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Since Korean housewives are responsible for the dietary practices of family at home, it is important to know what information will make them to buy safe food.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role of perceived threats, behavioral assessments, and self-efficacy factors known to promote healthy behavior in health belief models (HBM) based on food safety awareness and behavior of housewives. This study involved 191 housewives, based on key variables such as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 self-efficacy, and purchase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higher levels of education and urbanization increased the threat perception and the likelihood of buying safe food.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increased awareness and knowledge of safe foods and interest in health contributed to higher relative benefit or self-efficiency of food, and thus, ensured food safety. The conceptual model of food safety behavior based on the HBM was verified vi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findings suggest that a suitable model showcasing knowledge levels and relative benefits resulted in a greater impact on purchasing behavior than perceived threat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more effective for housewives to provide more preventive information than risk information to purchase safe food.
가정에서 가족의 식생활을 책임지고 있는 주부들은 식품안전과 관련된 정보에 매우 민감하여 주부들에게 어떤 정보를 제공했을 때 안심하고 식품을 구매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건강신념모형에서 건강행동을 촉진한다고 알려진 지각된 위협, 행동평가, 자기효능감 같은 요인들이 주부들의 실제 식품안전 인식과 행동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191명의 가정주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건강신념모형의 주요변수인 지각된 이익과 지각된 장애, 자기효능감,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개연성 그리고 식품안전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건강지향성과 지식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대도시에 살수록 식품안전에 대한 위협을 더 많이 느끼고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려는 경향이 더 높았다. 또한 연구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안전한 식품에 대한 지식이 더 많을수록 그리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상대적 이익이나 자기효능감도 높으며 그에 따라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려는 경향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건강신념모형에 근거한 식품안전 행동에 대한 개념모형을 구조방정식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적합한 모형 적합도를 보였으며 구매행동에 지각된 위협보다 지식수준과 상대적 이익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주부가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방송이나 신문 같은 공적 경로를 적극 활용하는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의 지속적인 제공으로 지식수준을 높여주고 위해성 정보보다는 예방이 가능한 정보 제공으로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려는 노력이 실제로 가정의 건강을 지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홍보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