼 후 자녀들의 행동적응에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부모가 이혼한 가정의 자녀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사용해 분석되었다.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부모간 갈등은 부모의 양육태도와 이혼에 대한 지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아동의 행동문제에는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이혼지각에 직접 영향을 주며 아동의 행동문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나 총효과를 보면, 이혼지각에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양육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아동의 부모이혼에 대한 지각은 더욱 부정적으로 나타나며, 이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아동의 행동문제를 강력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아동의 이혼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파악된 현상을 근거로 이혼 후 자녀들의 행동적응을 위한 예방과 전략이 모색되었다.

  • PDF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의 우울감,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 관련 태도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HD CHILD MOTHER'S DEPRESSIVE MOOD,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RELATED ATTITUDE ON PARENTING BEHAVIOR)

  • 최윤영;조선미;홍성도;오은영;김지혜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3권1호
    • /
    • pp.153-162
    • /
    • 2002
  • 요 약: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우울감과 양육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및 역기능적 사고 등 양육 관련 태도가 부모의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특히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어머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방 법:대상은 DSM-Ⅳ 진단 준거에 의한 정신과 전문의의 소견과 심리학적 진단 평가 하에 주의력결핍과잉 행동장애로 진단된 아동 31명의 어머니였고 연령 범위는 28세에서 44세였다. 비교 집단으로는 동일 연령대의 정상 아동 51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령 범위는 32세에서 45세였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연령 범위는 6세에서 11세까지(남자 29명, 여자 2명)였고, 비교 집단은 선별 검사로 진단적 평가 척도(DRS)의 부모용과 교사용을 사용하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가 아닌 것으로 밝혀진 6세에서 11세까지의 아동(남자 21명, 여자 30명)이었다. 모든 아동의 어머니에게 우울감 및 양육 관련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부모용 질문지 배터리를 실시하였으며 Student's t-test와 상관 분석, 단계적,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상관분석에서 강압적 양육 행동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부모에게서 높게 나타났고, 양육 관련 태도도 더욱 부정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우울 역시 더 높게 보고되었다. 회귀 분석 결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역기능적 사고와 양육 효능감 그리고 어머니의 우울감은 강압적 양육행동의 50%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임이 밝혀졌는데, 어머니의 우울감이 강압적 양육 행동의 29%를 유의미하게 설명하고 있어, 우울감을 느끼는 경우 더욱 강압적 양육행동을 보일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따라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부모의 경우, 아동의 증상이 양육 스트레스를 야기하고, 높은 역기능적 사고와 낮은 양육 효능감으로 더욱 우울감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고 결국에는 아동에게 강압적 양육 행동을 나타내는 악순환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어머니의 경우, 높은 양육 스트레스와 낮은 양육 효능감 및 아동과의 관계에서의 역기능적 사고의 영향 뿐 아니라 부모 자신의 우울감이 강압적인 양육 행동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따라서 부모의 강압적인 양육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아동에 대한 역기능적 사고 및 양육 효능감을 다루어야 할 뿐 아니라, 부모의 우울감을 치료 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상해위험행동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Young Children's Injury Behavior)

  • 김혜금
    • 아동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1-54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young children's injury risk behavior by age and gender. Subjects were 161 3- to 5-year 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struments were the revised Parenting Attitudes Questionnaire (Reitman et al., 2002) and the Injury Behavior Checklist (Speltz et al., 1990). Data were analyzed by MANOV A. Results were that: 1) Fathers were more permissive to daughters; mothers were more permissive to younger children. 2) Older children had more injury risk behaviors than younger children; boys engaged in more injury risk behaviors than girls. 3) Fathers' authoritarian and mothers' permissive attitud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injury risk behavior, respectively. Fathers' and mothers' authoritative attitudes were negatively related to children's injury risk behavior.

  • PDF

유아의 연령 및 성별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The Effect of Parenting Style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 장영숙;강경석;김희정
    • 아동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53
    • /
    • 2003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arenting style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were examined by 3 factors : adaptation to school life,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ability to control emotions. Subjects were 195 three-,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differed as a function of children's age but not gender.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others among the prosocial behavio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mother's autonomous parenting style. Unexpectedly,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did not vary according to fathers' parenting style.

  • PDF

부모의 양육태도와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부모구성에 따른 다집단분석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lti-group Analysis on Parental Composition)

  • 허자연;이민영;이미경;엄정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61-176
    • /
    • 2020
  • 본 연구는 부모구성(부모, 한부모)에 따라 부모의 양육태도(감독, 애정, 합리적 설명)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아동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KCYPS 초4 패널 데이터에서 총 310명의 데이터를 활용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애정적 양육태도는 부모구성에 상관없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양육태도(애정, 감독)는 한부모가정 집단에서 자아탄력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부모가정 집단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애정적인 양육태도는 한부모가정 집단에서만 자아탄력성을 매개하여 자녀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아동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부모구성에 따라 그 양상이 달라짐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와 실무적 개입방법, 후속 연구에서의 방향성 등을 제시하였다.

부모의 행복과 자녀의 행복의 관계에서 긍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우울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happiness and children's happiness)

  • 김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469-479
    • /
    • 2022
  • 본 연구는 부모의 행복과 자녀의 행복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우울이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조사하였다.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 조사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1차 연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과 그 부모로부터 수집된 2,551부의 자료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가 느끼는 행복은 자녀가 지각한 긍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행복과 정적 상관이 있으며 자녀의 우울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의 행복은 긍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순차적으로 거쳐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행복하다고 지각하는 부모들이 자녀에게 따뜻하고, 구조를 제공하며 자율성을 지지해주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긍정적 양육태도는 자녀에게 자신이 가치 있는 사람이라는 믿음을 갖게 하여 우울을 낮추고 행복을 높이는 데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TV/비디오 시청 중재와 아동발달특성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s, Mediation of TV/Video Viewing and Child Development)

  • 문혁준
    • 아동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7-60
    • /
    • 2004
  • This survey of 659 mothers examined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s of over-protectiveness vs. active involvement and restrictive and/or evaluative TV/Video viewing mediation in relation to children's emotional, cognitive and social development.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Maternal over-protectiveness was highly associated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maternal active involvement with children wa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children's positive development. Furthermore, appropriate parental mediation of children's TV/Video viewing was related to children's higher cognitive and social ability as well as positive emotiona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