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리적독립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28초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 및 심리적 독립심 지각과 신혼기 결혼적응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The Study Effect to Attachment to Family-of-origin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on Newly-Wedded Marital Adjustment)

  • 임유진;박정윤;김양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5호
    • /
    • pp.143-154
    • /
    • 2008
  • This study focused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its, which has effect on the newly.wedded marital adjustment.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analyzing attachment to parents,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newly.wedded marital adjust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explored the relationships influences among these influences thing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6 in the newly-wedded couples with less than 5 years since of marriag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f differences in marital adjustment according to attachment to parents revealed that, the group with stable attachment to parents showed the more a smoother adjustment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spouses after marriag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marital adjustment according to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indicated that, the higher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showed the related to higher marital adjustment.

남녀 대학생의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이성관계에서의 갈등해결전략 및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on Conflict Solving Strategies for Dating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 김세영;최나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9호
    • /
    • pp.35-45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their parents on conflict solving strategies for dating relationships and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were 231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male students were more psychologically separated from their mothers than female students. When living with parents, students were more psychologically separated from their fathers than their mothers. Secondly, the more independent students were from psychological conflict with their mothers, the less negative strategies they used in conflicts during dating. The closer female students were with their mothers, the more positive conflict solving strategies they used. Thirdly, the students who were freer from conflict with their mothers experienced higher satisfaction with emotional communication when dating. In conclusion,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was confirmed to be a variable influencing both the effective use of the conflict solving strategies and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미혼 성인자녀의 부모-자녀 간 유대감과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심 지각이 결혼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Perception on Marriage Attitudes of Single Males and Females)

  • 박정윤;김예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13-24
    • /
    • 2010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relation the effects of parent-children relationship on marriage attitude among unmarried persons and to utilize the findings as source material in assessing changes to marriage and family value. In total 654 unmarried persons above the age of 20 in this study. A survey format was used to asked questions, and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and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SPSS(Version 15.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mong socioeconomic variables, religion was significantly relate to marriage attitude(p < .001).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marriage value(p < .05). Specifically, high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mother, and relationship with father was related to more positive marriage attitudes. Finally, effective socioeconomic variables in marriage attitude were religion, job,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mother and father.

여성의 경제활동 의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박순정;하규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7-202
    • /
    • 2020
  • 본 연구는 여성들의 경제활동의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로 여성들의 경제활동의욕과 창업의도에 대한 영향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독립변수로는 심리적특성과 준비도, 동기, 업무경험, 네트워크 역량, 차별인식, 일에대한 인식. 지원 제도, 재산상태 인식, 가족지지로 하였고, 종속변수로는 경제활동 의욕과 창업의도로 설정하였다. 여성의 경제활동 의욕과 관련하여 선행연구 및 정책적 자료들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인 개념을 정립하고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선택된 연구의 변수들인 심리적특성과 준비도, 동기, 업무경험, 차별인식, 지원제도등 경제활동 의욕과 창업의도들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의미 있는 이론적 및 정책적 시사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과학수업의 심리적 학습 환경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s in science instruction)

  • 박현주;서호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92-500
    • /
    • 2009
  • 이 연구는 과학수업의 심리적 학습 환경에 대한 중학생과 교사들이 인식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503명과 담당 과학교사 16명이었다. 연구자료는 '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 환경 측정도구(PLEIS)'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학생과 교사의 인식과 성별 인식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독립표본 T-검증을,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을 하였다. 중학생들의 과학 수업의 심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은 성별, 과학성취도, 과학선호도, 자아효능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과학교사들의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학생들과 과학교사들간의 인식 차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교사가 과학수업의 심리적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을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독림가(篤林家)의 임목벌채의식(林木伐採意識)과 연관변수(聯關變數) (Model Forest Owner's Attitudes toward Tree Felling and Related Variables)

  • 조응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7-23
    • /
    • 1983
  • 독림가(篤林家) 83명(名)을 대상으로 종속변수(從屬變數)로서의 벌채의식수준(伐採意識水準)을 수량화(數量化)하는 동시에, 이에 영향(影響)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6가지 독립변수(獨立變數)와의 관계를 개별적(個別的), 종합적(綜合的)으로 분석(分析)하고, 각(各) 독립변수(獨立變數)가 종속변수(從屬變數)의 변량(變量)에 미치는 영향력(影響力)의 상대적(相對的) 중요도(重要度)를 구명(究明)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독림가(篤林家)의 벌채성향(伐採性向)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年齡), 전달매개변수(傳達媒介變數) 및 사회심리변수(社會心理變數)가 낮을수록, 그리고 교육수준(敎育水準)과 사회경제적(社會經濟的) 지위(地位)가 높을수록 벌채욕망(伐採慾望)은 더욱 커지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2) 종속변수(從屬變數)와 6개(個) 독립변수(獨立變數) 사이의 중상관계수(重相關係數)는 0.5322로서 매우 유의적(有意的)이었으며, 이들 독립변수(獨立變數)는 종합적(綜合的)으로 종속변수(從屬變數)의 변량(變量)을 28.3% 설명(說明)할 수 있다. 종속변수(從屬變數)에 대한 각(各) 독립변수(獨立變數)의 상대적(相對的) 영향력(影響力)은 전달매개변수(傳達媒介變數)가 13.1%, 사회심리변수(社會心理變數)가 6.3%, 연령변수(年齡變數)가 6.1%이다. 3) 전달매개수단(傳達媒介手段)을 상면적(相面的), 정보원(情報源) 및 사회참여(社會參與) 및 대량전달매개수단(大量傳達媒介手段)과의 접촉(接觸)으로 세분(細分)하여, 이들 독립변수(獨立變數)와 종속변수(從屬變數)와의 단순상관계수(單純相關係數)를 계산(計算)하였더니 모두 매우 유의적(有意的)인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냈다. 이러한 3개(個) 독립변수(獨立變數)는 종속변수(從屬變數)의 변량(變量)을 16.4% 설명(說明)할 수 있으며, 이것은 상면적(相面的) 정보원(情報源)에 의하여 8.8%, 사회참여(社會參與)에 의하여 4.7%, 대량전달매개수단(大量傳達媒介手段)에 의하여 2.9% 설명(說明)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사회심리변수(社會心理變數)를 7가지 성격변수(性格變數)로 나누어 종속변수(從屬變數)와의 관계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독림가(篤林家)의 벌채성향(伐採性向)은 운명적(運命的), 불신적(不信的), 무의욕적(無意慾的) 성격(性格)을 지니고 있을수록 크고, 보수적(保守的) 성격(性格)일수록 작게 나타났다. 종속변수(從屬變數)와 7개(個) 성격변수간(性格變數間)의 중상관계수(重相關係數)는 0.5461 로서 매우 유의적(有意的)이었다. 7개(個) 성격변수(性格變數)는 통합적(統合的)으로 종속변수(從屬變數)의 변량(變量)을 29.8% 설명(說明)할 수 있으며, 상대적(相對的) 영향력(影響力)이 큰 성격변수(性格變數)는 불신적(不信的) 성격(性格)이 11.1%, 무의욕적(無意慾的) 성격(性格)이 10.8%로 나타났다.

