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감책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Preliminary Framework of System and Authoring Tool for a 'Sil-Gam' Book (실감책을 위한 시스템 및 저작 도구 기본 프레임워크)

  • Park, Sun-Young;Lee, Jun-Hun;Kim, Hyun-Gon;Kim, Yeong-Mi;Choi, Kwon-Young;Ryu, Je-Ha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99-104
    • /
    • 2009
  •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과 가상/증강현실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에게 몰입감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여러 시스템들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시각과 음향효과만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한계를 넘어서 실제와 같은 느낌을 전달할 수 있는 햅틱기술을 적용하여 보다 몰입감있는 체험형 실감책들이 고안되고 있다. 본 논문은 과학교과서를 중심으로 과학적 이론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르치고 배우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촉감(Haptic)을 분류하고, 이를 실감책에 적용하여 책이 담고 있는 주요 내용 또는 삽화와 관련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가상/증강환경에서 시청각정보와 함께 촉각콘텐츠를 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고, 듣고 만질 수 있는 적극적인 촉감 상호작용이 가능한 실감책 ('Sil-Gam' Book) 시스템의 기본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제시된 실감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실감책을 읽고 있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 시선과 같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추적하고 책의 크기, 페이지 등을 인식하는 센서가 부착된 센싱 부; 둘째, 장비에 따라 적용 가능한 촉감 속성,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촉감 속성등 다양한 촉감콘텐츠의 속성을 저작하고 편집하는 소프트웨어 부; 마지막으로 사용자에게 저작된 실감 콘텐츠를 사용자가 쉽고 직관적으로 체험하게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부는 세부적으로 시청각 콘텐츠를 전달하는 시청각 디스플레이 부와 역촉감 콘텐츠를 전달하는 역촉감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또한 실감책 촉감 저작도구를 사용하여 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촉감을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과학 이론에 적용하여 과학 실험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역/촉감을 전달하는 몇 가지 시나리오를 예시하였다.

  • PDF

Preliminary Framework of System and Authoring Tool for a 'Sil-Gam' Book (실감책을 위한 시스템 및 저작 도구 기본 프레임워크)

  • Park, Sun-Young;Lee, Jun-Hun;Kim, Hyun-Gon;Kim, Yeong-Mi;Choi, Kwon-Young;Ryu, Je-Ha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2073-2075
    • /
    • 2009
  •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과 가상/증강현실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에게 몰입감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여러 시스템들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시각과 음향효과만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한계를 넘어서 실제와 같은 느낌을 전달할 수 있는 햅틱기술을 적용하여 보다 몰입감있는 체험형 실감책들이 고안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과서를 중심으로 과학적 이론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르치고 배우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촉감(Haptic)을 분류하고, 이를 실감책에 적용하여 책이 담고 있는 주요 내용 또는 삽화와 관련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가상/증강환경에서 시청각정보와 함께 촉각콘텐츠를 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고, 듣고 만질 수 있는 적극적인 촉감 상호작용이 가능한 실감책 ('Sil-Gam' Book) 시스템의 기본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 PDF

User-centric Immersible and Interactive Electronic Book based on the Interface of Tabletop Display (테이블탑 디스플레이 기반 사용자 중심의 실감형 상호작용 전자책)

  • Song, Dae-Hyeon;Park, Jae-Wan;Lee, Chil-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6
    • /
    • pp.117-125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user-centric immersible and interactive electronic book based on the interface of tabletop display. Electronic book is usually used for users that want to read the text book with multimedia contents like video, audio, animation and etc. It is based on tabletop display platform then the conventional input device like keyboard and mouse is not essentially needed. Users can interact with the contents based on the gestures defined for the interface of tabletop display using hand finger touches then it gives superior and effective interface for users to use the electronic book interestingly. This interface supports multiple users then it gives more diverse effects on the conventional electronic contents just made for one user. In this paper our method gives new way for the conventional electronics book and it can define the user-centric gestures and help users to interact with the book easily. We expect our method can be utilized for many edutainment contents.

RealBook: A Tangible Electronic Book Based on the Interface of TouchFace-V (RealBook: TouchFace-V 인터페이스 기반 실감형 전자책)

  • Song, Dae-Hyeon;Bae, Ki-Tae;Lee, Chil-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2
    • /
    • pp.551-559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tangible RealBook based on the interface of TouchFace-V which is able to recognize multi-touch and hand gesture. The TouchFace-V is applied projection technology on a flat surface such as table, without constraint of space. The system's configuration is addressed installation, calibration, and portability issues that are most existing front-projected vision-based tabletop display. It can provide hand touch and gesture applying computer vision by adopting tracking technology without sensor and traditional input device. The RealBook deals with the combination of each advantage of analog sensibility on texts and multimedia effects of e-book. Also, it provides digitally created stories that would differ in experiences and environments with interacting users' choices on the interface of the book. We proposed e-book that is new concept of electronic book; named RealBook, different from existing and TouchFace-V interface, which can provide more direct viewing, natural and intuitive interactions with hand touch and gesture.

