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시설계

검색결과 9,445건 처리시간 0.046초

설계VE에서 기능정의를 위한 절차 및 방안 (Procedures and Strategies for a Function Definition in the Design Phase VE)

  • 이현종;박인우;현창택;구교진;홍태훈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51-156
    • /
    • 2007
  • 2006년부터 VE 대상프로젝트가 확대되고,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단계에 각 1회씩 설계VE를 적용토록 규정되어 설계단계별로 VE가 각각 적용되는 프로젝트가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원가절감과 성능향상으로 프로젝트 가치를 높인 설계VE 사례도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단계의 조건에 적합한 VE 수행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고 참여자들의 경험과 이해가 부족하여 단계별 설계VE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설계단계와 실시설계단계로 나누어 VE를 수행한 실무사례를 분석하여 기능정의와 아이디어 창출간의 연관관계 및 각 설계단계에서 기능정의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과적인 설계VE를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설계프로세스의 흐름에 맞추어 기본설계에는 공간기능에 대하여하고 실시설계에는 부위에 대하여 기능정의를 수행한다. 이때 상위의 레벨에는 하위의 레벨의 기능정의가 연계되는 기능분류체계 (FBS : Function Breakdown Structure)를 제안하였다. 둘째,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단계의 기능정의를 수행하는 프로세스 (FDP : Function Definition Process)를 제안하였다. 셋째, 실시설계단계에서는 부위별 요구 성능 평가 매트릭스 (EFM : Element Function Matrix)를 적용하여 기능정의와 아이디어 창출이 연계되도록 하였다. 설계VE의 주요 부분인 기능정의 과정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설계VE의 수행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공공기관 발주 대형건축공사 실시설계 기간에 대한 분석 및 개선방안 -2009년부터 2014년까지 공공발주 맞춤형 서비스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Duration of the Construction Document Phase of Large Public Building Projects Delivered by the Total Solution Service from 2009 to 2014)

  • 정우영;이태원;이풍욱;이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89-97
    • /
    • 2015
  • 실시설계도서의 품질은 시공, 그리고 운영 및 관리단계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적절한 실시설계기간의 확보는 실시설계도서의 품질을 위해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조달청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발주된 총 42개의 건설프로젝트의 실시설계단계의 기간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의하면, 실제 실시설계기간은 계획 실시설계기간보다 1.33배에서 1.79배가 소요되었다. 계획 실시설계기간은 건설교통부 제2000-235호에서 고시하고 있는 방식대로 공사금액에 의해 산정하고 있었지만, 실제 실시설계기간은 공사금액과 아주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실무자들과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공사금액이 실시설계기간과 낮은 상관관계를 보인 것은 이들에게 아주 잘 알려진 사실이었다. 그들은 공사의 복잡도, 설계변경의 정도, 그리고 발주처의 성향에 따라서 실시설계기간이 크게 좌우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따라서, 실시설계도서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소들을 실시설계기간 산정에 적용하여 적절한 기간을 산정해야하며, 고품질의 실시설계도서는 건설산업에 긍정적 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실시간 객체지향 시뮬레이션 설계 방법 (Design Method for Real-Time Object Oriented Simulation)

  • 오영배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1998년도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98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0
    • /
    • 1998
  • RTO(Real-time Object) 모델로 불리는 실시간 객체지향 모델은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실시간 제어기 및 이의 응용 환경 시뮬레이터를 정밀하게 표현하는데 유용한 모델로 정착되었다. 이 모델은 실시간 분산 컴퓨터 시스템과 이의 응용 환경에 대한 실시간 시뮬레이터를 통합적으로 설계하는데 강력한 표현력을 보여주고 있다. RTO 기반의 접근 방법에 의한 통합 설계는 RTO로 불리는 객체의 네트워크 형태로 표현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설계 방법을 자동판두께제어기(Automatic Gauge Controller, AGC)라고 불리는 실시간 분산 시스템의 설계 사례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AGC 시스템은 압연공정 제어기로서 압연공정 실시간 시뮬레이터의 소재 이송 및 압하 공정을 제어한다. 설계과정을 통해서 실시간 분산 시스템 명세의 추상화 방법에 대하여 논하고, 네트워크의 구축 과정을 통한 시뮬레이션 모델의 정밀한 표현 방법을 제시하며, RTO의 분산구조 및 명확하고 엄밀한 실시간 설계 방법에 대하여 논한다.

