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체관심도

검색결과 440건 처리시간 0.03초

미국 여대생의 신체 이미지가 의복태도, 유행혁신성, 쇼핑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s of Body Image on Clothing Attitude, Fashion Innovativeness, and Shopping in American Female College Students)

  • 황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069-1078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여대생의 의복태도, 유행혁신성, 쇼핑에 신체이미지가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신체이미지는 신체 5부위(얼굴, 상체, 하체, 신장, 체중) 각각에 대한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으로 측정하였고, 의복에 관련된 변인인 의복태도, 유행혁신성, 쇼핑(점포내 쇼핑관심과 카탈로그 쇼핑행동)은 선행연구에서 타당성이 입증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로 의복태도와 유행혁신성은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과 특정부위에 대한 신체만족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중요하면 할수록 또 신체 특정부위(얼굴)에 만족하면 할수록 의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으며 유행혁신성의 정도가 높았다. 쇼핑의 경우 점포내 쇼핑관심은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 이미지의 중요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카탈로그 쇼핑행동은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과 부적인상관계를 보였다. 즉 신체에 만족할수록, 또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중요할수록 점포내 쇼핑에 대한 관심은 커지는 반면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중요하면 할수록 카탈로그 쇼핑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남녀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외모관심도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및 의복추구혜택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Clothing Benefits Sought according to Body Cathexis and Appearance Interest of High School Students)

  • 정지영;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3-23
    • /
    • 2006
  •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신체만족도와 외모관심도를 살펴보고 남녀고둥학생 각각을 신체만족도와 외모관심도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여 집단간 외모관리행동과 의복추구혜택을 비교해 보았다. 신체만족도는 남녀학생 모두 낮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하반신과 전신에 대해 더 불만족하였다. 외모관심도는 남녀학생 모두 높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신체만족도와 외모관심도에 따라 남학생은 신체만족도와 외모관심도가 높은 집단, 중간인 집단, 낮은 집단의 세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대부분이 신체만족도와 외모관심도가 중간인 집단에 속하였다. 여학생의 경우 신체만족도와 외모관심도가 높은 집단, 신체만족도는 높으나 외모관심도가 낮은 집단, 신체만족도는 낮으나 외모관심도가 높은 집단, 신체만족도와 외모관심도가 낮은 네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신체만족도는 낮으나 외모관심도가 높은 집단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남학생은 신체만족도와 외모관심도가 높은 집단과 중간인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외모관리행동을 더 하였으며, 여학생의 경우 신체만족도와 외모관심도가 높은 집단 > 신체만족도는 낮으나 외모관심도가 높은 집단, 신체만족도는 높으나 외모관심도가 낮은 집단 > 신체만족도와 외모관심도가 낮은 집단 순으로 외모관리행동을 하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의복에서 심미성, 유행성, 유명상표, 경제성을 더 추구하였다. 남학생은 신체만족도와 외모관심도가 높은 집단과 중간인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심미성, 유행성, 유명상표를 더 추구하였지만 경제성은 세 집단 모두 추구하지 알았다. 여학생은 신체만족도와 외모관심도가 높은 집단이 다른 세 집단에 비해 심미성과 유행성을 더 추구하였고, 유명상표 추구는 신체만족도와 외모관심도가 낮은 집단을 제외한 나머지 세 집단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네 집단 모두 의복을 구입할 때 경제성을 고려하였다.

  • PDF

신체활동을 위한 공간으로서 공원녹지 이용의 활성화 방안

  • 문혜식;김수봉;정응호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08-411
    • /
    • 2006
  • 신체활동을 위한 공원녹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설문을 통하여 건강에 대한 인식, 신체활동을 위한 공원녹지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 공원녹지를 이용한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고려요소를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8.1%만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없다고 답변했을 뿐, 약 47.0%가 평소 건강에 관심이 있거나 많은 관심을 가진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95.2%의 응답자가 비만이 당뇨, 고혈압 등의 성인병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으며, 이러한 부분은 신체활동을 통해 상당부분 예방이 가능하다는 사실 또한 93.1%의 응답자가 인지하고 있었다. 둘째, 신체활동을 위해 이용하고 있는 공원녹지의 유형을 조사한 결과, '소규모 근린공원, 소공원'으로 응답한 인원이 200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유로는 '집에서 가까워서 이용하기 편리하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59.2%로 가장 많았다. 공원녹지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신체활동을 묻는 문항에 대해서는 67.0%에 해당하는 262명이 '산책이나 걷기'와 같은 가벼운 신체활동을 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신체활동은 '가족'과 함께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친구', '혼자'가 그 뒤를 이었다. 이용 빈도는 74.8%가 주 1-2회 이하로 공원녹지를 이용하고 있어서 실질적인 건강이익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좀 더 활발한 이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신체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공원녹지의 고려요소로는 '산책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양호한 접근성', '운동시설'과 '쾌적성'이 그 뒤를 이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요즘 신체활동의 장으로서 공원녹지의 역할에 대한 재고가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된다. 앞에서 언급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 공원녹지의 불만요소를 개선하고, 새로운 공원의 조성 및 재조성 시 활성화 요소가 고려된다면 공원녹지를 이용한 신체활동이 더욱 활발해지리라 생각된다.

