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체관심도

Search Result 44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Effects of Body Image on Clothing Attitude, Fashion Innovativeness, and Shopping in American Female College Students (미국 여대생의 신체 이미지가 의복태도, 유행혁신성, 쇼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2 no.8
    • /
    • pp.1069-1078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여대생의 의복태도, 유행혁신성, 쇼핑에 신체이미지가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신체이미지는 신체 5부위(얼굴, 상체, 하체, 신장, 체중) 각각에 대한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으로 측정하였고, 의복에 관련된 변인인 의복태도, 유행혁신성, 쇼핑(점포내 쇼핑관심과 카탈로그 쇼핑행동)은 선행연구에서 타당성이 입증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로 의복태도와 유행혁신성은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과 특정부위에 대한 신체만족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중요하면 할수록 또 신체 특정부위(얼굴)에 만족하면 할수록 의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으며 유행혁신성의 정도가 높았다. 쇼핑의 경우 점포내 쇼핑관심은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 이미지의 중요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카탈로그 쇼핑행동은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과 부적인상관계를 보였다. 즉 신체에 만족할수록, 또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중요할수록 점포내 쇼핑에 대한 관심은 커지는 반면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중요하면 할수록 카탈로그 쇼핑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Clothing Benefits Sought according to Body Cathexis and Appearance Interest of High School Students (남녀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외모관심도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및 의복추구혜택)

  • Chung, Ji-Young;Shin, Hye-Wo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18 no.4 s.42
    • /
    • pp.13-23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high school male and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body cathexis and appearance interest, and understand the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clothing benefits sough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the body cathexi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low, and female students had lower body cathexis than male students especially in the lower halves of bodies. The appearance interests of students were high, but female students had higher appearance interests than male students. Second, male students were classified by body cathexis and appearance interest into three groups with high, middle, and low body cathexis and appearance interest, and most of them belonged to the middle group. Femal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with high body cathexis and appearance interest, with high body cathexis but low appearance interest, with low body cathexis but high appearance interest, and with low body cathexis and appearance interest) and most of them belonged to the group with low body cathexis but high appearance interest. Third, male students in groups with high and middle body cathexis and appearance interest showed mor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an those in the group with low body cathexis and appearance, while management behavior, followed by the group with low body cathexis but high appearance interest, that with high body cathexis but low appearance interest, and that with low body cathexis and appearance interest. Fourth, female students sought more aesthetics, fashionability, brand, and price in clothing coml)wed to male students. Male students in high and middle groups tended to seek more aesthetics, fashionability, and brand than those in the low group, but all three groups didn't consider price benefit sought. Female students with high body cathexis and appearance interest tended to seek more aesthetics and fashionability than those in other three groups. And only the group with low body cathexis and appearance interest didn't consider brand benefit sought. All four groups were found to consider price benefit sought. I hope that results of this study help teachers to guide students' clothing life more positively by understanding the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clothing benefits sought than to control negatively.

  • PDF

신체활동을 위한 공간으로서 공원녹지 이용의 활성화 방안

  • Mun, Hye-Sik;Kim, Su-Bong;Jeong, E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408-411
    • /
    • 2006
  • 신체활동을 위한 공원녹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설문을 통하여 건강에 대한 인식, 신체활동을 위한 공원녹지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 공원녹지를 이용한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고려요소를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8.1%만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없다고 답변했을 뿐, 약 47.0%가 평소 건강에 관심이 있거나 많은 관심을 가진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95.2%의 응답자가 비만이 당뇨, 고혈압 등의 성인병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으며, 이러한 부분은 신체활동을 통해 상당부분 예방이 가능하다는 사실 또한 93.1%의 응답자가 인지하고 있었다. 둘째, 신체활동을 위해 이용하고 있는 공원녹지의 유형을 조사한 결과, '소규모 근린공원, 소공원'으로 응답한 인원이 200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유로는 '집에서 가까워서 이용하기 편리하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59.2%로 가장 많았다. 공원녹지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신체활동을 묻는 문항에 대해서는 67.0%에 해당하는 262명이 '산책이나 걷기'와 같은 가벼운 신체활동을 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신체활동은 '가족'과 함께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친구', '혼자'가 그 뒤를 이었다. 이용 빈도는 74.8%가 주 1-2회 이하로 공원녹지를 이용하고 있어서 실질적인 건강이익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좀 더 활발한 이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신체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공원녹지의 고려요소로는 '산책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양호한 접근성', '운동시설'과 '쾌적성'이 그 뒤를 이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요즘 신체활동의 장으로서 공원녹지의 역할에 대한 재고가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된다. 앞에서 언급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 공원녹지의 불만요소를 개선하고, 새로운 공원의 조성 및 재조성 시 활성화 요소가 고려된다면 공원녹지를 이용한 신체활동이 더욱 활발해지리라 생각된다.

