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l Forest Owner's Attitudes toward Tree Felling and Related Variables

독림가(篤林家)의 임목벌채의식(林木伐採意識)과 연관변수(聯關變數)

  • Received : 1983.06.02
  • Published : 1983.06.30

Abstract

Total 83model forest owners in Korea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ttitudes toward tree felling (or propensity to felling) and selected six independent variables, i.e, owner's age(X1), educational level(X2), forest land area (X3), socioeconomic status (X4), communication (X5) and sociopsychological factor(X6). The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by Liken attitude scale, and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gree of the propensity of felling is relatively high. The communication and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are negatively, but education level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dependent variable. 2) The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felling-attitude score and six independent variables is 0.5322. Of the variance of this sttitude score, about 13 percent can be explained by communication variable, 6 percent by sociopsychological variable and other 6 percent by age variable. 3) The model owners' attitudes toward felling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re sources of communication variable, i.e. personal contact, social participation and mass media contact. The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felling-attitude score and three sources of communication variable is 0.4049. This means that 16 percent of the variance of the attitude score can be explained by three sources of communication, that is, 9 percent by personal contact, 5 percent by social participation and 3 percent by mass media. 4) The fatalistic, untrustful and non-ambitious personalities were positively, but conservative personality negatively related to the propensity to tree felling. The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even different personaliti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0.5461. Of the variance of the dependent variable, 11 percent can be explained by untrustful personality, and other 11 percent by nonambitious personality.

독림가(篤林家) 83명(名)을 대상으로 종속변수(從屬變數)로서의 벌채의식수준(伐採意識水準)을 수량화(數量化)하는 동시에, 이에 영향(影響)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6가지 독립변수(獨立變數)와의 관계를 개별적(個別的), 종합적(綜合的)으로 분석(分析)하고, 각(各) 독립변수(獨立變數)가 종속변수(從屬變數)의 변량(變量)에 미치는 영향력(影響力)의 상대적(相對的) 중요도(重要度)를 구명(究明)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독림가(篤林家)의 벌채성향(伐採性向)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年齡), 전달매개변수(傳達媒介變數) 및 사회심리변수(社會心理變數)가 낮을수록, 그리고 교육수준(敎育水準)과 사회경제적(社會經濟的) 지위(地位)가 높을수록 벌채욕망(伐採慾望)은 더욱 커지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2) 종속변수(從屬變數)와 6개(個) 독립변수(獨立變數) 사이의 중상관계수(重相關係數)는 0.5322로서 매우 유의적(有意的)이었으며, 이들 독립변수(獨立變數)는 종합적(綜合的)으로 종속변수(從屬變數)의 변량(變量)을 28.3% 설명(說明)할 수 있다. 종속변수(從屬變數)에 대한 각(各) 독립변수(獨立變數)의 상대적(相對的) 영향력(影響力)은 전달매개변수(傳達媒介變數)가 13.1%, 사회심리변수(社會心理變數)가 6.3%, 연령변수(年齡變數)가 6.1%이다. 3) 전달매개수단(傳達媒介手段)을 상면적(相面的), 정보원(情報源) 및 사회참여(社會參與) 및 대량전달매개수단(大量傳達媒介手段)과의 접촉(接觸)으로 세분(細分)하여, 이들 독립변수(獨立變數)와 종속변수(從屬變數)와의 단순상관계수(單純相關係數)를 계산(計算)하였더니 모두 매우 유의적(有意的)인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냈다. 이러한 3개(個) 독립변수(獨立變數)는 종속변수(從屬變數)의 변량(變量)을 16.4% 설명(說明)할 수 있으며, 이것은 상면적(相面的) 정보원(情報源)에 의하여 8.8%, 사회참여(社會參與)에 의하여 4.7%, 대량전달매개수단(大量傳達媒介手段)에 의하여 2.9% 설명(說明)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사회심리변수(社會心理變數)를 7가지 성격변수(性格變數)로 나누어 종속변수(從屬變數)와의 관계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독림가(篤林家)의 벌채성향(伐採性向)은 운명적(運命的), 불신적(不信的), 무의욕적(無意慾的) 성격(性格)을 지니고 있을수록 크고, 보수적(保守的) 성격(性格)일수록 작게 나타났다. 종속변수(從屬變數)와 7개(個) 성격변수간(性格變數間)의 중상관계수(重相關係數)는 0.5461 로서 매우 유의적(有意的)이었다. 7개(個) 성격변수(性格變數)는 통합적(統合的)으로 종속변수(從屬變數)의 변량(變量)을 29.8% 설명(說明)할 수 있으며, 상대적(相對的) 영향력(影響力)이 큰 성격변수(性格變數)는 불신적(不信的) 성격(性格)이 11.1%, 무의욕적(無意慾的) 성격(性格)이 10.8%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