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시간 정량 PCR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2초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유전자변형 콩 가공식품의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in Processed Foods Using Real-time PCR)

  • 민동명;김묘영;정순일;허문석;김진국;김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23-727
    • /
    • 2004
  • 콩 가공식품인 두유, 두부, 비지에서 유전자변형 콩에 삽입된 epsps 유전자의 검출과 정량을 위해 정성과 정량 PCR 방법을 수행하였다. 두유, 두부, 비지에서 유전자변형 콩의 검출은 삽입된 epsps 유전자의 증폭이 크기가 121bp와 330bp가 생성될 수 있는 두 종류의 primer들을 이용하여 0.01%까지 확인하였다. 정량방법은 1, 3, 5%의 유전자변형 콩이 포함된 시료들을 실시간 PCR을 사용하여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실시간 PCR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식품 내에서 정량적으로 유전자변형 콩을 정량하는데 적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SYBR Green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개 싸이토카인 유전자 발현의 정량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YBR Green Real-time PCR Assay for Canine Cytokine Gene Expression)

  • 유도현;인동철;박철;박진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08-513
    • /
    • 2010
  • 싸이토카인은 염증 및 면역 반응의 평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이들의 mRNA 수준을 정량하고 평가하는 것은 염증 및 면역 반응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그 민감도가 매우 높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SYBR green dye를 이용하여 개의 싸이토카인 mRNA를 정량적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reverse transcriptase PCR; qRT-PCR)으로 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제작된 시발체(primer)의 최적화된 붙임 온도(annealing temperature; $T_a$)는 인터루킨(interleukin; IL)-$1{\beta}$, IL-6, IL-10이 각각 $62^{\circ}C$,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와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60^{\circ}C$ 그리고 high mobility group box 1 (HMGB1)이 $58^{\circ}C$였다. 표준 정량 곡선을 이용하여 측정한 시발체의 효율성은 97.1%에서 102.%로 매우 높았고, 2차 구조물(secondary structure)과 시발체-이합체 형성(primer-dimer formation)은 융해곡선(melt-curve)분석과 전기영동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렇게 정립된 qRT-PCR 분석법은 민감도와 특이도가 매우 높은 개 싸이토카인 유전자 정량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간 정량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광산 배수의 수계 영향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 of Mine Drainage on the Aquatic Environment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 한지선;서장원;지원현;박현성;김창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1-130
    • /
    • 2010
  • 산성광산배수(Acid Mine Drainage; AMD)는 낮은 pH조건에서 중금속 및 황산염이온 등이 다량 용존되어 환경오염 문제를 발생시킨다. 국내의 폐광산 일부에서는 산성광산배수를 처리하기 위해 정화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나 여전히 주변 하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산성광산배수 및 영향을 받는 하천에서 지표미생물의 특이적 유전자를 실시간 정량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al-time qPCR)을 이용하여 확인 및 정량함으로써 광산배수의 환경영향을 미생물학적으로 판단하고자 수행되었다. 지표 종으로 선정한 미생물은 16S rRNA 미생물 군집분석 결과 발견된 미생물 중 철환원균인 Rhodoferax ferrireducens T118, Acidiphilium cryptum JF-5이며 이 외에 기존에 광산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미생물 중 호산성 황환원균인 Desulfosporosinus orientus, 철산화균인 Leptosprillum ferrooxidans, 철 및 황산화균인 Acidothiobacillus ferrooxidans이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각 광산의 광산배수가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판단하여 비교하기 위해 광산배수로 인한 하천에서의 미생물 변동 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연구 대상 4개 광산 중 광산배수 처리시설이 없는 삼탄의 광산배수의 경우 주변 방류 하천으로의 미생물학적 환경영향이 가장 큰것으로 나타났다

실시간 정량 PCR을 통한 김치 유래 Weissella spp.에 의한 Listeria monocytogenes 생육 억제 (Growth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Weissella spp. from Kimchi Through Real-time PCR)

  • 이영덕;김대용;박종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3-10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부터 W. cibaria 0D17와 W. confusa 0D23를 생화학적 특성 분석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분리, 동정하였으며, W. cibaria 0D17와 W. confusa 0D23 배양 상등액이 L.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간 정량 PCR을 통해 W. cibaria 0D17 및 W. confusa 0D23가 L. monocytogenes를 공동 배양했을 때의 생육억제 효과를 분석한 결과, $37^{\circ}C$에서는 생육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김치 유래 Weissella spp.가 갖는 L.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 활성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며, W. cibaria 0D17 및 W. confusa 0D23가 생산하는 bacteriocin 등의 항균 물질 특성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뒤영벌 병원체 11종에 대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 검출법 개발 (Development of real-time PCR Detections against 11 Pathogens of Bombus Species)

  • 민상현;김정민;임수진;김병희;이칠우;윤병수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9-109
    • /
    • 2017
  • DWV, IAPV, KBV, SBV, BQCV, kSBV, SBPV and Paenibacillus larvae, Mellisococcus plutonius, Lysinibacillus fusiformis, Klebsiella oxytoca의 뒤영벌 병원체들에 대한 다중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법(PCR)을 개발하였다. 하나의 시료에서 추출된 핵산은 11종 PCR들에 같은 시간 및 조건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각 병원체 특이 표적 DNA가 PCR 기질로 1000분자가 존재한다면, 해당 특이 PCR 증폭산물들은 정성적, 정량적으로 20분안에 성공적으로 증폭되었다. 우리가 제안하는 이 다중 PCR 검출법이 뒤영벌의 국제교역을 위한 검역검사에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TRIzol을 이용한 노로바이러스 RNA 추출의 pH 의존성 (pH-Dependence of RNA Extraction for Norovirus by TRIzol Method)

