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품구매

Search Result 50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Agri-food Consumers' Type using the SNS (SNS를 활용한 농식품 소비자 특성 연구)

  • Kim, Young-Chul;Lee, Seog-Won;Oh, Sang-Heon;Hwang, Dea-Yo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2.11a
    • /
    • pp.1125-1128
    • /
    • 2012
  • 최근 FTA 체결은 국내의 농식품 소비자들을 값싼 외국산 농식품으로 소비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유통시장의 변화 즉, 소비자-생산자 간의 직거래 형태는 개인이 프로슈머로서 농식품 관련 컨텐츠의 제작과 생산이 더욱 활발해지도록 하며 소비자들이 구매의사 결정에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농식품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읠 수립 및 실행을 위하여 소비자가 무엇을 원하고 인식하지 못한 욕구가 있는지 소비자 유형을 분석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농식품 소비자 구매의도를 통한 제품이나 서비스의 이용의도로서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 모형을 위해 교류빈도, 친밀감, 호혜성, 감정의 강도라는 SNS 특성을 도출하여 분석하였다.

A Study on the Interest in Menu and Food Purchase of Some Housemakers in Yosu, Chonnam Area (전남 여수시에 거주하는 일부 주부들의 식단작성의 관심도와 식품 구매에 관한 조사 연구)

  • Jung, Bok-Mi;Ahn, Chang-Bu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1 no.4
    • /
    • pp.703-712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interest in menu and food purchase of housewives living in Yosu, Chonnam. The survey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 including question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meal planning and food purchase from October to November in 2000. The maj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orties was 39%, having a job was 44.5%, a high school education was 53.0%, and 1~2 million won in monthly household income was 50.1%. A couple with children was 75% and a 3~4 headed family was 57%. An apartment resident was 67% and one's own house was 67%.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was,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menu preparation and necessity was significantly (p<0.0001). On grocery purchase, the percent of planned purchase was higher than that of impulse purchase, which was higher in housewives without a job. The subject's favorite place for grocery purchase was a traditional market. The higher the age of subjects and the lower the education level of subjects were, the higher the grocery purchase at a traditional market was. However, the younger subjects and subjects with higher education level preferred to purchase groceries in a mart stores in an apartment, and supermarkets in order (p<0.0001).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during purchasing grocery were freshness of materials, price, nutrient, and taste in 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educate older person for importance of planning menu and encourage housewives with a job to plan grocery purchase to provide nutritionally adequate meals at reasonable coast.

한과 구매시 상품화 요소가 구매에 미치는 영향

  • 김선정;한영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Conference
    • /
    • 2003.05a
    • /
    • pp.99-99
    • /
    • 2003
  • 본 연구는 한과의 이용 중대와 대중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과 구입 시 다양한 상품화 요소가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한과의 상품화요인인 품질, 포장, 홍보, 브랜드화, 가격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해 한과에 대한 인식과 관심도, 이용실태와 그리고 각 상품화요인들의 성별, 연령, 학력별, 소득별 차이여부와 상품화요소와 한과구매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중략)

  • PDF

A Study on Effective Food Safety Communication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건강신념모형에 기반한 효과적인 식품안전 정보제공 방안 연구)

  • Choi, Sung-Hee;Hahm, Tae-Shik;Lee, Tae-Yeon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3 no.4
    • /
    • pp.259-265
    • /
    • 2018
  • Since Korean housewives are responsible for the dietary practices of family at home, it is important to know what information will make them to buy safe food.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role of perceived threats, behavioral assessments, and self-efficacy factors known to promote healthy behavior in health belief models (HBM) based on food safety awareness and behavior of housewives. This study involved 191 housewives, based on key variables such as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 self-efficacy, and purchase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higher levels of education and urbanization increased the threat perception and the likelihood of buying safe food.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increased awareness and knowledge of safe foods and interest in health contributed to higher relative benefit or self-efficiency of food, and thus, ensured food safety. The conceptual model of food safety behavior based on the HBM was verified vi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findings suggest that a suitable model showcasing knowledge levels and relative benefits resulted in a greater impact on purchasing behavior than perceived threat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more effective for housewives to provide more preventive information than risk information to purchase safe food.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umer's Benefits and Attitudes on the Functional Health Food Purchasing Intention (소비자 추구혜택과 관심도 및 태도가 기능성건강식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Yu, Dong Sool;Kim, Hong Keu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5
    • /
    • pp.189-204
    • /
    • 2016
  • The study is aimed at figuring out the effect of the consumers benefit, attitudes and interest when customers purchase functional food on purchasing intention and product a foundation of competitive power such as a customized product development for a marketing strategy by examining consumers' behavioral patterns. The range of functional food which is a subject of this study is included in the nutraceutical foods, protective foods in addition to biocontrol food. It surveyed about ages of 20 to 60 domestic residents who have taken functional food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353 answers in September 2016, and hierarchical analysis which is a demographic characteristic as control variable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using statistical program SPSS 21.0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firstly, psychological pursued benefit secondly, health concern thirdly, health management attitude affects to functional purchasing intention. It is expecting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on the basic standards that are grasping and generalizing the needs of customers. In addition, it is also expecting to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functional food industry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development because it provides empirical customer behavior analysis result.

