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화 학습

Search Result 39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치위생과 전공심화과정을 위한 학습자 요구분석 및 결과활용 사례 (Analysis of learner needs for advanced dental hygiene major courses)

  • 정영란;최혜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93-20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eds of learners in an advanced major course in a bid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it's also meant to suggest an actual case of that effort in an advanced cours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largest number of the learners who signed up for the advanced course chose that course to earn a bachelor's degree, and the second greatest group did that to bolster their expertise. The name of the college that offered that course (41.4%) had the most impact on their choice of it, followed by accessibility(28.6%). The most common thing they practiced in the oral health education course as one of major courses was forming a lesson plan, followed by teaching at schools and kindergartens, trial student teaching, producing PPT, making OHP materials, making a bulletin board and producing leaflets. During clinical activities for oral health education, the largest group considered it necessary to learn about more theories on educational psychology(54%), followed by the production of teaching media(29.9%) and teaching methods(25.3%). Likewise, the greatest group found it more necessary to practice educational psychology(42.5%), followed by the utilization of media(37.9%) and teaching methods(28.7%). An one-on-one interview was implemented before and after their classes to obtain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their needs, and what their needs were in relation to the given curriculum was eventually confirmed, which made it possible to offer better education in response to their needs.

  • PDF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 운영실태와 학생 반응분석

  • 문경근;박일영;박수경;정권순;추봉욱;곽미용
    • 한국영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5-166
    • /
    • 2003
  • 2002년 3월부터 영재교육법 시행령이 적용됨에 따라 과학기술부에서는 교육인적자원부, 부산광역시 교육청과의 협약을 통하여 부산과학고등학교를 과학영재학교로 지정하였으며 2003년 3월 신입생 입학 이후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과학영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맞춤식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지식기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인 과학영재를 육성하려는 과학영재학교의 설립목적에 부합되도록 계획, 운영, 평가되기 위해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운영 전반에 대하여 점검 및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과학영재학교 운영상의 주요 측면인 교육과정 운영 분야에 대하여 그 실태와 학생 반응을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기본 방침은 과학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와 논리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태도를 통하여 지식을 창출하는 자기 주도적 탐구자의 양성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편제는 교과, 자율연구, 위탁교육 및 특별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교과에는 국어, 사회, 외국어, 예체능을 포함하는 보통교과와 수학, 과학, 정보과학을 포함하는 전공교과가 있다(과학영재학교 교수요목안내서, 2003).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편제, R&E, 교수학습 및 평가의 하위 영역별로 그 실태와 각 영역별 학생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심화 선택과목의 학점 비중을 더 높여야한다는 의견과 보통교과의 학점을 줄이고 전공교과의 학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 학생들이 과학영재학교 선발과정에서 수학, 과학 각 분야별 우수자로 선발된 경우가 많아 학생 개인적으로 자신감을 가지는 과목만 집중적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의도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영재교육과정의 운영지침(이상천, 2002)에 의하면, 대학 수준의 내용을 그대로 도입하는 속진보다 창의성과 사고력 계발에 보다 충실할 수 있도록 내용의 폭을 넓히고 접근방법을 달리하는 심화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은 창의성 교육의 구현보다는 압축형 속진 교육과정의 특성이 강하여, 이와 같은 운영지침을 실현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므로 교육과정 편제의 개선이나 운영지침에 적합한 교육내용의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R&E(Research & Education)는‘연구를 통한 교육’,‘교육을 통한 연구’를 의미하며 과학영재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자율연구와 위탁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 PDF

이러닝 강의를 수강하는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관계 규명 (A relationship among task value, academic self-efficacy, motiv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a college e-learning course)

  • 유지원;강명희;김은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81-95
    • /
    • 2013
  • 불필요하게 학습이나 과제수행을 미루는 학업지연행동은 국내외 대학생들에게 만연한 문제로 다루어진다. 본 연구는 이러닝 수업에서의 학업지연행동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자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선정하여 이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학업지연행동의 선행요인으로 지각된 과제가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율동기, 자기조절학습을 선정하여 모형을 상정하였다. 국내 대학에서 이러닝 강의를 수강한 212명의 자료로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제가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율동기와 자기조절학습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율동기는 자기조절학습의 매개로, 자기조절학습은 직접적으로 학업지연행동 감소에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학업지연행동 경감시킬 이러닝 교수-학습전략을 논의하였다.

  • PDF

이기종 플랫폼을 지원하는 온톨로지 기반 스마트러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to Support Cross-Platform Smart Learning System based on Ontology)

  • 전승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60-963
    • /
    • 2013
  •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의해 교육은 스마트러닝으로 접어들고 있다. 학습자는 종이책을 내려놓고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학습을 하고 있으며, 이 순간에도 수없이 많은 플랫폼에 각각 들어맞는 학습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플랫폼 종속적인 시스템이 이기종 플랫폼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며, 시스템이 보유하고 있는 학습 콘텐츠의 양이 많아질수록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화된다.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학습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이기종 플랫폼을 지원하는 러닝 시스템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존재하는 수많은 학습 콘텐츠를 불필요한 중복 없이 통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학습 콘텐츠를 통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대안으로 온톨로지 기반의 메타데이터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활용해 이기종 플랫폼을 지원하는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 PDF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와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Images of Science Teaching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Formation)

