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the preservation state of human skeletal remains using real-time PCR

출토 인골 DNA의 real-time PCR 정량에 의한 보존상태 평가 연구 - 부여 오수리 출토 인골을 중심으로 -

  • Kwon, Eun-Sil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Cho, Eun-Mi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Sue-Hoo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ang, Soyeo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권은실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조은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김수훈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강소영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Received : 2011.09.30
  • Accepted : 2011.11.10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In this study molecular genetic analysis was carried out on 4 human skeletal remains from Osuri, Buyeo. We showed that real-time PCR is the method of the choice to assess the initial number of genuine ancient DNA molecules. Human mitochondrial DNA quantification was accomplished by the real-time PCR for the cytochrome b gene of the mitochondria. Histological results proved to be a good potentiality for biochemical analysis using biomolecule. The level of specimen's preservation state was proved that level of quantitative result was BO-04, BO-01, BO-03, BO-02. Continually, we showed that biochemical and biomolecule results for the level of preservation state were similar.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important material for predicting biochemistry and biology analysis of the ancient bone.

본 연구는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오수리 유적에서 발굴된 인골 4개체를 대상으로 조직학, 분자유전학, 골화학 분석 등 종합적인 연구를 통해 이들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체현미경을 통해 인골 시료의 골조직 단면 구조를 관찰함으로써 각 시료의 조직학적 보존 상태를 단계별로 구분하였고, 잔존하는 단백질의 보존 상태는 콜라겐을 추출하여 수율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b 유전자를 이용한 실시간 유전자 증폭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인골 시료에 잔존하는 미토콘드리아 DNA의 상대적 보존량 및 복제수를 분석하였으며, 미토콘드리아 과변위부위의 염기서열을 동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인골 시료의 조직학적 보존정도, 콜라겐 단백질의 잔존량, 미토콘드리아 DNA의 복제수는 상호 긍정적인 연관관계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출토 인골의 생물 화학적 분석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한 특성지표 연구의 중요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국립문화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