  • PDF

사례 분석을 통한 턴키 프로젝트 실시설계 업무 관리방안 (Design Development Management in the Design-Build Project by Cast-Study)

  • 이황구;김영재;김경래;박찬식;신동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128-136
    • /
    • 2003
  • 턴키공사의 업무수행체계는 기본설계, 입찰, 낙찰, 실시설계, 계약, 시공, 사업물 인도와 같은 절차로 구성되어 있다. 턴키발주 공사의 프로세스 중 이러한 설계업무는 일괄계약자인 기존의 건설회사에서 담당하지 않은 생소한 부분의 업무이다 이 중 실시설계 적격자 선정이후단계에서 계약단계까지의 과정에 해당하는 실시설계단계에는 사업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조정 및 최종결정과 관련된 업무가 존재하므로 사업성패에 상당히 중요한 단계로 여겨지고 있으나, 기존의 시공단계의 관리업무만을 수행하던 일괄 사업자에게는 현실적으로 다소 생소한 업무분야이다 현재 국내 턴키공사에서는 실시설계단계에 대한 체계적이지 못한 업무관리로 인해 설계변경 요청, 클레임 제기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은 턴키공사라는 실시설계업무에 대한 구체적 문제점 인식과 이에 대한 관리방안이 체계화되어 있지 못함에 기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턴키수행공사 기존 설계시공 일괄사업 관련문헌 및 선행 연구고찰을 통한 사례조사연구를 설계하고 이를 토대로 현재 공사 중인 현장에 대한 사례조사를 수행하였다. 사례조사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현행 턴키공사의 실시설계 주요 관리업무 및 수행상의 문제점을 구체화하였으며, 실제 실시설계 관리업무 담당자들의 개선방향에 의견을 정리하고 이를 통한 실시설계 관리업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신뢰성 있는 분산 실시간 그룹 통신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a Reliable Distributed Real-time Group Communication System)

  • 노진홍;홍영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3)
    • /
    • pp.319-321
    • /
    • 2002
  • 인터넷 기반 네트워크 통신의 형태가 단순한 텍스트 위주의 데이터로부터 실시간 환경을 요구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형태로 변하고 있으며, 실시간 분산처리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간 시스템은 분산 실시간 처리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분야의 발전이 필요하며, 특히 그 중에서도 신뢰성이 높은 그룹 통신 시스템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장탐지 기능이 있는 실시간 그룹 통신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실시간 그룹통신 시스템은 이미 TMO 모델을 통하여 메시지 신뢰성과 고장탐지에 관한 시뮬레이션을 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실시간 그룹통신 시스템 설계에 반영하였다.

  • PDF

공사용도면 현황분석에 기반한 일반업무시설 실시설계도면 체크리스트 개선방안 (Checklists for Construction Drawings of Office Buildings based on Working Drawing Analysis)

  • 이범구;정태환;박형진;구교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3-11
    • /
    • 2010
  • 현재 실시설계도면 작성과정에서 시간, 비용 등 제한조건으로 인해 실시설계도면 자체의 품질저하가 발생하고 있으며, 시공상세도는 표준화된 기준이 없이 임의적으로 작성되고 프로젝트 완료 후 대부분이 폐기가 되어 설계단계로 피드백 되지 않아 실시설계도면 품질저하의 악순환이 초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설계도면과 시공상세도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일반업무시설에 대한 기존 실시설계 체크리스트를 기본으로 공사현장에 요구되는 정보와 시공상세도를 반영하고, 설계자의 설계도면 구성 분류에 따른 검토항목과 시공자의 공사별 분류 방법에 따른 검토항목을 상호 연계함으로써 시공성을 반영한 실시설계도면 체크리스트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실시설계도면과 시공단계가 연계된 공사별 통합 체크리스트의 활용성을 위해 인덱스 매트릭스를 개발하였으며, 실무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조사를 통해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CBR(Case-Based Reasoning)을 활용한 턴키 공사 실시설계관리 방안 (Working Design Management of the Design Build Projects Using CBR)

