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동행동

검색결과 1,583건 처리시간 0.027초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es)

  • 백승영;선국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8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1권2호
    • /
    • pp.159-161
    • /
    • 2013
  •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다문화가정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사회적 심리적 요인들과 그들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는 점에 대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였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정서 행동문제에 대한 연구는 선행연구와는 달리 부모의 갈등과 양육태도, 정서 행동으로서의 내재화와 외현화 그리고 학교생활과 관련된 학교적응과 또래관계에 대해서 단편적이고 개별적인 변수들만의 관계만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인 차원에서 변수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PDF

걸음마기 아동의 행동억제 :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의 관계 (Temperament, Parenting, and Behavioral Inhibition of Korean Toddlers)

  • 정옥분;;박성연;윤종희;도현심
    • 아동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71-88
    • /
    • 2002
  • Mothers of 113 Korean toddlers completed Toddler Behavior Assessment Questionnaire(TBAQ) and Child Rearing Practice Report(CRPR). Observations of mother-child dyads in novel situations involving unfamiliar settings and adults assessed child's behavioral inhibition. Nonsocial inhibition were measured by the amount of time each child spent in physical contact with his/her mother in free-play episodes. Adult-social inhibition was based on child's behavior when an unfamiliar adult requested that the child approach her as she presented them with toys or activities. Results showed that TBAQ Social Fearfulnes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nonsocial and adult-social inhibition. TBAQ Pleasure was correlated negatively and TBAQ Anger Pronenes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ult-social inhibition. An interaction effect showed that child's social fearfulness and mother's overprotective behaviors affected adult-social inhibition.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31% of the variance.

  • PDF

가족 내의 위험 요인이 ADHD 아동의 행동 문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IAL RISK FACTORS ON THE BEHAVIOR PROBLEMS OF ADHD CHILDREN)

  • 김진희;유희정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2호
    • /
    • pp.195-200
    • /
    • 1999
  • 가족 내의 위험 요인들은 아동의 행동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정신과를 방문해 ADHD로 진단된 아동 29명과 정상 아동 180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족 내의 환경적 요인과 아동 의 행동 문제에 대한 평가 척도를 실시하였다. ADHD 아동의 자료는 내원 당일 작성해 제출하도록 하였으며, 정상 아동의 자료는 아동을 통해 부모에게 질문지를 배부 ${\cdot}$ 수거하였다. 정상 아동의 자료 중 응답 누락 등을 이유로 49명을 제외한 나머지 131명의 자료와 ADHD 29명의 자료를 분석에 포함시켰다. 연구 결과, 가족환경적 요인들 중에서 결혼만족도, 어머니의 상태-특질 불안, 우울감이 ADHD 집단과 정상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ADHD 증상에 대한 유의미한 설명력을 지녔다. 또한 이러한 가족환경적 요인들과 아동의 행동 문제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가족 내의 위험 요인들 중 결혼만족도, 어머니의 정서상태가 ADHD 증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에서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의 요인분석 (Factor Analysis of the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박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21-230
    • /
    • 2011
  • 이 연구는 요인분석을 통해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가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정서와 행동적 문제를 평가하는 도구로 타당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248명을 대상으로 K-CBCL을 측정하고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하고자 하는 요인 모델은 2요인 모델로 위축, 신체증상, 불안/우울의 내재화 문제와 비행과 공격성의 외현화 문제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K-CBCL의 2요인 모델의 적합도 지수는 표준화적합지수 .964, 비교 적합지수 .975, 근사오차평균자승이중근은 .091로 나타나 모델의 부합도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2요인 모델의 적합성을 확인한 후, 하위 요인들의 문항내적합치도를 알아보았다. 위축, 사회적 미성숙, 비행의 하위 요인의 문항내적합치도는 낮게 나타났으나,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총 문제행동 척도는 문항내적합치도가 적합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K-CBCL은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정서와 행동적 문제를 평가한 도구로 타당한 도구임을 논의하였다.

학령기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Stress-Coping Behaviors in School-Aged Children)

  • 문영숙;한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417-425
    • /
    • 2016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연구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5월 12일부터 5월 23일까지 였으며 D시에 있는 초등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분석결과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은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아동의 긍정적인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는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중재가 필요하다.