  • 전덕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1-76
    • /
    • 2018
  • 노로바이러스는 전 세계적으로 산발적인 발병 관련 비세균성 위장염의 주요 원인 물질이다. 노로바이러스 검출을 위해 역전사 실시간 PCR (RT qPCR)이 그 민감도와 특이성으로 인해 주요 수단으로 빠르게 자리 잡았다. 그러나 RT qPCR 분석을 위해서는 정확한 바이러스 RNA 추출방법이 필수적이다. TRIzol 시약은 생물학적 물질로부터 RNA의 추출에 이용되고 따라서 노로바이러스 RNA 추출에도 널리 사용된다. 이 연구에서는 인체 노로바이러스 유전체 그룹 I (GI) 및 유전자 그룹 II (GII)와 생쥐 노로바이러스(GV) 중에서 GII로부터의 TRIzol 을 이용한 바이러스 RNA의 추출률이 바이러스 시료 용액의 pH에 의존했다는 내용이 다루어졌다. 실시간 PCR의 Ct값으로 비교한 RNA 추출 수율은 산성 영역보다 알칼리성 pH에서 높았다. 이 연구 결과로 부터 TRIzol을 이용하여 GII RNA를 추출하여 노로바이러스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때 pH조건이 대단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eal-Time PCR을 이용한 해수 존재 흰반점 바이러스의 정량 및 양식 환경인자와의 상관관계 분석 (Quantification of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in Seawaters Using Real-Time PCR and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WSSV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 송재호;추여진;조장천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9-55
    • /
    • 2008
  • 흰반점 바이러스(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는 양식산 새우에 감염하여 대량폐사를 일으키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병원성 바이러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도에 위치한 대하(Fenneropenaeus chinensis) 양식장의 양식수와 양식장으로 유입되는 해수에서 WSSV를 막여과법을 이용하여 농축하였으며, 새롭게 디자인한 primer와 Taqman probe를 사용하여 정량 실시간 PCR (quantitative real-time PCR, QRT-PCR)을 적용하여 WSSV를 정량하였다. 농도표준을 사용한 QRT-PCR 결과, 제작된 primer와 probe를 이용하여 WSSV가 정확하고 민감하게 검출됨을 확인하였다. 해수에 존재하는 WSSV와 물리화학적, 생물학적 환경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기 위하여 양식수와 해수 유입수에서 대하 양식기간인 2007년 6월부터 9월까지 총 8회에 거쳐 다양한 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양식수 1L에 존재하는 WSSV의 양은 3,814-121,545 copy였으며, 이는 분원성 enterococci ($r^2=0.9$, p=0.02), 엽록소${\alpha}$ ($r^2=0.8$, p=0.03), 생화학적 산소요구량($r^2=0.8$, p=0.07)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정립된 WSSV의 농축법 및 QRT-PCR 방법은 해수에 존재하는 WSSV를 정량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해수에 존재하는 WSSV의 양은 물리화학적 환경요인보다 생물학적 환경요인과 밀접한 관련을 보였다.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한 개 파보바이러스 감염증의 분변에서 바이러스 정량 분석 (A Real Time PCR Assay for Detection and Quantitation of Canine Parvovirus Type 2 in the Feces of Dogs with Parvovirus Infection)

  • 고민수;신소연;김용환;고바라다;이봉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48-352
    • /
    • 2005
  • We described a rapid, sensitive and reproducible real-time PCR assay for detection and quantitation of canine parvovirus type 2 in the feces of dogs with parvovirus infection. The method was demonstrated to be highly specific and sensitive, allowing a precise canine parvovirus type-2 quantitation over range of eight orders of magnitude from $10^2\;to\;10^9$ copies of standard DNA. Then, fecal samples from parvovirus infected dogs were analyzed by conventional PCR and real-time PCR. Real-time PCR is more sensitive than conventional PCR, allowing to detect low viral titers of CPV-2 in infected dogs. By real-time PCR, a wide range of parvovirus particles was found in the samples from $1.45\times10^6\;to\;9.45\times10^8$ copies/0.01g of feces. However, when dogs are in infection of parvovirus, it is difficult to prove that the numbers of peripheral blood leukocytes are correlated with those of fecal shedding virus.

출토 인골 DNA의 real-time PCR 정량에 의한 보존상태 평가 연구 - 부여 오수리 출토 인골을 중심으로 - (Evaluation of the preservation state of human skeletal remains using real-time PCR)

  • 권은실;조은민;김수훈;강소영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2호
    • /
    • pp.171-183
    • /
    • 2011
  • 본 연구는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오수리 유적에서 발굴된 인골 4개체를 대상으로 조직학, 분자유전학, 골화학 분석 등 종합적인 연구를 통해 이들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체현미경을 통해 인골 시료의 골조직 단면 구조를 관찰함으로써 각 시료의 조직학적 보존 상태를 단계별로 구분하였고, 잔존하는 단백질의 보존 상태는 콜라겐을 추출하여 수율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b 유전자를 이용한 실시간 유전자 증폭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인골 시료에 잔존하는 미토콘드리아 DNA의 상대적 보존량 및 복제수를 분석하였으며, 미토콘드리아 과변위부위의 염기서열을 동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인골 시료의 조직학적 보존정도, 콜라겐 단백질의 잔존량, 미토콘드리아 DNA의 복제수는 상호 긍정적인 연관관계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출토 인골의 생물 화학적 분석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한 특성지표 연구의 중요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