  • PDF

스마트폰의 심리적 파워에 의한 의사결정 요인 탐색 (Exploring the Factors of Decision Making by the Psychological Power of Smartphone)

  • 박소영;김민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197-20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탐구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친밀감, 개인연결성, 사용 및 의존성, 친숙함 및 전문성, 효능 및 효과, 자아정체성, 제어 등을 독립 변수로 설정하고 의사 결정을 종속 변수로 설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자 200명을 설문지를 통해 수집 분석하였으며, 변수간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Smartpls 3.0을 사용하였다. 스마트폰 사용자의 심리적 강도에 영향을 준 6가지 요인 중 5가지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조절변수로서의 사용 기간 등이 심리적 영향과의 관련성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 분석 결과는 이전에 스마트폰의 심리적 영향에 대한 요인들에 연구가 미진한 가운에 스마트폰 기기의 발전 형태의 소비자 행동 기반이 될 수 있고,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시스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도심 가로정원의 심리적 회복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treet Gardens on Psychological Restoration)

  • 권현숙;함연경;김혜령;윤희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5-51
    • /
    • 2017
  • 가로정원은 서울시 가로환경 개선 사업의 일환으로, 보행자들에게 심미적 만족과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기 위한 휴식공간으로 설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가로정원이 이용자의 심리적 향상을 돕는지 고찰하기 위해, 가로정원과 이에 상응하는 비교대상지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서울시에 위치한 총 9개의 가로정원 중 강남대로, 디지털로, 테헤란로에 설치된 가로정원을 대상지로 선택하였으며, 비교대상지로는 동일 대로상에 위치하며 물리적 환경이 유사하나 가로정원 사업이 시행되지 않은 3개의 장소를 선정하였다. 설문은 주의회복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 ART)을 근거, '매력감(Fascination), '벗어남(Being away)', '짜임새(Coherence)', '규모(Scope)'를 중심으로 구성된 회복환경지각척도-11(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11) 질문과, 심리적 회복을 유도한 설계 요소를 묻는 질문으로 구성하였고,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로정원은 이용자들의 심리적 회복에 비교적 긍정적 효과를 미치며, 특히 이용자들에게 매력감과 흥미로움을 부여한다고 나타났다. 그러나 가로정원은 이용자들에게 고단한 현실에서 벗어나는 듯한 느낌을 주지 못하여 심리적 향상효과의 한계를 드러냈다. 심리적 회복효과를 유도한 가로정원의 물리적 요소는 나무벤치, 나무, 꽃으로 나타나, 자연적인 요소가 인공적 요소보다 심리적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심리회복 이론에 부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가로정원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계획 및 설계 가이드라인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어린이, 청소년 게임 이용자의 심리적 특성이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xploring the Links between Psychological Traits and Game Immersion in a Children and Adolescent Sample)

  • 박조원;정헌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665-67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실시한 "게임과몰입 종합 실태조사" 원자료의 2차 분석을 통해 심리 특성이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심리 특성은 정서안정, 자존감, 의지력, 행복감이라는 4개 유형으로 구분되며 연령, 성별, 경제수준, 여가활동 다양성, 친구/가족 관계, 게임이용시간과 함께 독립변인으로 하여 심리불안, 대인관계지장, 일상생활지장, 게임시간 및 욕구통제력 상실이라는 4개의 과몰입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리 유형과 인구학적 변인, 게임 이용시간, 친구/가족 관계, 여가활동의 다양성 등이 게임 과몰입에 상당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 유형 중 정서적 안정과 자존감 순으로 부(-)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정서적 안정과 자존감 제고가 게임 과몰입의 위험성을 줄이는데 중요한 요소가 됨을 의미한다. 이를 토대로 어린이, 청소년의 게임 과몰입 문제 해소를 위한 방안들이 논의되었으며 후속 연구 아이디어가 제시되었다.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Therapist's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 Yoon, Hye-Jeong;Moon, Kyung-Ry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137-14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물리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 있어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의 실증 분석 결과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독립변인으로는 직무스트레스를, 조절변수로는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종속변인으로는 심리적 소진을 설정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변인 간의 효과 및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155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자기효능감,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변인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물리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물리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