음악적 단서 및 후속 자극에 따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 비교 (Analysis of Joint Attention Behavior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pending on the Type of Attentional Cue and Reinforcing Stimulus)

  • 김온유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1권1호
    • /
    • pp.69-87
    • /
    • 2024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 아동을 대상으로 음악적 단서 및 후속 자극에 따른 공동주의 반응 행동이 달라지는지 알아보고, 비장애(neurotypically developing, 이하 NT) 아동 그룹과 비교하는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3세에서 5세 사이의 ASD 아동 13명과 NT 아동 14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의 반응을 유도하는 단서(음악적 단서 대 언어적 단서)와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에 대한 후속 자극(언어 자극 대소리 자극 대 음악 자극)을 구성하고 총 6가지 과제 조건을 2회씩 총 12회 제시하였다. 먼저, 주의 유도 단서를 제공하고 3초 이내 대상자의 주의 전환을 평가하였고 대상자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이 나타난 경우, 후속 자극을 제공하였으며 후속 자극을 제공하는 동안 대상자의 사회적 참조 행동의 발생 빈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의 유도 단계에서는 음악적 단서를 제공했을 때 ASD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 수준을 높게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일치한 결과를 보였다. 이어 후속 자극 제공 단계에서는 음악 후속 자극이 ASD 아동의 사회적 참조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음악 후속 자극이 단서로서의 감각자극에서 나아가 대상자로 하여금 타인의 사회적, 정서적 정보를 이해하고 반응하도록 유도하는데 그 적용 범위가 확장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ASD 아동의 공동주의 행동 이후 제공하는 후속 음악 자극이 효과적인 사회적 강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동의 성, 기질, 행동억제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순종행동간의 관계 (Toddler's Compliance as a Function of Gender, Temperament, and Inhibition of the Child, and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s)

  • 박성연;케네스 루빈;정옥분;윤종희;도현심
    • 아동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17
    • /
    • 2007
  • Participants in this study on links between toddlers' compliance and variables were 97 toddlers and their mothers. Instruments were the Toddler Behavior Assessment Questionnaire (Goldsmith, 1988) and the Child Rearing Practice Report-Q Sort (Block, 1981). Toddlers' compliance was observed on clean-up and behavior-delay tasks. Data analysis was by logistic and regression analyses. Results on the clean-up task indicated lower compliance by difficult children and higher compliance by girls. On the behavior-delay task, boys with less difficult temperament showed higher compliance by mother's higher punishment attitudes, whereas highly difficult boys were more compliant by mother's lower punishment attitudes. Girls' compliance was higher than boys in the low inhibition group whereas boys' compliance was higher than girls in the high inhibition group.

  • PDF

심리운동프로그램의 참여가 융합적 차원에서 정서·행동장애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우울감 및 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sychomotor by the emotional behavior disorder(ADHD) children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Depression or Hyperactivity in terms of convergence)

  • 김해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571-578
    • /
    • 2015
  • 본 연구는 정서 행동장애(ADHD)아동을 대상으로 심리운동참여가 자아존중감과 우울감 및 과잉행동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결과 자아존중감, 우울감에서 집단간 주 효과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과잉행동에서는 집단간 주 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아존중감, 우울감, 과잉행동에서 측정시점에 대한 주효과와 측정시점과 집단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심리운동참여는 정서 행동장애(ADHD)아동의 자아존중감, 우울감, 과잉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운동이 아동의 움직임 발달만이 아니라 융합 차원에서 정서발달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고려할 때, 정서 행동장애 아동은 심리운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놀이참여 수준과 공감능력, 대처행동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Participation in Children's play, Empathy Ability and Coping Behavior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조미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43-352
    • /
    • 2020
  •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놀이참여 수준과 공감능력, 대처행동을 알아보고 그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8년 5월부터 8월까지 장애아동 어머니 94명을 대상으로 놀이유형별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 공감능력, 대처행동에 대한 설문을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장애아동 어머니는 놀이유형 중 자녀와의 신체놀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정서적 공감능력이 인지적 공감능력에 비해 높으며, 자녀를 위해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대처행동을 보였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중 자녀가 치료받은 기간이 1년 이상~2년 미만일 때 놀이참여 수준과 대처행동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자녀가 치료받은 기간이 길수록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높았다. 또한, 장애아동 어머니의 놀이 참여 수준과 공감능력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공감능력과 대처 행동은 강한 양적 선형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장애아동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놀이참여 수준, 공감능력, 대처행동에는 차이가 있으며, 장애아동 어머니의 놀이참여 수준이 높을수록 공감능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개별화된 중재가 제공될 때 장애아동 어머니의 특성을 고려한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