최근방재이론의 세계적경향

  • 이귀학
    • 전기의세계
    • /
    • v.32 no.10
    • /
    • pp.582-587
    • /
    • 1983
  • 본고에서는 방재개설들을 거시분류법으로 나눠 자연재해방재, 인위적재해방재, 방위방재, 산업재해방재, 경제방재, 기능방재, 효과방재, 인간훽터방재로 전개했으며, 이는 방재이론을 브로드하게 표현하여 최근의 방재이론의 동향과 이론의 흐름을 소개하였다. 우리의 방재이론과 세계의 그것은 너무도 거리가 있으며 각분야에 방재훽터의 부여율은 후진국의 그것에 멈추고 있음을 실감할 수 있다. 아직 상아탑에서서의 연구는 자료 등의 부족으로 불가능 하겠으나 일백년전 미국이 각 메이커와 협회중심으로 각분야재해책을 연구하였듯이 우리도 각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 각자가 방재의식을 갖고 "하고있는 일" 또는 "하려고하는 일에" 방재훽터를 부여하는 방법이 강구 되어야 하겠다.부여하는 방법이 강구 되어야 하겠다.

  • PDF

Fairy tale experience system using VR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동화 체험 시스템)

  • Yoo, Sangwook;Kim, Suhyeon;Kim, Jonghyun;Hwang, Chanho;Choi, Hyosub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482-485
    • /
    • 2020
  • 최근 물리적 언택트(Untact)와 사회적 온택트(Ontact)를 이끄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 기술을 활용한 교육이 주목받고 있다. 이와 더불어 교육 환경이 경험과 체험 위주의 맞춤형 교육으로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사용자 요구를 만족시킬 콘텐츠는 부족한 실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독서교육을 위해 종이책과 전자책을 비교 설명하며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동화 체험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사용자 얼굴 3D 텍스처 모델링과 멀티플레이어를 통해 비대면 실감형 콘텐츠와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동화선택 기능을 구현하였다. 이처럼 교육적인 관점에서 스스로 선택한 동화를 함께 체험하고 인지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Interactive electronic book utilizing tabletop display and digi-pet (테이블탑 디스플레이와 디지팻을 활용한 상호작용 전자책)

  • Song, dae-hyeon;Park, jae-wan;Lee, yong-chul;Kim, dong-min;Moon, joo-pil;Lee, chil-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5-178
    • /
    • 2009
  • In this paper, we describe about interactive electronic book utilizing tabletop display interface and digi-pet. Because of this system can define a lot of gestures using touch point of finger, help that user experiences electronic book effectively more than existent input device. Also, support 1 users in 1 input device in existent mode, but this system can expect various effect because support Multi-user. The digi-pet(digital pet) is physical tools that convey emotion between tabletop display platform and user. And this shows various results acting as assistance because becomes master of story of imagination and participate directly on talk and makes change of story. In this paper, we described about oriented electronic book system the future that combines tabletop display and Digi-pet. This system is expected that the usefulness is increased by leaps and bounds along with technology development forward.

  • PDF

Shadow play Molding method approach in the early childhood class pop-up book binding (유아용 팝업 북에 나타난 그림자극 조형방식 연구)

  • Liu, shu;Lee, d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83-384
    • /
    • 2015
  • 경제의 발전과 함께 서적의 장정 디자인 면에서도 더욱더 많은 민족적 요소들이 도입되고 있다. 특히 팝업 북 서적의 장정 디자인일 경우에는 그림자극의 조형 요소를 많이 차용하고 있다. 그림자극의 조형 요소들은 색채, 이미지, 조각 등의 측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고는 팝업 북 서적 장정 요소들의 창의적 사용을 연구하고 팝업 북 서적 장정에서의 그림자극 예술조형의 응용 과정을 분석하고 문헌조사를 통하여 분석과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팝업 북 서적은 이런 방식을 통해 책의 내용을 더욱 실감나게 전달하며 독자를 감동시킬 수 있고 또 주제를 간략하게 요약하여 독창적인 디자인을 보여줄 수 있다. 본고는 민족적 특색이 짙은 그림자극 예술요소의 사용 현황과 향후 발전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PDF

The Implementation Directions and an Analysis of Assistive Devices and Alternative Formats to Improve Accessibility for Disabled People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보조기기 및 대체자료 분석과 구현 방향)

  • Rim, Myunghwan;Gil, Younhee;Jeon, Gwangi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7
    • /
    • pp.664-673
    • /
    • 2015
  • The assistive devices for disabled people are being highlighted even in industrial aspects through the policy and support for disabled people, enactment of regulation for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of disabled,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product development. Recently, internet access with the sense of touch and hearing and utilizing electronic publishing contents and e-mailing are being convenient through the product of ICT development such as screen reader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braille display, screen enlarger, text converter and others. Even so, in rapidly changing digital media smart era, the accessibility of visually impaired people is still poor and assistive devices and alternative formats are in need of improvement. Therefore, in aspect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innovation, this study proposes the implementation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structure of alternative formats and assistive device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As a result, in the future, various types of digital information are expected to be converted into a customized and realistic forms and distributed through a dedicated disability products or smart devices.

A Study of Software Development Method with Visual Presentation Language - Case Study Architecture Total Solutional Software (시각적 언어를 사용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건축 통합 솔루션 소프트웨어 개발을 중심으로)

  • 김성곤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5 no.3
    • /
    • pp.103-114
    • /
    • 2002
  • Recently, it is more important to do part of software designers for developing user-centered software. They produce visual document for helping communication between developers and visual diagram for analyzing user need factors based on user scenario. Case study of architecture real dispatch service can show developing samples. It is important to produce visual document for one combined opinion between developers in process of defining of development boundary, main concept development, selecting of development system. And visual document process with visual language by software designer is step for recognizing of user need factors before developing interface design in process of collecting design factors of user and environment and analyzing design factor by user scenario. Also, in process of interface and prototype development, it need visual document for peaceful and concord process between developers. Those visual documents with visual language could help to define developers role and duty, user-centered concept development and various interface development proposal during software develop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