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내디자인

검색결과 3,579건 처리시간 0.037초

로팍스여객선 거주구 실내디자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ior Design Improvement of the Accommodation Area in RO-PAX Ships)

  • 박진;이한석;박상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연안여객선 중 로팍스(Ro-Pax)여객선을 대상으로 거주구 실내디자인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기존 연구 및 문헌 조사를 통하여 거주구 특성에 대해 고찰한 후 현재 운항하고 있는 로팍스여객선 7척에 대하여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여객선 전문가 38명을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거주구 실내디자인에서 공용시설이 가장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디자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결과 색채 만족도가 거주구 사용자 만족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주구 실내디자인지침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 공용시설의 종류 및 배치, 색채디자인 개선, 거주구 실내디자인지침 마련 등을 실내디자인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실업계고등학과 실내디자인 전공 교육과정 개선방안 -대학 동일전공과의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Improvement of Interior Design Major Curricula at Vocational High Schools -Focu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Interior Design Major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 천진희;오혜경;김대년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171-180
    • /
    • 2002
  • 본 연구는 실업고 활성화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실내디자인 전공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실업고, 2(4)년제대학의 교육과정이 각각 분석.비교되었고, 실업고 재학생, 교사, 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자료는 빈도분포와 백분율로 통계 처리되었다. 연구결과, (1실업고에서 전공교육의 비중은 왜 높았으나 실내 디자인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교과내용은 그리 많지 않았고, 홍미도와 중요성에 따라 실내디자인 전공 교과서의 활용도를 더 높이되 공업계.상업계 교과서 중 실내디자인 관련 부분을 발췌.사용하여 전문성을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어야할 것이다. (22년제와 4년제대학의 전공이수학점 수는 비슷하였고, 2년제가 실내디자인실기.컴퓨터디자인.표현기법 등 실무를 위한 교과목 비율과 중요도가 매우 높은 반면 4년제는 전공실내디자인 비율이 특히 높고 연구능력함양, 전공특화를 위한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으며 전공선택의 폭이 높았다. (3실업고를 대학과 비교한 결과, 실업고는 대학과 근접한 교육을 지향 하나 전문기능인 양성을 위한 체계성.전문성이 부족하므로 실내디자인과 관련이 적은 교과목을 실무와 실기능력 함양을 위한 교과목으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실내디자인 업계 종사자들은 실업고 학생들에게 CAD, 시공업무가 가장 적합하고 실업고 특화를 위해 이 과목들과 실내디자인실기와 가구과목 등이 강화되어야함을 밝혔다. 위의 조사를 토대로, 실업고에서는 대학과의 차별화, 산업현장과 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을 수립하되, 현장연계교육과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이 강화되어야함을 제안하였다.

  • PDF

실내디자인 교육의 특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특성화 분류 및 현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gram of Specialization for Interior Design Education)

  • 한영호;김택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6호
    • /
    • pp.3-1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element of specialization for interior design education according to investigate samples and analyze situations. The study was composed three schemes as follows, materiality classification of specialization, condition of specialization and survey and analysis of specialization. Materiality specialization classify 4 types which are localization, focus on design process, design and project participation and resource. The specialization conditions, according to classify, were to make cooperation center for practical fields and to find new fields of Interior design education and develope advanced skills.

'ㅆ' 아파트 신평형 실내디자인 프로젝트 (Interior Design of 'ㅆ' Apartment in Sangdo-Dong)

  • 이경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17-218
    • /
    • 2005
  •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interior environment have reflected the changes in our society. Social issues and the products of ultra-technological advancement will be reflected in housing as wel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factors and describes trends which might influence interior environment in future apartment housing, and thereby, to develop an alternative future model for 'ㅆ' apparentement located in Sangdo-Dong based on the type of the size criteria.

  • PDF

한식당 실내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Design Characteristics in Korean Restaurant)

  • 정미렴;박영순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4-85
    • /
    • 1999
  • 실내디자인에서 우리의 것을 다시 찾으려는 노력은 최근 20년간 점점 늘어나 여러 방향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그러한 노력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현실적으로는 전통성을 찾자는 주장 하에 형태만의 고증이나 답습에 한정되거나, 일관성 없이 디자인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중략)

  • PDF

서비스 디자인 개념에 기초한 복합형 서점 실내 디자인 연구 (A Study on Interior Design of Compound Bookstore Based on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 판잉잉;김명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97-108
    • /
    • 2020
  • '1+N'은 현재 복합형 서점의 경영 모드이다. 본 연구는 우선 고객의 기본적 상황과 수요를 조사하였고, 서점 내의 10가지 공간 중 고객의 4가지 기본적 행위를 검토하였다. 다음 서비스 디자인의 3가지 연구 도구와 실내 디자인의 3가지 디자인 요소를 상대적으로 대응하여 '복합형 서점 실내 디자인 기본 분석 프레임'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사례와 '복합형 서점 실내 디자인 기본 분석 프레임'과 결합하여, 고객과 서점이 상호작용하는 자세한 프로세스, 터치포인트와 실내 디자인 프로젝트를 찾아냈다. 디자인 맹점을 찾아 상응하는 해결책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디자인 개념에 기초한 복합형 서점 실내 디자인 연구 모델'을 제안하였다. 여기에는 복잡한 공간의 실내를 디자인할 때 주목해야할 요소 및 각 요소 간의 뚜렷한 연관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복합형 서점 실내 기능 구역의 디자인 내용과 서비스 품질검사, 디자인의 공백점을 찾을 수 있다.

실내디자인 전공 재학생의 전공의식과 진로준비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 지역 대학교 실내디자인 전공 재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jor Awareness and the Career Prepa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Interior Design - Focus on the students majoring in interior design at Daegu.Gyeongbuk State of University -)

  • 김수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226-235
    • /
    • 2011
  • The number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was 4,273,000 and it took them 11 months to get a job after graduation in 2010, according to figures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jor awareness and the career prepa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interior design and to provide basic data about job expertise that students understand, the existing state of the career preparation and discrimination.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students majoring in interior design at Daegu Gyeongbuk state of University. First, this study classifies the major awareness of students majoring in interior design. Second, this Study describ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awareness of students majoring in interior design by types. Third,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areer preparation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interior design.

전문대학의 학제변화에 따른 실내디자인 교육과정 분석 (An Analysis on the Curriculum of Interior Design Education by the Reform of the Educational System)

  • 이동원;심복기;김주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3-10
    • /
    • 2006
  • In interior design and architecture area, educational system has changed since 2001 from two-year program to three-year. At present related courses are established in about 68 colle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advantages of the three-year over the two-year design program, analyzing the changes in curriculum. In the study, curricula from the selected 16 colleg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 The courses were classified into 10 sectors -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three-year program, the available number of courses generally increased. Of the ten sectors, there was marked growth in the 'design' and 'technique or technology' sectors after the program change. In addition, the 'primary', 'theory' and 'digital design' sectors were reinforced to represent the latest changes in the design process and presentat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