  • PDF

외모관련특성에 따른 토탈코디네이션 연구

  • 염인경;김미숙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4.04a
    • /
    • pp.100-103
    • /
    • 2004
  • 오늘날 생활의 여유는 자아의식의 발달을 가져오고 이로 인해 정신적, 신체 내적인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신체 외적인 건강과 아름다움에 대한 기대, 욕구도 강해지고 있다. 그리고 신체의 외모는 그 개인, 특히 여성에게 중요한 요소로서 자신의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인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호의적인 인상을 창조하려 한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system using multiple motion sensors (다중모드 센서를 이용한 신체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Lee, SeoYong;Park, ChaeEun;Jeong, DaSol;Choi, JaeHong;Kim, Hwan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147-149
    • /
    • 2020
  • 코로나바이러스의 세계 확산, 발병 이후 사람들의 실내활동 증가와 건강, 면역에 대한 관심은 많이 증가했다. 이에 맞춰 더욱 정교하고 바른 정보에 의한 스마트헬스케어 역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스마트헬스케어의 범위는 영상 장치를 비롯해 다양한 센서를 활용해 신체활동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며 기존의 방식보다 더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을 말한다. 위 기술과 대중의 관심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중 모드 센서를 신체에 부착하여 신체활동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하드웨어 설계 부분에서 설계가 완성된 Arduino nano 33 Sense를 이용하여 스마트 헬스 실험 시간을 대폭 줄였다. 또한 운동과 같은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기 좋은 LSTM 기법을 채택하였으며, 개발된 모델을 추후 활용할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 PDF

The Relationship among Body Imag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Psychosocial Health of Female Undergraduates' (여대생의 신체상,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강과의 관련성)

  • Lee, Insook;Yang, Yun-M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2
    • /
    • pp.301-312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eline database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among body image,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psychosocial health of female undergraduates'. From Sep. to Oct. 2014, total 198 participa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core of body image was $3.12{\pm}1.06$ in 5 points. Subjects had a lot of make-up and clothes behaviors, but exercise, food intake behaviors were lowerer than average. Also, psychosocial health score was $2.99{\pm}0.10$ point in 4 points. Whole 73.2% was latent risk group, and 25.8% was high risk group.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image and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p<0.001) and psychosocial health(p<0.001)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 categories. And psychosocial health was positive correlation with body image and hair management behavior. 4) 14.4% of the psychosocial health was explained by 3 variables : body image, health interest and grade. Therefore, it would be utilized in developing programs for the positive body image building by interest own health, and being helped in the psychosocial health.

Physical Rhythm Pattern Analysis Engine Design For Effective Health Management In IoT Environment (IoT 환경에서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신체리듬 패턴분석 엔진 설계)

  • Shin, Yoon-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158-16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신체, 감성, 지성의 생물시계 또는 체내시계라고 일컫는 바이오리듬 PSI 학설 중에서 신체리듬에 대해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한 신체리듬 PRV 엔진을 제안한다. 이 엔진은 IoT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여 동적으로 신체리듬의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분석되는 신체리듬 패턴은 신체의 건강관리에 대한 능동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며 실시간으로 신체리듬을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생체 데이터는 나이와 성별, 유전적 특징과 외부적인 환경요인에 의해 변화될 수 있으므로 신체리듬의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만 있다면 이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체리듬 패턴분석 엔진을 제안하여 질병 예방 및 관리에 보다 철저하게 대비하여 고령화 사회에서의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건강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Case Study of lower Extremity Amputation Patient (하지 절단 환자의 간호 사례 연구)