  • 박세근;김영재;김경래;신동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432-437
    • /
    • 2002
  • 턴키 공사의 실시설계 단계는 기본설계 이후 최종 계약을 위한 준비 단계로써, 수행하여야 할 업무가 많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업무의 결과가 실제 계약서류에 대한 근거가 되므로 턴키 사업 수행자 입장에서는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단계이다. 그러나 국내 건설회사의 경우, 최근까지 단순히 시공 주체로써의 능력만을 키워왔으며 턴키 사업에 대한 경험이 미비하여, 실시설계 단계의 프로세스와 기존사례가 체계화되어 있지 않아 현장관리자가 해당 프로세스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턴키 사업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연구의 근거와 필요성을 제시하고, 현장관리자 면담을 통해 실시설계 단계에서 수행하여야 할 업무와 그에 따르는 제반사항에 대해 파악한 후, 실제 발생하였던 의사결정 사항들과 그에 대한 대처방안 및 예방방안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면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턴키 공사의 실시설계 단계 프로세스 모델과 CBR(Case-Based Reasoning)을 활용한 실시설계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실시간 처리 리눅스 기반 VoIP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Linux Based VoIP System)

  • 이명근;이상정;조성범;임재용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A)
    • /
    • pp.289-29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처리 리눅스에 기반한 VoIP 단말기를 설계 구현한다. 설계 구현된 하드웨어 시스템은 i386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설계되며, 실시간음성처리 지원을 위해 음성코덱 칩과 실시간처리 리눅스인 RTLinux를 사용하여 실시간 음성처리 모듈을 구현한다. 설계 구현된 시스템의 테스트 및 타당성 검증을 위해 LAN환경에서의 음성채팅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통화품질을 시험하였다. 음성처리에 사용한 음성처리 모듈은 ITU-T 음성 코덱인 G.723.1 사용하여 30ms 내에 24 바이트로 인코딩/디코딩된 음성 데이타를 전송하도록 구현하였다.

표준형 등표 설계 제안

  • 백원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55-458
    • /
    • 2010
  • 동화(燈火)를 사용한 항로표지 중에서 암초나 얕은 곳의 위치를 표시하는데 설치되는 등표의 설계시 해상에 설치되는 현장여건상 전문설계용역사에 의존하여 설계용역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설계파고가 작고 암초의 형상이 넓은 노 간출암인 경우에는 기존 설계 완료된 등표를 적용하여 시공하였을 경우 많은 국가예산이 절감될 것으로 판단된다. 등표설계에 가장 영향을 주는 설계파고는 전국 연안의 설계파고도 작성용역을 실시하여 배부하고 설계파고에 따른 구조물 형상을 절정하기 위하여 표준형 등표 안정성 계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여건에 맞는 표준형 등표를 제안함으로서 현장여건이 양호 한 곳은 표준형 등표에서 제안하고 있은 표준형 등표를 적용함으로서 현장별 투입되는 설계용역 예산을 절감하고 설계용역 미 시행에 따른 사업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 PDF

이중 실시간 커널의 설계를 위한 스케줄링 알고리즘 (A New Scheduling Algorithm for Dual Real-Time Kernel Design)

  • 인치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9A호
    • /
    • pp.1507-1515
    • /
    • 2001
  • 본 논문은 실시간 커널과 비실시간 커널의 특성을 모두 가질 수 있는 이중 실시간 커널의 설계를 위한 이중 큐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실시간 커널은 실시간 제약들을 고려한 실시간 커널과 비실시간 커널의 특성을 가지도록 설계한다. 그리고 실시간 태스크 안에는 인터럽트처리를 수행하고, 비실시간 태스크는 일반적인 작업을 수행한다. 실시간 커널에는 인터럽트 처리와 실시간 태스크를 처리하도록 하였다. 비실시간 커널은 일반적인 태스크를 처리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간 커널과 비실시간 커널을 이중 큐를 통하여 태스크의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실시간 태스크는 고정 우선 순위기반 스케줄링인 RMS을 사용하여 실시간 태스크 스케줄링을 한다. 제안된 실시간 시스템은 RT-Linux, QNX와 인터럽트 지연, 스케줄링 정확성, 메시지 전달시간 등을 비교 분석하여 효율성을 입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