  • 유지연;강훈식;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4-106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DASTT-C(Drawing-A-Science-Teacher-Test Checklist)를 이용하여 국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와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조사했다. 3개 교육대학을 선정한 후, 과학 심화전공과 비과학 심화전공의 2학년 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1학기 초에, 4학년 학생 183명들을 대상으로 2학기 초에 DASST-C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과학 심화전공의 경우 2학년 보다 4학년 학생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가 더 학생 중심에 가까웠다. 그러나 비과학 심화전공의 경우에는 2학년과 4학년 학생들의 DASTT-C 점수 차이가 전체 및 모든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심화전공과 관계없이 2학년 학생들은 초 중등 교육과정에서의 교수 학습 경험을 제시했으나, 4학년 학생들의 경우에는 과학교육 관련 과목의 내용이나 교수 방식, 교육실습에서의 실제 수업이나 참관 경험 등을 제시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Viscuit을 활용한 코딩 교육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Coding Education using Viscuit)

  • 황서진;채지선;김지현;박성빈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10
    • /
    • 2018
  • 본 연구는 일본에서 제작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Viscuit의 장점들을 소개하고, 코딩 입문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특히 일본어에 대한 지식 없이도 본 연구에서 제작된 사용 안내서와 심화학습서만을 이용하여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쉽게 코딩에 대해 친숙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Viscuit은 잘 알려진 Scratch나 LightBot과 같은 언어에 비해 인지도는 낮은 편이지만 아주 간단하게 그림들을 조작하여 쉽게 코딩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해 주어서 학습자들에게 유용한 코딩 입문 수단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코딩 교육 성취도 향상을 위한 드론 기반 체감형 SW 교육 모델 설계 (Design of Drone-based Experiential SW Education Model for Improving Coding Education Achievement)

  • 이현서;김현지;이주현;백윤지;김중완;하옥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537-538
    • /
    • 2021
  • 코딩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국가 주도적 교육이 강화되고 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이 낯선 교육생을 위해 교육 커리큘럼에 블록 코딩을 도입하고 있으나 낮은 흥미도로 인해 여전히 교육 성취도가 낮게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고 학습을 보조하는 드론 기반의 체감형 교육 프로그램모델을 제시한다. 제시하는 교육 모델은 사용자가 코딩한 블록 코드를 파이썬 코드로 변환하여 보여주고, 블록 코드로 첨부된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코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심화학습을 위해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갑 컨트롤러를 통해 드론과 연관하여 동작 제어가 가능하게 하여 흥미 유발과 더불어 학습 효과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중학교 수학교과서가 학생에게 제공하는 함수 학습기회 탐색 (Exploring How Middle-School Mathematics Textbooks on Functions Provide Students an Opportunity-To-Learn)

  • 김구연;전미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2호
    • /
    • pp.289-317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함수 단원에서 학생에게 어떠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지를 탐색한다. 구체적으로, 교과서가 제시하는 수학 내용과 실행, 수학 과제의 인지적 노력수준, 학생 응답의 유형, 문제 상황의 형태 및 특징 등의 측면을 탐구하여서 교과서가 학생들에게 어떠한 학습기회를 제안하며 구조화하는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교과서 3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교과서가 학생에게 제공하는 함수에 대한 학습기회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절차적 지식과 개념 간의 연결성이 매우 약하며 함수의 내용 간의 의미를 연결하는 기회가 매우 제한되어 있다. 둘째, 학생들은 함수를 정의, 규칙, 법칙만으로 학습하게 되며 예제와 수학과제를 통해서 계산의 절차 수행을 반복적으로 경험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셋째, 학생들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대해서 수학적으로 설명하거나 추론하는 과정을 경험할 가능성이 매우 적다. 넷째, 수학과제와 상황과제를 통해 학생의 인지적 사고 과정이 확장되거나 심화되기 보다는 분절적이고 파편화된 지식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여지가 많다.

대학생의 학습동기 촉진을 위한 ARCS 평가모형의 타당화 검증 (Validity Verification of ARCS Evaluation Models for Promoting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 김미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77-91
    • /
    • 2017
  • 학습동기 저하로 인해 중도탈락과 대학생활 부적응이 심화되어 가고 있기에 학습동기촉진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J 지역대학에 재학 중인 학습자 273명(남 116, 여 157)을 대상으로 Keller(1983)가 제안한 ARCS 평가모형이 동기수준을 평가하는데 타당한 모형인지 탐색적 차원에서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평균통계량, 일원분산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ARCS 요인별 동기수준은 관련성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년별의 경우 1학년 및 3학년 학생에 대한 ARCS 동기수준은 적절했다. 학년별로 '주의집중'과 '관련성' 경우만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1학년 집단이 2학년 집단에 비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동기수준 측정을 위한 구성타당도 및 수렴타당도가 확보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도 변인의 평균분산추출지수(AVE) 및 복합신뢰도(CR)가 적절하였으며, 모형적합도도 양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 연구의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수학학습 부진아 지도방안으로써의 수학일지 쓰기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as a Method of Improving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s for Underachieve Students)

  • 김홍찬;이정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525-548
    • /
    • 2010
  • 수학 과목은 위계성이 강하기 때문에 조금씩 생긴 수학에 대한 결손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욱 깊어지고 심화된다. 이에 수학학습 부진학생들은 수학 수업이 더 어렵게 느껴지고 흥미 는 떨어지고 있다. 교육과정도 학습자 위주의 교육을 지향하고 있지만 아직은 교사중심으로 수학수업이 이루어지며 학생과 교사 사이에 서로의 의견을 주고받을 방법이 특별히 없는 것 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학습 부진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를 변화시키고 수학성취 도 향상을 꾀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수학일지 쓰기를 택하였다. 중학교 1학년 학생들 중 수학 성취도가 40% 미만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6주간의 수학일지를 쓰기를 실시한 후 수학일지에 대한 반응, 수학성취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로 수학일지 쓰기가 학생들에 게 능동적이고 능률적인 학습태도와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함으로써 수학 성취도에 향상을 가져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