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선도 유지방안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5초

농산물 유통 신선도 유지방안 연구 (A study on how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 최유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377-380
    • /
    • 2020
  • 일인가구의 증가 및 소비행태의 변화, 그리고 마트는 대형화 되고 있는데 반하여 포장 형태는 소포장 용기로 바뀌고 있으며, 수출되는 농산물 특히 과일 및 관련 작물의 수출시 소규모 패키지화되고 있고, 수출시점에 CO2등의 선도처리를 하고는 있으나 운송 기간내 패키지내부 작물의 선도를 보장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농산물 유통시 운송과정이나 진열시에 품온이 바뀌어 미생물에 의하여 작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신선도유지제로 소포장 용기로 유통하는 농산물에 적용하기 위한 새로운 신선도 유지 방법의 제공이 필요한 상황으로 윤통과정의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게 되었다.

이커머스의 신선식품 배송을 위한 패키지 디자인 사례연구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Packaging Design to Maintain Food Freshness of E-Commerce -Focu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 장지우;김승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15-120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 이커머스 시장의 신선식품 배송 패키지 디자인이 발전해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차로 문헌연구를 통해 이커머스 식료품과 관련된 소비 트렌드, 콜드체인 시스템, 제로 웨이스트 캠페인에 관하여 이론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국내외 신선식품 배송 패키지에 대해 분석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신선식품을 위한 배송 패키지 디자인은 신선도 유지뿐만 아니라 포장재의 유용성, 편리성과 환경보호 측면을 다각도로 고려하여야 한다. 이커머스 기업은 상품과 함께 패키지를 통해 '신선함'이라는 경험을 전달할 때, 소비자는 오프라인보다 높은 구매율과 충성도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한다.

에너지 절약 및 경제적인 저온유통 시스템 방안

  • 박창린;오종택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8권4호
    • /
    • pp.33-42
    • /
    • 2009
  • 소득 향상과 더불어 식생활 수준도 차츰 개선되고 있으나 식품위생 사고의 사전 방지 및 안전하고 고품질 식품을 최종 소비자인 국민에게 보급하기 위해서는 현재 생산량의 11.1%인 저온유통품을 25% 이상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앞으로 미국 및 유럽과의 FTA 체결에 의한 수입 농산물의 증가로 인해 국내 농산물의 가격경쟁력은 더욱 더 저하될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위한 대비책으로서의 뿐만 아니라 국민의 보건과 건강을 위해서라도 신선도 및 영양가가 산지에서 생산될 때와 거의 같은 정도로 유지시키면서 유통 가능한 시스템이 정부와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구축시킬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어, 이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신선물류 취급 온라인 쇼핑몰업체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On-line Shopping Mall handing Fresh Logistics)

  • 박성훈;남태현;차영두;이수환;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103-114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성장 중인 온라인 신선식품 분야에서 서비스를 제공 중인 주요 기업들의 현황을 파악하고, 경쟁력과 문제점을 실제 이용자에 대한 설문을 통해 분석하여 향후 사업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현재 온라인으로 신선식품을 판매 중인 기업들의 현황과 시장상황을 살펴보기 위해 신선식품을 판매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여 BCG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IPA분석을 활용하여 실제 구매자가 인식하는 신선물류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도를 측정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했다. 먼저 BCG매트릭스를 적용한 결과, 쿠팡을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은 새로운 성장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한편 IPA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비우선순위와 과잉영역에 소모되는 비용을 최소화 시키고, 유지 강화영역과 중점투자영역에 대해 투자함으로 신선물류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해야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신선식품 주요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여 보편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각각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분석 표본을 확대 및 세분화하여 표본에 따른 경쟁력 제고방안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피막제(被膜劑)가 사과 '쓰가루' 과실(果實)의 저장(貯藏)과 유통중(流通中)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Fruit Coatings on the Marketable Quality in 'Tsugaru' Apples during Storage and Simulated Marketing)