  • PDF

The Effects of Perceived Characteristics of Mobile SNS for the Agricultural and Food on Consumer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지각된 농식품 관련 모바일 SNS의 특성이 소비자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Ahn, Eun-Ju;Yang, Dong-Woo
    • Korean small business review
    • /
    • v.41 no.1
    • /
    • pp.1-2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6th industry by presenting suggestions on how to utilize agricultural food mobile SNS and how to purchase intention. In this study, the mobile SNS, which is rapidly emerging as a new marketing channel, was applied to the agricultural and food sector to conduct a empirical analysis. First of all, the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food-related mobile SNS that affect the purchasing intent of agricultural food were derived, and the indirect effects of consumer attitude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perceived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SNS for the agricultural food and the purchase intention. First, information quality and ease of acces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attitude (+), and playfulness, information quality, ease of acces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attitude (+), and playfulness, interactiv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n acting attitude (+). Second, information quality, accessibility, and playfulnes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 and the quality of information has the greatest influence. Third, it was analyzed that information quality, interactivity, ease of accessibility, and playfulness have an indirect effect of consumer attitude in the path of purchase through consumer attitud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information in the case of mobile SNS related to agricultural and food products are needed first, that to improve the purchasing intent, we need to establish a mobile SNS operating strategy and marketing strategy for enhance consumer attitudes in a favorable. On the other hand, related education and system cooperation methods should be prepared to enable agricultural and food companies to use mobile SNS as a marketing tool.

A Study on Commercial Kimichi Consumption of Housewives is Seoul and Chungbuk Area (주부들의 시판김치 사용실태 조사-서울. 충북지역 중심으로-)

  • 이현주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3 no.3
    • /
    • pp.221-225
    • /
    • 2000
  • 서울,충북지역의 주부 590명을 대상으로 시판김치의 사용실태를 설문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판김치의 구매는 30대에서 많았고 고졸의 경우에 많았다. 직업 유무, 월수입, 주거 및 가족형태는 시판 김치 이용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연령과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P<0.05)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은 높을수록 시판김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판김치의 선호도는 배추김치가 73.2%로 높게 나타났고, 시판김치 구매 장소는 주로 대형 수퍼마켓을 이용하였으며, 1회 구매분량은 3포기를 구맹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구매 이유는 편리하기 때문과 가사와 자녀로 시간이 부족하여 구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어떻게 담그는지 몰라서 구매하는 경우도 있었다. 제품 선택 동기는 주로 구맹 경험에 의해서 시판결치를 구입하였다. 광고를 보고 구매하는 경우도 있었고 재료나 점원의 권유에 의해서 구매하는 경우도 있었다. 응답자들이 가장 맣이 지적한시판 김치으 개선점은 가격이었다.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는 경구가 많았다. 그밖에 위생명, 맛의 다양성, 분량과 용기의 개선도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었다. 향후 시판김치 구매 여부에 대해서는 73.2%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앞으로도 시판김치를 구매할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상품화 된 김치의 이용은 젊은 세대뿐만 아니라 교육수준의 향상에 의해 주부들의 라이프 스타일이 식생화에도 반영되기 때문에 계속증가할 것으로예측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가격면, 위생면, 맛의 다양성, 분량과 용기 등에 있어서도 한 단꼐 개선된 고품질 김치의 생산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Purchasing Natural Seasonings as a Alternative to Fermented Seasonings (발효조미료 대체제로서 자연조미료 구매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Kim, Geon-Whee;Ha, Heon-Su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21 no.2
    • /
    • pp.201-21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which induce a purchase experience of natural seasonings.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experience of natural seasonings based on gender, a academic background, dining out frequency, and amount of food consumption. Second, knowledge of safety regulations on MSG has a negative effect on purchase experience of natural seasonings. Third, the results shows a positive effect of attitude to food safety on purchase experience of natural seasonings. Fourth, food-explore or health-oriented types regarding food-related lifestyle has positive effects on purchase experience of natural seasonings.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by helping the food and restaurant industry develop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식자재 이커머스 플랫폼 비지니스의 서비스품질 영향요인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충성도의 매개효과를 고려하여

  • 이미경;하규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7-10
    • /
    • 2023
  • IT기술의 발전과 스마트기기의 대중화로 인한 정보통신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식품구매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여 온·오프라인의 경계를 없어지고 있다. 더군다나 COVID-19 팬데믹은 반조리식품, 밀키트 등 홈쿡(Home-cook) 온라인시장을 급격히 확산시키며 소비자 구매추세를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완전히 바꿔놓는 전환점이 되었다. 이런 트랜드를 반영하듯 다양한 온라인 식자재 이커머스 플랫폼의 출현하면서 브랜드마다 각각의 차별점을 내세우고 있으나 경쟁은 치열해지고 차별화는 더욱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는 기업이 소비자에게 일방향으로 정보 또는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 하는 수직적 관계가 아닌, 수평적 쌍방향 관계로의 발전으로 이어져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가치에 대해 보다 정직하게 보여주어야 소비자의 신뢰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Kotler, 2017). 또한, 과거에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높았던 서비스도 현재 환경에서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조윤오, 2018). 이는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와 니즈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기업은 소비자들의 새로운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 및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김광재 등, 2011). 이미 높은 인지도를 가진 플랫폼일지라도 지속가능한 우위를 선점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인 태도와 재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제품 본질 뿐 아니라 서비스 차별화를 꾀하고 있고 차별화된 포지션을 차지하기 위해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서비스 품질 요인을 측정하여 고객이 중시하는 요인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식자재를 구매하는 소비자의 꾸준한 방문과 구매를 유인하기 위해 어떤 변수의 영향력을 높여야 소비자 재구매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지 방법을 모색하고 온라인 플랫폼 기업 및 스타트업의 경영전략 마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식자재 구매 플랫폼 품질속성, 서비스품질 정도,, 충성도의 전반적인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연구 과제를 설정하고, 식자재 이커머스 온라인 플랫폼 이용 전반에 대한 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식자재 이커머스 플랫폼 운영 전략을 세우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하며, 기존의 온라인 식품구매 플랫폼의 서비스품질 요인과 소비자 행동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과는 다른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산업에서의 플랫폼 비지니스 모델 적용을 위한 전략 수립을 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