  • Cho M O
    • The Korean Nurse
    • /
    • v.23 no.3 s.126
    • /
    • pp.68-76
    • /
    • 1984
  • 본 환자를 간호하면서 절단으로 인해 신체적 고통을 받고 있는 존재로서, 생각과 정서, 욕구를 지닌 존재로서의 환자를 돕고자 시도해 보았다. 신체적인 적응을 돕기 위해서 근력강화와 관절가동역증진, 통증조절, 보조기 착용을 위한 단단의 관리, 잔여관절의 변형예방에 중점을 두었다. 심리적인 적응을 돕기 위해서 환자가 절단 수술과 수술 후 변화된 신체외모를 수용하는 과정을 증시했다. 끝으로 사회적인 면에서는 의미있는 사람들의 집단속에서 존재하는 인간으로서의 환자에게 관심을 두었다. 환자의 우측 슬관절 가동역은 완전히 회복된 상태는 아니지만 목발을 이용하여 걷거나 기타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은 없으며 앞으로 계속적인 노력을 통해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좌측 고관절 가동역은 정상유지되고 있으며 절단부위는 보조기 착용에 적합하게 형성되어 가고 있다. 비슷한 처지에 있는 이씨환자의 도움과 환자의 독립적인 생활태도는 환자가 자신의 불구에 적응하고 일상생활에 적응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협조적이고 동정적인 환자들과 의료진의 도움으로 환자는 보호된 병원환경내에서 신체적 제한점을 주목하고 자신의 불구에 적응하면서 타인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그는 앞으로 사회에 돌아가서 생활하게 될 것이다. 우리 사회는 아직도 그들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있으며 직업적 교육적 의료치료적 배려가 부족한 상태이다. 사회속에서의 적응은 병원에서의 적응보다 훨씬 더 어려울 것이며 때로는 그를 좌절하게 할 것이다. 그의 신체적 결함이 자기 자신만의 책임은 아니며 어느 누구나 사고에 희생될 가능성은 있다. 사회인들이 그들에게 관심있고 수용적인 태도를 지니고 그들의 정상 요구와 인간으로서 동등하게 살아갈 권리를 인정하고 받아들인다며 좀더 쉽게 자신의 슬픔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Use of Color Cosmetic Products by Female High School Students (여고생들의 색조 화장품 사용 실태)

  • Ryu, Seung-You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9 no.12
    • /
    • pp.279-285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dolescent high school girls who were most interested in their appearance to examine the makeup and cosmetics use of high school girls and to present their correct pre-made cosmetics use training materials. This survey was conducted after the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questionnaire. Most high school girls in adolescence begin to wear makeup out of curiosity at the age of 16-17, when they are in their third year of middle school and first year of high school. In other words, high school girls in adolescence begin to wear makeup as the effects of puberty lead to rapid physical development and physical change, and the desire to get attention from reason and others rapidly increase. It can be seen that high school girls who are interested in makeup actively manage their personal appearance as they explore the Internet, TV and other media outlets, copy female celebrities of their own age who appear in the media, and make them look strange.

A study on the attitude of make-up according to Women's body image & self-image (여성의 신체이미지와 자아이미지에 따른 화장태도 연구)

  • Seo, Ran-Su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
    • /
    • pp.475-489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make-up culture of women by disclosing attitudes of make-up as to whether there will be differences or not according to personal weight interests & self-image. The study was performed with 218 consecutive women between the ages of 30 and 50 over 2 months from April 10th, 2012 till May 30th, 201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make-up attitudes according to concerns of weight interests and self-image, there is no difference of make-up attitude by sophisticated image and pure image in case of weight concern.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make-up attitudes by concerns of weight interests in activities image. Second, highly populated group of sophisticated image, pure image, and active image has more activities of make-up attitudes. The higher concerns of appearance and the higher self-image, there was more positive attitude of make-up. Third, highly populated group of pure image and active image has more positive attitude of make-up in case of higher physical attrac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