  • 황용수;이재창;천종필
    • 농업과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136-144
    • /
    • 1992
  • 본 연구는 과실피막제(果實被膜劑)가 조생종 '쓰가루' 사과의 저장(貯藏)과 유통(流通) 중의 신선도(新鮮度)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므로 '쓰가루' 사과의 유통기간(流通期間) 연장방안(延長方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쓰가루' 사과에 대한 수확후(收穫後) 피막제(被膜劑) 처리(處理)는 저장 및 저장 후 유통과정에서의 상품성(商品性) 유지(維持)에 효과적이었다. 저장전(貯藏前) 처리(處理)에서는 wax피막제(被膜劑)의 무게 감량(減量) 방지 효과가 탁월하였는데 처리농도가 높은 것이 (2배(倍) 희석(稀釋)) 감량방지(減量防止) 효과가 높았으며 wax 종류간에는 수용성(水溶性) wax가 같은 농도에서 용매용해성(溶媒溶解性)보다 다소 우수하였다. 저장 전 Prolong처리는 무게감량방지 및 경도 유지면에서 wax보다 낮았으나 저장후(貯藏後) 처리시 wax보다 신선도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피막제 종류에 따라 처리시기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쓰가루' 저장 중 탄산(炭酸)가스 유사장해(類似障害)가 발생하였는데 이러한 장해의 직접적인 원인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쓰가루' 사과의 저장을 안전하게 하기 위하여 추후 장해 발생 원인과 대책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 PDF

지속 가능한 로컬 푸드를 위한 기계화 방안 (Mechanization Measures for Sustainable Local Foods)

  • 강문석;최규홍;김성민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52-52
    • /
    • 2017
  • 연구목적: 생산자와 소비자의 물리적 사회적 거리가 가까워지고, 1일 유통체계 준수에 의한 높은 신선도 유지, 먹거리에 대한 생산자와 생산정보 공유에 의한 농산물 안전성 향상 등 여러 장점 때문에 늘어나고 있는 로컬 푸드의 지속발전을 모색하고자 로컬 푸드 참여농가의 농작업 어려움 조사 및 기계화 방안 제시 조사방법: 전북 완주군 소재 용진농협에서 운영 중인 로컬 푸드 직매장에 농산물을 공급하는 농업인 21인을 대상으로 2016년 11월에 로컬 푸드의 어려운 점, 주요 생산품목, 가장 힘든 농작업, 기계화가 시급한 농작업, 농기계 도입에 어려운 점, 의견 및 건의사항을 설문 조사 분석하였음 결과 및 고찰: 로컬 푸드 참여 농가들은 4~5개 품목을 소량 생산하고, 농가에서 수확 소포장 라벨 부착 후 매장에 직접 진열하고 있었음. 농협은 정선 선별기, 소형 도정기, 포장기, 바코드 기계 등을 설치하여 농가 공동이용, 안전성 신선도 관리 등 교육, 스마트폰 앱을 매장 재고 현황을 농업인에게 실시간으로 제공 등 지원하고 있음. 조사에 응한 농업인 21명 중 60대(13명) > 50대(5명) > 70대(3명)로 모두 50대 이상이었음. 어려운 점에 대한 물음에 대해서는 '판매가 어렵다'(45%) > '인력이 부족하다'(40%) > '생산비가 많이 든다'(8.5%) > 기타(6.5%) 순이었음. '인력부족'은 파종과 수확 시기에 노동력이 집중적으로 필요한 것에 기인하고, 경지 규모가 다소 큰 농가에서는 농사일을 전문으로 하는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함으로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지만, 소규모 농가는 품삯을 주고 고용할 경우 오히려 적자이기 때문에 고되더라도 자체 노동력으로 해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가장 힘든 작업은 수확(81%) > 파종 정식(19%)으로 수확이 절대적으로 힘든 작업이라고 응답하였고, 기계화가 시급한 작업은 수확(71%) > 파종 정식(29%)으로 응답하였음. 힘든 이유로는 적기에 수확을 끝내야 상품성을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단기간에 많은 노동력이 요구된다고 응답하였음. 농기계 도입에 어려운 원인으로는, '적합한 수확기계가 없다'(48%)와 '재배면적이 적어 필요성을 못 느낀다'(29%)가 대부분이었고, 이밖에 '가격이 비싸다'(10%), '기계 정확도가 떨어진다'(10%), '기계 조작이 어렵다'(5%)로 나타났음. 결론: 로컬 푸드 참여 농가를 대상으로 농작업 기계화 현황에 대하여 조사하였음. 로컬 푸드의 지속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중 소농을 위한 수확기 개발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둘째, 농기계가 아니더라도 우선 힘든 일을 해소하면서 편하게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작업 보조기구 또는 편이장비의 개발 보급이 필요함. 셋째, 농가의 영세성과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술센터 농기계임대사업이나 시군 보조사업을 통해서 소형 농기계, 농기구, 보조 및 편이장비 보급이 확대되어야 함.