  • PDF

외모관련특성에 따른 토탈코디네이션 연구

  • 염인경;김미숙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100-103
    • /
    • 2004
  • 오늘날 생활의 여유는 자아의식의 발달을 가져오고 이로 인해 정신적, 신체 내적인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신체 외적인 건강과 아름다움에 대한 기대, 욕구도 강해지고 있다. 그리고 신체의 외모는 그 개인, 특히 여성에게 중요한 요소로서 자신의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인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호의적인 인상을 창조하려 한다. (중략)

  • PDF

다중모드 센서를 이용한 신체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system using multiple motion sensors)

  • 이서용;박채은;정다솔;최재홍;김환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147-149
    • /
    • 2020
  • 코로나바이러스의 세계 확산, 발병 이후 사람들의 실내활동 증가와 건강, 면역에 대한 관심은 많이 증가했다. 이에 맞춰 더욱 정교하고 바른 정보에 의한 스마트헬스케어 역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스마트헬스케어의 범위는 영상 장치를 비롯해 다양한 센서를 활용해 신체활동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며 기존의 방식보다 더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을 말한다. 위 기술과 대중의 관심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중 모드 센서를 신체에 부착하여 신체활동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하드웨어 설계 부분에서 설계가 완성된 Arduino nano 33 Sense를 이용하여 스마트 헬스 실험 시간을 대폭 줄였다. 또한 운동과 같은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기 좋은 LSTM 기법을 채택하였으며, 개발된 모델을 추후 활용할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 PDF

여대생의 신체상,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강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among Body Imag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Psychosocial Health of Female Undergraduates')

  • 이인숙;양윤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01-312
    • /
    • 2015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신체상과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강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며, 2014년 9월부터 10월까지 일부 도시의 여대생 총 19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상은 5점 만점에 $3.12{\pm}1.06$점으로 조사되었다. 외모관리 행동은 5점 만점에 $2.82{\pm}1.00$점이며, 대상자들은 메이크업과 의복관리 행동을 많이 하지만 운동, 섭식 행동은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심리사회적 건강 점수는 평균 $22.90{\pm}5.96$점으로 대상자의 73.2%가 잠재적 위험군이며, 고위험군은 25.8%로 전체 대상자가 위험군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 학년, 전공, 비만도, 건강관심도 및 체중조절 의도는 주요 변수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대상자의 신체상은 외모관리 행동과 심리사회적 건강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외모관리 행동 하위 영역에서도 운동은 섭식과, 섭식은 헤어관리행동과, 헤어는 메이크업, 의복관리행동, 메이크업은 의복관리행동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심리사회적 건강은 신체상 및 헤어관리행동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신체상, 건강 관심도, 학년 순으로 대상자의 심리사회적 건강을 14.4% 설명하였다. 즉, 신체에 대한 불만족이 높을수록, 건강 관심도가 낮을수록, 학년이 낮을수록, 심리사회적 건강이 좋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자신의 건강에 대해 관심을 갖도록 하며 자신의 외모와 신체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심리사회적 건강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IoT 환경에서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신체리듬 패턴분석 엔진 설계 (Physical Rhythm Pattern Analysis Engine Design For Effective Health Management In IoT Environment)

  • 신윤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158-16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신체, 감성, 지성의 생물시계 또는 체내시계라고 일컫는 바이오리듬 PSI 학설 중에서 신체리듬에 대해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한 신체리듬 PRV 엔진을 제안한다. 이 엔진은 IoT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여 동적으로 신체리듬의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분석되는 신체리듬 패턴은 신체의 건강관리에 대한 능동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며 실시간으로 신체리듬을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생체 데이터는 나이와 성별, 유전적 특징과 외부적인 환경요인에 의해 변화될 수 있으므로 신체리듬의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만 있다면 이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체리듬 패턴분석 엔진을 제안하여 질병 예방 및 관리에 보다 철저하게 대비하여 고령화 사회에서의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건강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하지 절단 환자의 간호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lower Extremity Amputation Patient)