  • PDF

특집_양계산업 경쟁력 향상 방안 - 파란 방지를 위한 사양관리

  • 유한진
    • 월간양계
    • /
    • 제42권5호
    • /
    • pp.110-115
    • /
    • 2010
  • 국민들의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계란을 선택할 때에도 가격이 다소 비싸더라도 품질을 믿을 수 있는 계란을 구매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실제로 기능성 계란 등 특수란의 매출이 늘고 있는 추세다. 일반란을 구매할 때에도 품질을 따지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계란판매에 어려움을 겪지 않으려면 품질이 좋은 계란을 생산해야 한다. 계란의 난각과 난질은 물로 신선도가 떨어지면 소비자의 외면으로 상인들이 기피하게 될 것이다. 특히 난각이 나쁠 경우 난질을 좋게 유지하기가 어렵고, 소비자가 계란을 선택할 때 내용물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눈으로 외형을 보고 선택하게 된다. 난각을 좋게 하여 파란 및 등외란을 줄인다는 것은 농장의 경영이익을 높이는 매우 중요한 관리사항이다. 난각을 좋게 하는 방법과 파란 및 등외란을 줄이는 여러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음식을 활용한 중국인 관광객 유치전략 (A Strategy for Attracting Chinese Food Tourists)

  • 도경록;박덕병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4호
    • /
    • pp.1079-1103
    • /
    • 2013
  • 본 연구는 음식관광과 관련된 중국인 관광객들의 다양한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농촌관광의 발전을 위한 중국인 음식관광객의 유치방안을 제안하고자 구성되었다. 음식관광과 관련된 주요한 특성으로는 음식관광의 동기, 음식행동, 선택속성, 정보수집의 경로, 농촌에서의 선호음식 등이 조사되었다. 농촌을 방문한 중국인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의 결과, 중국인 관광객을은 평상시와 다른 새로운 음식에 대한 요구로 음식관광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문지역의 음식을 먹는 것이 의미있는 행동으로 간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음식의 선택에 있어서는 음식의 맛, 신선도, 위생상태 등이 주요한 결정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국인 음식관광객의 유치를 위해 1)지역색이 잘 나타나는 음식상품의 개발, 2)지역농산물과 육류를 바탕으로 하는 다양한 메뉴의 서비스와 간편한 아침식사의 제공, 3) 높은 수준의 음식신선도와 위생 및 청결상태의 유지, 4) 음식의 시각적, 후각적 요소 및 장식에 대한 연구개발 등을 주요한 유치방안으로 제안하고 있다.

IPA를 활용한 웰빙 퓨전 메뉴의 중요도-성취도 연구 (A Study on Importance-Performance of Wellbeing Fusion Menu using IPA)

  • 강혜정;이연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7-95
    • /
    • 2010
  • 본 연구는 퓨전 레스토랑 이용 고객의 웰빙 퓨전 메뉴에 대한 중요도, 성취도(만족도) 품질 속성을 분석하여 세분화된 마케팅 방향을 설정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향후 퓨전 레스토랑의 메뉴 개선 방안 모색과 동시에 효과적인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퓨전 레스토랑의 웰빙 퓨전 메뉴 속성별 중요도, 성취도(만족도) 평가에 있어서 중요도가 성취도(만족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은 음식의 맛, 식재료의 청결성, 기물의 청결성, 메뉴의 질, 음식의 신선도 등은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퓨전 레스토랑에서 다소 많이 판매되는 웰빙 퓨전 메뉴에 대한 조사 대상자들의 섭취 경험을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은 섭취 경험을 가지고 있는 웰빙 퓨전 메뉴는 자장면(푸른면)으로 나타났고, 그다음은 단 호박 샐러드, 연어 샐러드, 새우 야채 그라탕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오븐 들깨 그라탕, 석류 드레싱 두부, 찹쌀가루 베이컨 롤, 석류 드레이싱 베이컨 등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섭취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퓨전 레스토랑의 웰빙퓨전 메뉴 속성별 IPA 분석 결과, 기존의 좋은 품질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종요도와 성취도(만족도) 모두 높은 1사분면에는 음식의 맛, 식재료의 청결성, 기물의 청결성, 음식의 신선도, 메뉴의 질, 다이어트 메뉴(저지방, 저칼로리), 채식 메뉴, 음식의 영양, 메뉴의 다양성 등이 포함되었고, 중요도는 높은 반면에 이 평가 속성에 대한 성취도(만족도)는 낮게 평가되어 여기에 집중하여 우선적으로 시급히 개선해야 할 2사분면에는 가격, 기존 음식과의 차별성, 친환경 유기농 식재료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