  • 조명옥
    • 대한간호
    • /
    • 제23권3호통권126호
    • /
    • pp.68-76
    • /
    • 1984
  • 본 환자를 간호하면서 절단으로 인해 신체적 고통을 받고 있는 존재로서, 생각과 정서, 욕구를 지닌 존재로서의 환자를 돕고자 시도해 보았다. 신체적인 적응을 돕기 위해서 근력강화와 관절가동역증진, 통증조절, 보조기 착용을 위한 단단의 관리, 잔여관절의 변형예방에 중점을 두었다. 심리적인 적응을 돕기 위해서 환자가 절단 수술과 수술 후 변화된 신체외모를 수용하는 과정을 증시했다. 끝으로 사회적인 면에서는 의미있는 사람들의 집단속에서 존재하는 인간으로서의 환자에게 관심을 두었다. 환자의 우측 슬관절 가동역은 완전히 회복된 상태는 아니지만 목발을 이용하여 걷거나 기타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은 없으며 앞으로 계속적인 노력을 통해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좌측 고관절 가동역은 정상유지되고 있으며 절단부위는 보조기 착용에 적합하게 형성되어 가고 있다. 비슷한 처지에 있는 이씨환자의 도움과 환자의 독립적인 생활태도는 환자가 자신의 불구에 적응하고 일상생활에 적응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협조적이고 동정적인 환자들과 의료진의 도움으로 환자는 보호된 병원환경내에서 신체적 제한점을 주목하고 자신의 불구에 적응하면서 타인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그는 앞으로 사회에 돌아가서 생활하게 될 것이다. 우리 사회는 아직도 그들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있으며 직업적 교육적 의료치료적 배려가 부족한 상태이다. 사회속에서의 적응은 병원에서의 적응보다 훨씬 더 어려울 것이며 때로는 그를 좌절하게 할 것이다. 그의 신체적 결함이 자기 자신만의 책임은 아니며 어느 누구나 사고에 희생될 가능성은 있다. 사회인들이 그들에게 관심있고 수용적인 태도를 지니고 그들의 정상 요구와 인간으로서 동등하게 살아갈 권리를 인정하고 받아들인다며 좀더 쉽게 자신의 슬픔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여고생들의 색조 화장품 사용 실태 (The Use of Color Cosmetic Products by Female High School Students)

  • 류승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79-285
    • /
    • 2019
  • 본 연구는 자신의 외모에 관심이 가장 높은 청소년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여고생의 화장품 관심도, 화장품 사용 실태를 조사하여 그들의 올바른 사전 화장품 사용 교육 자료를 제시하고자 했다.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한 후 본조사가 실시되었다. 본 조사는 2018년 10월 7일부터 10월 21일까지 2주 동안 200부를 배포하여 성실한 답변이 이루어진 총 172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 되었다. 대부분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의 청소년 여고생들은 16~17세에 화장을 처음 접하며 호기심을 가지고 색조 화장을 시작하게 된다. 즉, 청소년기의 여고생들은 사춘기의 영향으로 신체발달과 신체적 변화로 인해 외모의 관심과 미 의식이 높아지게 되고, 이성과 또래 집단의 관심이 많아지며 타인에게 인정과 관심을 받고 싶은 욕구가 급증하게 되면서 화장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화장에 관심이 많은 여고생들이 인터넷, TV 등의 대중매체를 통해 화장품과 메이크업의 정보를 탐색 하고, 대중매체에 등장하는 또래의 여자 연예인들을 동경, 모방하며 그들의 모습을 이상 시 하게 되면서 개인의 외모관리를 적극적으로 관리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성의 신체이미지와 자아이미지에 따른 화장태도 연구 (A study on the attitude of make-up according to Women's body image & self-image)

  • 서란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475-489
    • /
    • 2014
  • 외모도 능력의 일부라는 사회적 인식이 자리 잡게 되어 사회적 이미지를 유지해 가는 수단이 되어감에 따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의 외모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이에 여성들의 신체이미지와 자아이미지에 따른 화장태도를 알아보고자 대구광역시와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30세 이상 50세 미만 여성 218명을 대상으로 2012년 4월 10일 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중관심도와 자아이미지에 따른 화장태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체중관심도의 경우 세련된 이미지와 순수한 이미지에 따라 화장태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활동 이미지에서는 체중관심도에 따라 화장태도의 차이를 보였다. 둘째, 외모관심도와 자아이미지에 따른 화장태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외모관심도가 높을수록, 세련된 이미지가 높은 집단, 순수한 이미지가 높은 집단, 활동이미지가 높은 집단이 화장태도에 더 적극적이었다. 즉, 외모관심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자아이미지가 높을수록 화장태도에 대해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신체매력도와 자아이미지에 따른 화장태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신체매력도가 높을수록, 세련된 이미지가 높은 집단이, 활동 이미지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화장태도가 긍정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